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6년 12월 24일 (토) 16:59 (차이 | 역사) . . (-1) . . 廉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6:59 (차이 | 역사) . . (+23) . . 廉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6:59 (차이 | 역사) . . (+14) . . 牆 (→文化)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6:58 (차이 | 역사) . . (+23) . . 歷 (→文化)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6:58 (차이 | 역사) . . (+15) . . 齋 (→文化)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6:57 (차이 | 역사) . . (+22) . . 種 (→文化)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6:57 (차이 | 역사) . . (+21) . . 移 (→文化)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6:56 (차이 | 역사) . . (-1) . . 廩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6:56 (차이 | 역사) . . (+17) . . 廩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6:55 (차이 | 역사) . . (-1) . . 稷 (→文化)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6:55 (차이 | 역사) . . (-1) . . 稷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6:55 (차이 | 역사) . . (+24) . . 稷
- 2016년 12월 24일 (토) 16:54 (차이 | 역사) . . (+2) . . 稻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6:53 (차이 | 역사) . . (+20) . . 稻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3:53 (차이 | 역사) . . (+1,545) . . 새글 廉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广이 의미부이고 兼이 소리부인 형성자다. 兼은 한 손으로 두 가닥의 곡식을 잡는 모습을 형...)
- 2016년 12월 24일 (토) 13:52 (차이 | 역사) . . (+1,228) . . 새글 牆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곡식창고의 담 벽이나 집을 둘러싼 담벼락을 의미한다. 嗇이 의미부고 爿이 소리부이다. 농사를...)
- 2016년 12월 24일 (토) 13:51 (차이 | 역사) . . (+432) . . 歷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3:50 (차이 | 역사) . . (+2,353) . . 새글 歷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止가 의미부이고 厤이 소리부인 형성자이며, 다스려온(厤) 흔적(止)으로 해석하여 회의자로 분...)
- 2016년 12월 24일 (토) 13:48 (차이 | 역사) . . (+1,608) . . 새글 齋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가지런한 마음파일:가지런한마음.jpg으로 신에게 기도파일:신에게기도.jpg한다는 뜻이...)
- 2016년 12월 24일 (토) 13:45 (차이 | 역사) . . (-1) . . 黍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3:45 (차이 | 역사) . . (-6) . . 黍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3:45 (차이 | 역사) . . (+22) . . 黍 (→文化)
- 2016년 12월 24일 (토) 13:41 (차이 | 역사) . . (+2,439) . . 黍
- 2016년 12월 24일 (토) 13:40 (차이 | 역사) . . (+1,156) . . 새글 種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禾가 의미부이며 重이 소리부인 형성자다. 낟알들 중에서도 통통하고 무게가 나가는(重) 낟알...)
- 2016년 12월 24일 (토) 13:39 (차이 | 역사) . . (+1,270) . . 새글 移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禾가 의미부이고 多가 소리부인 형성자다. 묘판에 심어둔 모(禾)가 어느 정도 자라나서 빼곡해...)
- 2016년 12월 24일 (토) 13:37 (차이 | 역사) . . (+1,496) . . 새글 廩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广이 의미부이고 稟이 소리부인 형성자다. 곡식을 저장하는 창고를 의미하는데 稟은 기단 위에...)
- 2016년 12월 24일 (토) 13:35 (차이 | 역사) . . (+1,640) . . 새글 稷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禾에서 뜻을 가져오고 畟에서 음을 가져온 형성자다. 기장은 볏과의 하루살이 풀이다. 또 다른...)
- 2016년 12월 24일 (토) 13:32 (차이 | 역사) . . (+1,258) . . 새글 稻 (새 문서: ==語源== 400픽셀|오른쪽 禾가 의미부이며 舀가 소리부인 형성자다. 여기서의 벼는 벼 중에서도 특히 일년생 초본식물인 벼...)
- 2016년 12월 24일 (토) 13:24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절구안에넣은후.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4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어린아이.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4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신에게기도.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4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黍갑골문.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4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벼갑골.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4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밭.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3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발.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3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㐭갑골문.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3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력금문.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3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덮개가추가되어.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23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가지런한마음.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8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청렴할렴.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8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지낼력.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재계할재.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옮길이.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씨앗종.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벼도.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담장.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기장직.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기장서.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16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곳집름.JPG (최신)
- 2016년 12월 24일 (토) 13:03 (차이 | 역사) . . (+104) . .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6년 2학기 강의 (→한자어원문화사전 표제어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