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8년 12월 16일 (일) 22:10 (차이 | 역사) . . (+53) . . 則
- 2018년 12월 16일 (일) 22:10 (차이 | 역사) . . (+7) . . 眞
- 2018년 12월 16일 (일) 22:09 (차이 | 역사) . . (+35) . . 眞
- 2018년 12월 16일 (일) 22:08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헤아릴측.JPG (최신)
- 2018년 12월 16일 (일) 22:0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참진.JPG (최신)
- 2018년 12월 16일 (일) 22:0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진압할진.JPG (최신)
- 2018년 12월 16일 (일) 22:0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이마전.JPG
- 2018년 12월 16일 (일) 22:06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법칙칙.JPG (최신)
- 2018년 12월 16일 (일) 22:06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녹을융.JPG (최신)
- 2018년 12월 16일 (일) 21:48 (차이 | 역사) . . (+453) . . 則
- 2018년 12월 16일 (일) 21:41 (차이 | 역사) . . (+3,305) . . 則
- 2018년 12월 16일 (일) 21:40 (차이 | 역사) . . (-3,304) . . 測
- 2018년 12월 16일 (일) 21:39 (차이 | 역사) . . (+3) . . 測 (→고대 중국의 法)
- 2018년 12월 16일 (일) 21:39 (차이 | 역사) . . (-2) . . 測 (→고대 청동기의 역할)
- 2018년 12월 16일 (일) 21:39 (차이 | 역사) . . (+3,304) . . 測
- 2018년 12월 16일 (일) 21:00 (차이 | 역사) . . (+1,129) . . 眞
- 2018년 12월 16일 (일) 20:29 (차이 | 역사) . . (+2,100) . . 貞
- 2018년 12월 16일 (일) 20:04 (차이 | 역사) . . (+3,748) . . 鬲
- 2018년 12월 16일 (일) 19:55 (차이 | 역사) . . (+7) . . 员
- 2018년 12월 16일 (일) 19:53 (차이 | 역사) . . (+38) . . 员
- 2018년 12월 16일 (일) 19:53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인원원.JPG (최신)
- 2018년 12월 16일 (일) 19:51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솥정.JPG (최신)
- 2018년 12월 16일 (일) 19:32 (차이 | 역사) . . (+2,720) . . 鼎
- 2018년 12월 16일 (일) 19:11 (차이 | 역사) . . (+131) . . 鼎
- 2018년 12월 15일 (토) 21:21 (차이 | 역사) . . (+404) . . 融 (→語源)
- 2018년 12월 15일 (토) 21:16 (차이 | 역사) . . (+246) . . 새글 镇 (새 문서: ==語源== 형성자다. 金이 의미부이고 眞이 소리부로, 무거은 쇠 같은 것으로 누른다는 뜻이다. 후에 진압의 뜻이 나왔다. <ref>하영삼, 『한...)
- 2018년 12월 15일 (토) 21:15 (차이 | 역사) . . (+681) . . 새글 颠 (새 문서: ==語源== 형성자다. 顚의 기원을 頁이 의미부고 眞이 소리부로, 머리 위의 숨구멍이 있는 자리를 말한다. 머리 중에서도 진짜 중요한 부분...)
- 2018년 12월 15일 (토) 21:14 (차이 | 역사) . . (+745) . . 새글 融 (새 문서: ==語源== 형성자다. 鬲이 의미부고 虫이 소리부이다. 허신은 融은 솥에서 김이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을 그린 글자라고 했다.<ref>허신, 『설...)
- 2018년 12월 15일 (토) 21:12 (차이 | 역사) . . (+2) . . 測 (→語源)
- 2018년 12월 15일 (토) 21:12 (차이 | 역사) . . (+835) . . 새글 測 (새 문서: ==語源== 형성자다. 水가 의미부이고 則이 소리부이다. 물의 깊이를 잰다는 뜻에서부터 ‘측정’의 뜻이 나왔다. 후에 추측하다, 알다, 방...)
- 2018년 12월 15일 (토) 21:10 (차이 | 역사) . . (+827) . . 새글 則 (새 문서: 회의자다. 원래 鼎과 刀로 이루어졌는데, 鼎이 貝로 바뀌어 지금처럼 되었다. 청동 기물의 대표인 세 발 솥과 무기의 대표인 칼을 만들 때...)
- 2018년 12월 15일 (토) 21:08 (차이 | 역사) . . (+948) . . 새글 貞 (새 문서: ==語源== 형성자다. 원래는 卜이 의미부이고 鼎이 소리부로, 청동 제기를 차려 제사를 지내고 점을 쳐 ‘신에게 물어보던’ 것을 말했다....)
- 2018년 12월 15일 (토) 21:07 (차이 | 역사) . . (+42) . . 眞 (→語源)
- 2018년 12월 15일 (토) 21:07 (차이 | 역사) . . (+1,805) . . 새글 眞 (새 문서: ==語源== 형성자다. 化가 의미부이고, 鼎의 생략된 부분이 소리부로 추정된다. 眞은 貞으로부터 분화한 글자다. 貞은 갑골문에서 의미부인...)
- 2018년 12월 15일 (토) 21:04 (차이 | 역사) . . (+83) . . 员
- 2018년 12월 15일 (토) 21:04 (차이 | 역사) . . (+1) . . 员
- 2018년 12월 15일 (토) 21:04 (차이 | 역사) . . (+4) . . 员
- 2018년 12월 15일 (토) 21:04 (차이 | 역사) . . (+1,157) . . 새글 员 (새 문서: ==語源== 회의자다. 원래는 口와 鼎으로 구성되었는데, 口는 정의 아가리를 말한다. 그래서 정의 아가리처럼 ‘둥글다’는 뜻이 나왔다. 이...)
- 2018년 12월 15일 (토) 21:01 (차이 | 역사) . . (-150) . . 鼎 (→참고문헌)
- 2018년 12월 15일 (토) 21:01 (차이 | 역사) . . (+72) . . 鼎 (→文化)
- 2018년 12월 15일 (토) 21:00 (차이 | 역사) . . (-44) . . 鼎 (→文化)
- 2018년 12월 15일 (토) 20:55 (차이 | 역사) . . (+1,595) . . 鼎
- 2018년 12월 15일 (토) 20:47 (차이 | 역사) . . (+83) . . 鼎
- 2018년 12월 15일 (토) 20:47 (차이 | 역사) . . (-4) . . 鼎
- 2018년 12월 15일 (토) 20:47 (차이 | 역사) . . (+2) . . 鼎
- 2018년 12월 15일 (토) 20:46 (차이 | 역사) . . (+2) . . 鼎
- 2018년 12월 15일 (토) 20:44 (차이 | 역사) . . (+36) . . 鼎
- 2018년 12월 15일 (토) 20:44 (차이 | 역사) . . (+19) . . 새글 鼎 (새 문서: 파일:File.jpg)
- 2018년 12월 15일 (토) 20:44 (차이 | 역사) . . (+9) . . 새글 파일:곧을정.jpg (최신)
- 2018년 12월 11일 (화) 02:14 (차이 | 역사) . . (+1) . . 중국문자의이해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