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 2019년 12월 21일 (토) 23:40 (차이 | 역사) . . (+66) . . 잔글 삼서설 (→참고 문헌)
- 2019년 12월 21일 (토) 23:38 (차이 | 역사) . . (+17) . . 잔글 삼서설
- 2019년 12월 21일 (토) 23:36 (차이 | 역사) . . (+23) . . 새글 삼서 (삼서설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2019년 12월 21일 (토) 23:35 (차이 | 역사) . . (+23) . . 새글 삼서법 (삼서설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2019년 12월 21일 (토) 23:34 (차이 | 역사) . . (+321) . . 삼서설 (→형성(形聲) 문자)
- 2019년 12월 21일 (토) 23:27 (차이 | 역사) . . (+8) . . 삼서설 (→삼서(三書)에 넣을 수 없는 문자)
- 2019년 12월 21일 (토) 23:27 (차이 | 역사) . . (+11) . .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21일 (토) 23:26 (차이 | 역사) . . (+10,799) . . 새글 삼서설 (새 문서: 삼서설 (三書說) =삼서설 배경= 당랑(唐蘭) 선생[https://g.co/kgs/WgHt5X] 이 육서설을 비판하며, 한자 구조에 관한 새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 2019년 12월 21일 (토) 20:11 (차이 | 역사) . . (0) . .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21일 (토) 15:50 (차이 | 역사) . . (+701) . . 새글 旣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旣자는 旡에서 파생 된 글자이다. “旡”자는 본래 “欠”자를 거꾸로 사용한 것인데,...)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15:49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이미 기.png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15:21 (차이 | 역사) . . (0)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21일 (토) 15:11 (차이 | 역사) . . (+9)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21일 (토) 14:54 (차이 | 역사) . . (+784) . . 새글 孚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孚”는 “俘”의 초문이이다. (“孚”를 “信”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가차 용법이다). 비...)
- 2019년 12월 21일 (토) 14:4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미쁠 부.png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14:46 (차이 | 역사) . . (+7)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21일 (토) 14:26 (차이 | 역사) . . (-17)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21일 (토) 14:25 (차이 | 역사) . . (0)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한자어원문화사전)
- 2019년 12월 21일 (토) 14:03 (차이 | 역사) . . (+550) . . 歌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13:50 (차이 | 역사) . . (+46) . . 失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13:50 (차이 | 역사) . . (+46) . . 歌
- 2019년 12월 21일 (토) 13:49 (차이 | 역사) . . (+48) . . 魅
- 2019년 12월 21일 (토) 13:49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잃을 실.png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13:48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매혹할 매.png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13:48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노래 가.png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13:28 (차이 | 역사) . . (+1,696) . . 새글 魅 (새 문서: ==語源== 갑골문 ‘魅’자는 ‘오래된 힘 있는 귀신’을 의미하는데, 몸에는 인광을 의미하는 작은 점이 있으며 얼굴에는 가면을 쓰고 무...)
- 2019년 12월 21일 (토) 13:10 (차이 | 역사) . . (+3,311) . . 吹
- 2019년 12월 21일 (토) 02:23 (차이 | 역사) . . (+1,397) . . 새글 失 (새 문서: ==語源== “失”의 문자 형태 구조는 다음과 같다.<br> 篆文에서의 모양은 손 手을 가리킨다. 물건이 손아귀에서 빠져나가는 것, 즉 잃어버...)
- 2019년 12월 21일 (토) 01:49 (차이 | 역사) . . (+1,128) . . 새글 歌 (새 문서: ==語源== ‘歌’자는 ‘欠’을 의부로 취하는 글자이다. 欠의 기본적인 모양은 입을 벌리는 것이다. 따라서 ‘歌’ 또한 입을 벌리는 행...)
- 2019년 12월 21일 (토) 01:25 (차이 | 역사) . . (+1)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21일 (토) 01:25 (차이 | 역사) . . (+335) . . 疒 (→語源)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01:16 (차이 | 역사) . . (+38) . . 疒
- 2019년 12월 21일 (토) 01:15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녁.png (최신)
- 2019년 12월 21일 (토) 01:14 (차이 | 역사) . . (+555) . . 새글 疒 (새 문서: ==語源== 사람이 병이 들어 침상 위에 누워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갑골문의 “疒”자는 때로는 사람 모양의 곁에 작은 점을 가하였는...)
- 2019년 12월 21일 (토) 00:54 (차이 | 역사) . . (+996) . . 酉
- 2019년 12월 21일 (토) 00:36 (차이 | 역사) . . (-40) . . 見 (→文化)
- 2019년 12월 21일 (토) 00:36 (차이 | 역사) . . (+833) . . 見 (→文化)
- 2019년 12월 21일 (토) 00:28 (차이 | 역사) . . (+686) . . 飮 (→文化)
- 2019년 12월 21일 (토) 00:24 (차이 | 역사) . . (+430) . . 飮 (→語源)
- 2019년 12월 21일 (토) 00:18 (차이 | 역사) . . (+1,110) . . 飮 (→語源)
- 2019년 12월 21일 (토) 00:03 (차이 | 역사) . . (0)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한자어원문화사전)
- 2019년 12월 20일 (금) 23:59 (차이 | 역사) . . (+741) . . 見 (→文化)
- 2019년 12월 20일 (금) 23:54 (차이 | 역사) . . (+994) . . 見 (→語源)
- 2019년 12월 8일 (일) 22:30 (차이 | 역사) . . (+3)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8일 (일) 22:21 (차이 | 역사) . . (+3)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6일 (금) 10:05 (차이 | 역사) . . (0)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1월 23일 (토) 00:35 (차이 | 역사) . . (+3)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1월 23일 (토) 00:32 (차이 | 역사) . . (+97) . .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1월 13일 (수) 14:48 (차이 | 역사) . . (+4) . . 잔글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1월 13일 (수) 14:44 (차이 | 역사) . . (+28) . .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