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의 노예 주인들은 노예에게 노동을 강요하기 위해 그들이 반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 |
(→文化)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백성 민.png|500픽셀|오른쪽]] | [[파일:백성 민.png|500픽셀|오른쪽]] | ||
− | 고대의 노예 주인들은 노예에게 노동을 | + | 고대의 노예 주인들은 노예에게 노동을 강요하고 그들이 반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잔혹하게 노예들을 억압하는 방법을 택하거나, 그들에게 매우 무거운 쇠고랑이나 족쇄를 씌웠다. 또는 밧줄을 이용하여 그들의 목을 묶거나, 발을 찍어 발가락을 제거하거나, 날카로운 것을 사용하여 그들의 눈을 찔러 한쪽 눈을 실명하게 했다.<br> |
+ | [[갑골문]]과 [[금문]]의 ‘民’자는 송곳으로 눈을 찌르는 모습을 나타내며, 그 본뜻은 원래 노예를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지배당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뜻이 파생되었고 이는 노예와 평민을 포함하다가, 후에 ‘일반 대중'이나 '국민’을 가리키게 되었다. | ||
==文化== | ==文化== | ||
− | 民은 끝이 뾰족한 무기와 눈을 본뜬 글자로, 포로의 한쪽 눈을 | + | 民은 끝이 뾰족한 무기와 눈을 본뜬 글자로, 포로의 한쪽 눈을 찔러서 저항력을 무디게 한 뒤 노동력을 착취하던 노예제 사회의 살벌한 분위기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글자이다. 본뜻인 ‘노예’에서 점차 천민, 평민으로 뜻이 바뀌었다.<ref> 김언종, 『한자의 뿌리 1』, 문학동네, 2001, p.330</ref> |
− | 노예를 일에만 부려먹되 전투는 못하도록 만든 | + | 한쪽 눈을 실명시킨 것은 노예를 일에만 부려먹되 전투는 못하도록 만든 방법이었다고도 한다.<ref> 김성재, 『갑골에 새겨진 신화와 역사』, 동녘, 2000, p.555</ref> |
− | + | 民에서 파생된 萌, 氓, 甿은 논밭에서 경작을 하는 노예들을 지칭하여 무지몽매함의 의미를 가진다. [[갑골문]]에서 民자가 날카로운 도구로 눈을 찌른 형상이라는 점에서 곽말약은 民을 [[盲]]의 초문으로 보았다. <br> | |
− | + | 民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달랐다. [[진시황]] 때에는 검수(黔首), 주대에는 여민(黎民)이라고 칭하였다. [[秦]]나라에서 신봉한 오행설에 따르면 [[黃帝]]는 土德, 夏나라는 木德, [[商]]나라는 金德, [[周]]나라는 火德을 하늘에서 받아 나라를 세웠다. 오행설의 순서에 따른다면 周를 대신한 나라는 水德을 따라야 한다. [[진시황]]은 이 오행설을 채용하여, 하늘의 뜻에 따라 수덕으로써 일어난 진나라는 신성한 왕조라고 주장하였다. 水의 색깔은 검정이다. 때문에 진시황은 의복과 깃발과 부절의 색깔을 모두 흑색으로 바꾸고 서민들은 머리에 검은 천을 두르라 하였고, 그들을 ‘검수(黔首)’라 불렀다. [[설문해자]]에 따르면 周대에는 백성을 ‘여민’이라고 칭했다.<ref> 이돈주, 『한자·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 고대문화』, 태학사, 2006, pp.59-60</ref> | |
− | 시라카와 시즈카는 民은 | + | 시라카와 시즈카는 民은 [[臣]]과 마찬가지로 [[神]]에게 바쳐진 노예라고 하였다.<ref> 시라카와 시즈카, 『漢子 백가지 이야기』, 심경호 역, 황소자리, 2005, pp.206</ref>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18년 12월 9일 (일) 22:01 기준 최신판
語源
고대의 노예 주인들은 노예에게 노동을 강요하고 그들이 반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잔혹하게 노예들을 억압하는 방법을 택하거나, 그들에게 매우 무거운 쇠고랑이나 족쇄를 씌웠다. 또는 밧줄을 이용하여 그들의 목을 묶거나, 발을 찍어 발가락을 제거하거나, 날카로운 것을 사용하여 그들의 눈을 찔러 한쪽 눈을 실명하게 했다.
갑골문과 금문의 ‘民’자는 송곳으로 눈을 찌르는 모습을 나타내며, 그 본뜻은 원래 노예를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지배당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뜻이 파생되었고 이는 노예와 평민을 포함하다가, 후에 ‘일반 대중'이나 '국민’을 가리키게 되었다.
文化
民은 끝이 뾰족한 무기와 눈을 본뜬 글자로, 포로의 한쪽 눈을 찔러서 저항력을 무디게 한 뒤 노동력을 착취하던 노예제 사회의 살벌한 분위기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글자이다. 본뜻인 ‘노예’에서 점차 천민, 평민으로 뜻이 바뀌었다.[1]
한쪽 눈을 실명시킨 것은 노예를 일에만 부려먹되 전투는 못하도록 만든 방법이었다고도 한다.[2]
民에서 파생된 萌, 氓, 甿은 논밭에서 경작을 하는 노예들을 지칭하여 무지몽매함의 의미를 가진다. 갑골문에서 民자가 날카로운 도구로 눈을 찌른 형상이라는 점에서 곽말약은 民을 盲의 초문으로 보았다.
民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달랐다. 진시황 때에는 검수(黔首), 주대에는 여민(黎民)이라고 칭하였다. 秦나라에서 신봉한 오행설에 따르면 黃帝는 土德, 夏나라는 木德, 商나라는 金德, 周나라는 火德을 하늘에서 받아 나라를 세웠다. 오행설의 순서에 따른다면 周를 대신한 나라는 水德을 따라야 한다. 진시황은 이 오행설을 채용하여, 하늘의 뜻에 따라 수덕으로써 일어난 진나라는 신성한 왕조라고 주장하였다. 水의 색깔은 검정이다. 때문에 진시황은 의복과 깃발과 부절의 색깔을 모두 흑색으로 바꾸고 서민들은 머리에 검은 천을 두르라 하였고, 그들을 ‘검수(黔首)’라 불렀다. 설문해자에 따르면 周대에는 백성을 ‘여민’이라고 칭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