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Wiki
JHkim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16일 (토) 15:06 판 (語源)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입 구.png

口의 형상은 사람 혹은 동물의 입의 형상이고 그 본래 뜻은 입이다. 입은 사람 혹은 동물이 음식을 먹고, 발성하는 기관이다. 그래서 口을 가지고 편방 되는 글자는 대부분 먹고 마시고 말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口자는 口舌, 口角 등과 같이 언어의 대명사로 쓰일 수 있다. 또 문, 구멍, 창문 등과 같이 口형의 물체를 비유하기도 하며, 고대부터 지금까지의 문자에서 가장 적은 변화를 거친 자형 중 하나이다.

口의 형상은 가운데가 뚫려있다. 그래서 대체로 형상이 (가운데가 뚫려있는) 口의 물상을 닮은 것은 모두 口자에 비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어귀(山口), 바다의 입구(海口), 동굴의 입구(洞口), 관문의 입구―중요한 길목(关口), 병의 입구(甁口), 사발그릇의 입구(碗口), 종기의 터진 자리(疮口), 제방이 홍수로 터진 곳(决口) 등이 그것이다. 일본에서는 '口'을 이용한 다양한 사용방법이 있는데 인원수를 센 人口(인구), 입으로 논하는 것인 口論(구론), 입에서 입으로 전달하는 것을 口伝(구전), 입으로 설득하는 것을 口説(구설), 취직하는 입구를 就職口(취직구)라고 한다.

文化

고대사회의 경우, 모든 사람의 배고픔을 해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였다. 아이들은 종종 한 자리에 서서, 굶주림에 지친 입을 벌린 채 먹을 것을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음식을 입 안 가득 넣은 그들의 모습을 자연스레 떠올릴 수 있도록 말이다. 언어에는 이런 기억이 남겨져 있다. 중국인들에게 식구가 몇이냐고 물으면, 그들은 ‘입이 넷이지요(四口)’라는 식으로 대답한다. 여기서 아이들이 굶주린 배를 안은 채 집으로 누군가 돌아와 밥을 지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사람의 총수를 셀 때 ‘人口’라는 표현을 쓴다. 현재 중국 인구는 10억이 넘는다. ‘人口’는 10억이 넘는 인구가 입을 벌리고 밥 먹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1]

시라카와 시즈카는 《漢字 백가지 이야기》에서 口(구)에는 세 계열의 글자가 있다고 했다.
이는 바로 口耳(구이)의 口(구), 축문 그릇, 또 일정한 구역을 표시하는 口(위)이다.
口耳의 口로 사용되는 글자는 갑골문과 금문에는 그 예가 없다. 다만 舌(설)처럼 혀의 형태까지도 포함해서 입 전체를 형상하는 글자가 있었을 뿐이다.
갑골 복사에는 혀를 앓고 있어서 점복을 한 예가 있다. 그때의 글자는 口舌(구설)의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그 경우 혀끝이 뱀처럼 갈라져 있었다.

口는 축문의 그릇이며 고대의 제사의례는 신에 대한 고축을 주로 행했다. 따라서 고대 문자에 그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말한다.[2]

  1.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2002, p.34
  2. 시라카와 시즈카, 『漢子 백가지 이야기』, 심경호 역, 황소자리, 2005, p.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