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語源
수레(車)는 바퀴를 가지고 길을 달리는 교통 운송 수단을 나타낸다. 갑골문과 금문의 수레 글자는 객차, 바퀴, 바퀴의 차축, 굴대, 끌채, 멍에 등을 지닌 수레의 모양이다. 소전체로 오면서 수레(車) 글자는 객차, 바퀴 그리고 차축만이 남아 있고 다른 것들은 사라졌다. 수레(車)를 부수로 지닌 글자들은 수레와 관련이 있고 그 예로는, 轨(바퀴 궤도), 轮(바퀴), 转(회전하다), 载(적재하다), 军(군사) 등이 있다.
文化
<차(車) - 오늘날과도 유사한 전차, 수레>
‘전차, 수레’라는 뜻의 ‘차(車)’자는 갑골문과 금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글자이다. 사냥과 정벌은 국가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었기에 사람들은 (점을 쳐서) 언제나 조상들에게 어떻게 해야 할지를 물었다.[1] 갑골문의 그림을 보면 말 두 마리가 수레의 끌채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했다는 증거를 살펴볼 수 있다. 사람들은 긴 고삐로 말을 수레 굴레에 고정시켰다. 놀라운 것은, 시골에서 채소나 나무, 벽돌 등을 운송하는 나귀나 노새 수레가 오늘날에도 거의 유사한 원리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2]
청동기시대에 북쪽과 서쪽의 적들을 정벌하기 위한 전차부대의 높다란 수레바퀴가 쿵쿵거리며 지나가는 장면은, 평온한 삶을 살았던 시골사람들에게 분명 대단한 구경거리였을 것이다. 갑골문의 모습을 보면, 초기 이 글자를 만든 사람들의 관심이 ‘바퀴’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갑골문의 복사에 따르면 기원전 13세기 초, 상나라 무정왕 때에 군사가 5000여 명에 이르렀다. 한 번 (전쟁에서) 포로 3만여 명을 사로잡기도 했는데, 이들은 이후 조상의 제사와 통치자들의 순장 혹은 새 궁전의 개막식에 이용됐다. 600명이 이용된 적도 있고, 800명이 이용된 적도 있다.
주나라 후기에 이르러 쇠뇌가 가장 중요한 무기가 되면서 활과 화살의 중요성은 점점 퇴색됐다. 쇠뇌는 시위를 팽팽히 당길 때 고정된 자리가 필요했기 때문에, 전차 역시 군사적 의미를 상실하게 됐다.[3] 그래서 수레는 사람과 상품을 운송하는 평범한 기능만을 하게 됐다. 현대 지상전에서는 ‘전차’ 및 기계화보병 부대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웬만한 개인 화기로는 끄떡하지 않는 철갑의 전차와 기계화보병 부대는 위력적인 대포 등 우수한 화력을 지니고 있고 전차 뒤로 보병들이 전술 행군을 할 수 있도록 전략적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