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疒"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사람이 병이 들어 침상 위에 누워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갑골문의 “疒”자는 때로는 사람 모양의 곁에 작은 점을 가하였는...)
 
(語源)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
[[파일:녁.png|500픽셀|오른쪽]]
 +
사람이 병이 들어 침상 위에 누워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갑골문의 “疒”자는 때로는 사람 모양의 곁에 작은 점을 가하였는데 아마 병자가 땀을 내고 있는 것을 나타냈을 것이다. 병과 관계가 있는 글자는 대부분 “疒”을 따르고 있다. 자서에 따르면 “疒”자의 음인 niè성 이지만 사실은 “疒”은 아마 “[[疾]]”의 초문일 것이다.<ref>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p.225</ref>
  
사람이 병이 들어 침상 위에 누워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갑골문의 “疒”자는 때로는 사람 모양의 곁에 작은 점을 가하였는데 아마 병자가 땀을 내고 있는 것을 나타냈을 것이다. 병과 관계가 있는 글자는 대부분 “疒”을 따르고 있다. 자서에 따르면 “疒”자의 음인 niè성 이지만 사실은 “疒”은 아마 “疾”의 초문일 것이다.<ref>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p.225</ref>
+
==文化==
 +
疒은 ‘[[疾]]’, ‘[[病]]’ 등, 병과 관련된 글자에 사용된다. 특히 ‘疒’부에 수록된 자수는 총 102자에 달할 정도로 고대에도 다양한 질병이 있었음을 알려준다. <ref>이돈주, 한자∙언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406</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9년 12월 21일 (토) 01:25 기준 최신판

語源

녁.png

사람이 병이 들어 침상 위에 누워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갑골문의 “疒”자는 때로는 사람 모양의 곁에 작은 점을 가하였는데 아마 병자가 땀을 내고 있는 것을 나타냈을 것이다. 병과 관계가 있는 글자는 대부분 “疒”을 따르고 있다. 자서에 따르면 “疒”자의 음인 niè성 이지만 사실은 “疒”은 아마 “”의 초문일 것이다.[1]

文化

疒은 ‘’, ‘’ 등, 병과 관련된 글자에 사용된다. 특히 ‘疒’부에 수록된 자수는 총 102자에 달할 정도로 고대에도 다양한 질병이 있었음을 알려준다. [2]

  1. 구석규, 중국문자학의 이해, 신아사, p.225
  2. 이돈주, 한자∙언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