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孚"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미쁠 부.png|500픽셀|오른쪽]]
 
[[파일:미쁠 부.png|500픽셀|오른쪽]]
“孚”는 “[[俘]]”의 초문이이다. (“孚”를 “信”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가차 용법이다). 비교적 원시적인 시대에는 전쟁에서 이긴 자는 왕왕 상대방의 성년 남자들을 모두 죽이고 단지 여자와 아이들만 볼모로 삼았기 때문에 “孚”의 자형은 한 아이를 잡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ref> 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p.229</ref>
+
“孚”는 한 아이를 손으로 잡고 있는 모양이다.“[[俘]]”의 초문이이다. (“孚”를 “信”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가차 용법이다). <ref> 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p.229</ref><br>
손으로 아이를 잡는 형태는 “[[采]]”자와 비슷한 모습이다. “采”자는 나무 위의 잎을 따는 형태와 비교하면 이해가 쉽다. 손으로 잡는 형태는 동일하고, 그 대상의 차이가 있다.<br>
 
 
《[[설문해자]]》에는, “‘孚’은 알이 부화하다는 뜻이다. ‘’와 ‘’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일설에는 미쁘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𤔍’는 ‘古文(고문)’ ‘孚’자인데, ‘𣎼(呆)’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𣎼’는 ‘古文’ ‘𠈃(保)’자이며, ‘𠈃’는 또한 성부이다.”라고 설명된다. <ref>손예철,『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p.126.</ref><br>
 
《[[설문해자]]》에는, “‘孚’은 알이 부화하다는 뜻이다. ‘’와 ‘’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일설에는 미쁘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𤔍’는 ‘古文(고문)’ ‘孚’자인데, ‘𣎼(呆)’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𣎼’는 ‘古文’ ‘𠈃(保)’자이며, ‘𠈃’는 또한 성부이다.”라고 설명된다. <ref>손예철,『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p.126.</ref><br>
 
+
==참고문헌==
 +
#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p.229.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22일 (화) 13:14 판

語源

미쁠 부.png

“孚”는 한 아이를 손으로 잡고 있는 모양이다.“”의 초문이이다. (“孚”를 “信”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가차 용법이다). [1]
설문해자》에는, “‘孚’은 알이 부화하다는 뜻이다. ‘’와 ‘’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일설에는 미쁘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𤔍’는 ‘古文(고문)’ ‘孚’자인데, ‘𣎼(呆)’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𣎼’는 ‘古文’ ‘𠈃(保)’자이며, ‘𠈃’는 또한 성부이다.”라고 설명된다. [2]

참고문헌

  1. 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p.229.
    1. 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p.229
    2. 손예철,『간명 갑골문 자전』, 박이정, 2017, p.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