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金 표 .png|없음]]
 
[[파일:金 표 .png|없음]]
  
“金()”은 금속의 총칭이다. 특별히 황금을 지칭한다. 《설문해자》에는 “금은 다섯 가지색의 금속을 말하며, 그 중에 황금이 으뜸이다. 오래 묻어도 녹이 슬지 않고, 백 번 단련해도 가벼워지지 않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위쪽의 삼각형은 제련에 사용되는 용광로를, 아래쪽의 “王”은 주조용 홈을 나타내고, 가운데의 작은 점은 주조된 금속 주괴를 나타낸다. 글자 형태가 다른 것은 역사적 변화의 흔적이다.  
+
“津()”은 본래 강가의 나루터를 가리킨다. 《설문해자》에는 “진은 물을 건너는 곳이다.”고 설명되어 있다. 훗날에는 물가를 의미하고, 특히 침을 가리킨다. 이 글자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큰 변화를 겪었다. 상대(商代)의 갑골문은 사람이 노를 잡고 배를 움직이는 모습을 형상했다. 강을 건너는 것에서 도구(渡口)로 회의(會意)했다.
 +
주대(周代)의 금문(金文)은 물을 의미하는 “(水)”, 배를 의미하는 “(舟)”, 새와 같은 의미를 가진 “(隹)”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배가 물 위에서 새처럼 빠르게 지나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의 “진(津)”은 회의자(會意字)이다. 이후,  진(津)자는 “水의 의미를 따르고, 聿의 음을 따르는” 형성자(形聲字)가 되었다.
  
 
==文化==
 
==文化==
세계의 그 어떤 지역보다 화려한 청동기 문명을 꽃피웠던 중국이었기에 청동 거푸집을 그린 金이 이 모든 ‘금속’을 대표하게 되었고, 청동보다 강한 철이 등장했을 때에도 ‘쇠’의 통칭으로, 나아가 비싼 금속으로 황금(黃金)과 현금(現金)에서처럼 ‘돈’까지 뜻하게 되었다표준대국어사전에 현금, , 화폐 등과 관련된 수많은 표제어 속에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금융(金融), 세금(稅金) 등이 있다. 다른 의미인 성씨 김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ref>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2014). P.108</ref>
+
회의. 水(물 수)와 聿(붓 률)로 구성되어 배를 타고 물을 건너는 모습을 그렸다. 예서 이후 지금의 자형이 되었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침이나 분비물, 물에 젖어 촉촉하다는 뜻도 가진다표준국어대사전에는 진액(津液), 생물의 몸 안에서 생겨나는 액체, 수액이나 체액 또는 재료를 진하게 또는 바짝 졸인 액체라는 뜻으로 쓰인다. 또 섬진강(蟾津江), 노량진(鷺梁津), 당진(唐津) 등의 지명에서도 쓰이고 있으며, 특히 강에서 선박을 타고 내리는 일정한 지역, ‘나루’의 의미로 사용되어 여전히 지명에 ~진이 남아있는 경우가 다수 있다.   <ref>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2014). P.618</ref>
  
금속의 상징과 그것을 덮고 있는 모양과 땅의 신을 모시기 위해 기둥 모양으로 굳힌 흙의 상형으로 흙 속에 포함된 금속의 의미를 가지는 회의, 형성 문자이다. 일본에서는 한국과 비슷하게 금속, 돈, 화폐를 의미하며 이 글자를 토대로 다양한 종류의 금속이나 금속으로 만든 물건, 그리고 그것을 만드는 것과 관련된 한자가 생겨났다. 예를 들어, 金(쇠 금)과 艮(그칠 간)이 합쳐진 銀(), 金(쇠 금)과 十(열 십)과 합쳐진 針(바늘 침) 등이 있다. <ref>  漢字/漢和/語源辞書 https://okjiten.jp/kanji105.html</ref>
+
일본에서의 나루 진은 항구, 선착장, 체액,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형성문자이다. 주로 물과 관련된 단어에 사용되며, 지명이나 사람 이름에 쓰이는 경우도 종종 있다. 津波(츠나미)는 津(나루 진)과 波(물결 파)가 합쳐져 항구, 선착장으로 밀려드는 파도라는 뜻으로 세계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다. 이 외에 지명으로는 아오모리현 서부에 津軽(츠가루)지역이 있다. <ref>  Mayonez https://mayonez.jp/topic/1043726, 漢字/漢和/語源辞書 https://okjiten.jp/kanji1939.html</ref>
 
 
金(금) 한자는 갑골문과 금문에서 정련된 금속 주괴의 형태를 상징하는 상형문자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금속, 특히 황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이 글자는 중국의 청동기 문명을 반영하여 모든 금속을 대표하는 한자로 발전했고, 철이 등장한 후에도 '쇠'의 통칭으로 사용되며, '돈'과 '화폐'의 의미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어에서 금융(金融), 세금(稅金) 등의 용어에서 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금속, 돈, 화폐를 의미하는 한자로 사용되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금속 관련 한자가 생성되었다.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3년 12월 21일 (목) 22:10 판

語源

金 표 .png

“津(진)”은 본래 강가의 나루터를 가리킨다. 《설문해자》에는 “진은 물을 건너는 곳이다.”고 설명되어 있다. 훗날에는 물가를 의미하고, 특히 침을 가리킨다. 이 글자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큰 변화를 겪었다. 상대(商代)의 갑골문은 사람이 노를 잡고 배를 움직이는 모습을 형상했다. 강을 건너는 것에서 도구(渡口)로 회의(會意)했다. 주대(周代)의 금문(金文)은 물을 의미하는 “(水)”, 배를 의미하는 “(舟)”, 새와 같은 의미를 가진 “(隹)”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배가 물 위에서 새처럼 빠르게 지나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의 “진(津)”은 회의자(會意字)이다. 이후, 진(津)자는 “水의 의미를 따르고, 聿의 음을 따르는” 형성자(形聲字)가 되었다.

文化

회의. 水(물 수)와 聿(붓 률)로 구성되어 배를 타고 물을 건너는 모습을 그렸다. 예서 이후 지금의 자형이 되었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침이나 분비물, 물에 젖어 촉촉하다는 뜻도 가진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진액(津液), 생물의 몸 안에서 생겨나는 액체, 수액이나 체액 또는 재료를 진하게 또는 바짝 졸인 액체라는 뜻으로 쓰인다. 또 섬진강(蟾津江), 노량진(鷺梁津), 당진(唐津) 등의 지명에서도 쓰이고 있으며, 특히 강에서 선박을 타고 내리는 일정한 지역, ‘나루’의 의미로 사용되어 여전히 지명에 ~진이 남아있는 경우가 다수 있다. [1]

일본에서의 나루 진은 항구, 선착장, 체액,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형성문자이다. 주로 물과 관련된 단어에 사용되며, 지명이나 사람 이름에 쓰이는 경우도 종종 있다. 津波(츠나미)는 津(나루 진)과 波(물결 파)가 합쳐져 항구, 선착장으로 밀려드는 파도라는 뜻으로 세계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다. 이 외에 지명으로는 아오모리현 서부에 津軽(츠가루)지역이 있다. [2]

  1.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2014). P.618
  2. Mayonez https://mayonez.jp/topic/1043726, 漢字/漢和/語源辞書 https://okjiten.jp/kanji193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