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약진운동
목차
개요
대약진운동은 1958~1960년 마오쩌둥이 사회전반을 사회주의로 개조하기 위해 실시한 생산력 증대 운동이다.
시대적 배경
연도 | 사건 |
1953-1957 | 제1차 5개년계획 |
1953.3.5 | 스탈린 사망 |
1956-1960 | 중소분쟁 |
1956 | 백화제방·백가쟁명 운동 |
1957 | 반우파투쟁 |
1958-1960 | 대약진운동 |
권력의 공고화
- 1953년 과도기의 총 노선의 실현을 목표로 제1차 5개년계획이 시작되었다. 당시 중국은 공업화 경험이 부족한 농업국가였고, 한국전쟁으로 미국과 전면적으로 대립하면서 국제적으로 고립되었기 때문에 소련에 기대어 사회주의적 공업화를 추진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무비판적으로 도입한 소련식 모델은 관료주의 문제를 수반했다. 인민을 대표해야 하는 당원들이 특권의식을 내세우는 엘리트 계층을 형성한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오쩌둥은 지식인과 민주당파를 이용해 당내 관료들을 비판하는 백화제방 백가쟁명운동을 주도한다. 그러나 비판이 점점 폭력성을 띠게 되자 다시 반우파투쟁을 통해 우파 세력을 탄압하였고, 마오쩌둥은 이 과정에서 획득한 절대적 권력을 기반으로 대약진운동을 주도하였다.
연속혁명 사상
- 또한 공업화의 결과로 경제적인 발전에는 성공했으나 사회적 불평등, 도농격차, 이데올로기의 쇠퇴 등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도시의 공업화를 통해 경제적 낙후를 극복하고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사회주의·공산주의 사회 건설과 멀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기 위해 마오쩌둥은 농촌 공업화라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1958년 1월 28일 최고국무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대약진운동의 사상적 기원이 되는 연속혁명론을 제창하면서,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 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혁명인 대약진운동이 시작되었다.
소련과의 갈등
내용
목적
1차5개년계획의 실패로 나타난 도농불균형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전개
권력하방정책
대약진운동 시기동안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에 많은 권력을 넘겨주었다. 지방정부는 중앙으로부터 일부 기업에 대한 계획 관리권과 기본건설항목 심사권, 재정세수 관리권, 노동관리권 등을 이양받았고 전체기업이윤의 20%를 소유하게 되었다.
철강증산운동
생산량의 2배를 증산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시·농촌 전 지역에 약 60만 개의 토법로가 설치되었다.
기술개량운동
특히 1957년 가을부터 1958년 봄에 걸쳐 실시되었다. 전국의 농촌에 댐을 건설하고, 심경밀식법을 보급하였다. 대규모 관개수리시설을 건설하면서 여러 마을의 농민들이 하나의 생산대와 생산대대로 조직되었다, 한 마을에서 동원된 사람들이 한 생산대를 이루고, 10개의 생산대가 모여 하나의 대규모 생산대대를 만들었다. 이들은 엄격한 규율과 근대적 공장의 노동조직과 보상제도에 기초해서 작업하였고, 생산대대 간의 작업을 자치적으로 정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자족적인 경제·사회·정치적 단위인 인민공사의 성격을 지녔다.
인민공사화운동
1958년 8월 마오쩌둥이 허난성에서 시행되고 있던 인민공사를 시찰하고 난 뒤, 베이따이허의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인민공사 설립을 결의하여 전국적으로 인민공사화가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