懼
語源
()는 “惧” 의 초문이다. 갑골문에서는 (
)라고 썼다. 마치 두려움의 눈을 뜬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다. 금문에서는 사람의 모습을 버리고, 두 개의 큰 눈만을 남겨 (
)라고 썼다. “고새문”은 (
)라고 썼다. 눈의 모습은 더이상 직관적이지 않아졌다. 소전 (1)에서는 (
)라고 썼는데, 금문과 <고새문>의 연속이다. 또한, “隹”를 성부 (음을 나타내는 부분)에 추가해 “瞿”를 만들었다. 이는 두 눈이 마치 매와 같은 맹금류처럼 놀란 두 눈을 가리킨다. 또한 “心” (이는 두려움이 심리 활동임을 드러냄)을 추가해 (
) 라고 쓴다. <설문>: “ 惧는 두려워하다는 의미이다” 예서는 이에 따라 (
)라고 쓴다.
한자어원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心(마음 심)이 의미부이고 瞿(볼 구)가 소리부로, 마음(心)이 놀라 눈이 동그래져(瞿) 두려워하는 모습을 그렸다. 이후 瞿는 소리부를 具(갖출 구)로 바뀌어 惧(두려워할 구)로 쓰기도 했는데, 간화자에서도 惧로 쓴다.[1]
文化
“惧”는 본래 무서워하는 “恐惧(공구)”의 뜻을 지니고 있다. 또한, 두려워하게 만드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로 사용되며, 협박하거나 위협하는 뜻으로 사용된다. 《老子》第七十四章:”民不畏死,奈何以死惧之”, 《노자》제74장: “백성들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왜 그들에게 죽음을 이 용하여 위협하는가? “에서 이 용법을 볼 수 있다. "惧"은 명사로 사용될 때 "病(병)"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면, 《汉书·张安世传》 “安世瘦惧,形于颜色”, 《한서·장안세전》: "안세의 쇠약함과 병태가 이미 얼굴에 나 타났다"에서 볼 수 있다.[2]
-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 2017, 102p
- ↑ https://www.gushi90.com/wenyanwen/124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