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숙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맹자)
(맹자)
36번째 줄: 36번째 줄:
  
 
==== 맹자 ====
 
==== 맹자 ====
『맹자』의 ⟨고자 下⟩에서는 손숙오에 대해 [[순임금]], [[부열]], [[교격]], [[관중]](관이오), [[백리해]]의 훌륭한 정치인들과 나란히하는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하늘이 점지한 인물들로, 그들의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먼저 고생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
『맹자』의 ⟨고자 下⟩에서는 손숙오에 대해 [[순임금]], [[부열]], [[교격]], [[관중]](관이오), [[백리해]]의 훌륭한 정치인들과 나란히하는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이들은 하늘이 점지한 인물들로, 그들의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먼저 고생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孟子曰:「舜發於畎畝之中,傅說舉於版築之閒,膠鬲舉於魚鹽之中,管夷吾舉於士,孫叔敖舉於海,百里奚舉於市。故天將降大任於是人也,必先苦其心志,勞其筋骨,餓其體膚,空乏其身,行拂亂其所為,所以動心忍性,曾益其所不能。人恒過,然後能改;困於心,衡於慮,而後作;徵於色,發於聲,而後喻。入則無法家拂士,出則無敵國外患者,國恒亡。然後知生於憂患而死於安樂也。『맹자』의 ⟨고자 下⟩ 中
 
孟子曰:「舜發於畎畝之中,傅說舉於版築之閒,膠鬲舉於魚鹽之中,管夷吾舉於士,孫叔敖舉於海,百里奚舉於市。故天將降大任於是人也,必先苦其心志,勞其筋骨,餓其體膚,空乏其身,行拂亂其所為,所以動心忍性,曾益其所不能。人恒過,然後能改;困於心,衡於慮,而後作;徵於色,發於聲,而後喻。入則無法家拂士,出則無敵國外患者,國恒亡。然後知生於憂患而死於安樂也。『맹자』의 ⟨고자 下⟩ 中

2019년 6월 11일 (화) 16:42 판

손숙오(孫叔敖)
출생 B.C 630(추정)
사망 B.C 593(추정)
생존시기 춘추시대

개요

춘추 시대 초나라의 명재상. 위가(蔿賈)의 아들이며, 위오(蔿敖), 위애렵(蔿艾獵)이라고도 불렸다. B.C.530년에 태어나 B.C.593년에 사망했다. 춘추 5패의 한 사람인 초장왕을 보좌했다.

2 생애

재상이 되기 전

손숙오는 원래 초나라에서 은둔하는 재야의 선비였으나 당시 재상이었던 우구(虞丘)가 초장왕에게 그를 추천했다. 우구는 손숙오에게 재상의 일을 대신하게 했으며, 이후 손숙오는 석 달만에 재상의 자리에 앉게 된다.

다스리지 않아도 나라의 사람들은 그를 믿고 따랐다(未治而國人信之)

손숙오는 재상으로써 "(그가) 다스리지 않아도 나라의 사람들은 그를 믿고 따랐다(未治而國人信之)"[1]고 평가될 정도로 훌륭한 정치를 펼쳤다. 실제로 관리와 백성의 사이가 화목하고, 풍속이 순박해질 정도였다. 가벼운 정치로 백성들은 금지 사항을 반드시 지켰고, 관리들은 그를 속이지 않았으며, 도적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백성들로 하여금 편안하게 생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잘못된 화폐 제도를 바로잡다

낮은 수레

관련인물

초장왕

손숙오 모(母)

사상가들이 본 손숙오

유가

맹자

『맹자』의 ⟨고자 下⟩에서는 손숙오에 대해 순임금, 부열, 교격, 관중(관이오), 백리해의 훌륭한 정치인들과 나란히하는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이들은 하늘이 점지한 인물들로, 그들의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먼저 고생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孟子曰:「舜發於畎畝之中,傅說舉於版築之閒,膠鬲舉於魚鹽之中,管夷吾舉於士,孫叔敖舉於海,百里奚舉於市。故天將降大任於是人也,必先苦其心志,勞其筋骨,餓其體膚,空乏其身,行拂亂其所為,所以動心忍性,曾益其所不能。人恒過,然後能改;困於心,衡於慮,而後作;徵於色,發於聲,而後喻。入則無法家拂士,出則無敵國外患者,國恒亡。然後知生於憂患而死於安樂也。『맹자』의 ⟨고자 下⟩ 中

순자

도가

장자

법가

한비자

원문

사기 열전

孫叔敖者, 楚之処士也. 虞丘相進之於楚荘王, 以自代也. 三月為楚相, 施教導民, 上下和合, 世俗盛美, 政緩禁止, 吏無姦邪, 盜賊不起. 秋冬則勧民山採, 春夏以水, 各得其所便, 民皆樂其生. 荘王以為幣軽, 更以小為大, 百姓不便, 皆去其業. 市令言之相曰:「市亂, 民莫安其処, 次行不定.」相曰:「如此幾何頃乎?」市令曰:「三月頃.」相曰:「罷, 吾今令之複矣.」後五日, 朝, 相言之王曰:「前日更幣, 以為軽. 今市令來言曰『市亂, 民莫安其処, 次行之不定』. 臣請遂令複如故.」王許之, 下令三日而市複如故. 楚民俗好庳車, 王以為庳車不便馬, 欲下令使高之. 相曰:「令數下, 民不知所従, 不可. 王必欲高車, 臣請教閭里使高其梱. 乗車者皆君子, 君子不能數下車.」 王許之. 居半歳, 民悉自高其車. 此不教而民従其化, 近者視而效之, 遠者四面望而法之. 故三得相而不喜, 知其材自得之也;三去相而不悔, 知非己之罪也.

신서(新書) - 春秋

孫叔敖之為嬰兒也,出遊而還,憂而不食。其母問其故,泣而對曰:「今日吾見兩頭蛇,恐去死無日矣。」其母曰:「今蛇安在?」曰:「吾聞見兩頭蛇者死,吾恐他人又見,吾已埋之也。」其母曰:「無憂,汝不死。吾聞之:『有陰德者,天報以福。』」人聞之,皆諭其能仁也。及為令尹,未治而國人信之。

참고문헌

사기 열전 여씨춘추 십이기 맹자 열자(列子) 8.설부편(說符篇 열녀전

순자 제 5편 비상

  1. 신서 춘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