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 | [[파일:방향향.PNG| | + | [[파일:방향향.PNG|500픽셀|오른쪽]] |
− | [[갑골문]] | + | 방향 向의 [[갑골문]]을 보면 집 모양에 네모난 것이 하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집의 창문을 의미하는데, 당시 중국인들이 창문을 내는 방향을 중요시하였기에 방향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설문해자]]에는 "北出牖也(북쪽으로 들창을 내는 것이다)"라고 해설되어 있다. <ref>廖文豪,『汉字树5 : 汉字中的建筑与器皿』,中国商业出版社</ref><br> |
+ | [[예서]]와 [[해서]]에 이르러 최초 갑골문의 형상에서 벗어나 현재 한자의 형태를 띠기 시작하면서 방과 창문이라는 요소를 찾을 수 없게 된다. 《[[시경]]》에는 "穹窒熏鼠,塞向七户"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10월이 되어 날씨가 추워지니 농가들은 쥐구멍을 찾아 모두 매워버리고 불땐 연기를 지피며, 동시에 추운 바람이 들어오는 것에 대비하여 북쪽을 바라보고 있는 창문을 막으라는 의미이다.<ref>景德,嵩圣,『汉字录根300例』,山东美术出版社, p.164</ref> | ||
+ | |||
==文化== | ==文化== | ||
− | 중국인들은 | + | 중국인들은 문([[門]])의 방향을 매우 중시하였다. 수천 년 동안, 집을 지을 때 남향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채광 요인 말고 가장 중요한 것은 추운 북풍을 피하는 것이었으다. 여름에는 편안한 남풍을 맞이하도록 대문은 항상 남쪽을 향해 있었다. 고고학자들의 발굴에 의하면 商周시기 집들은 모두 대문의 위치가 남쪽을 향하게 지어졌다. 거처하는 곳이 북쪽이더라도 나무를 심어 차가운 겨울 바람을 막았다. 이때의 나무들은 병풍이라 불렸다. "向"의 의미는 직면하다, 방위, 향하는 등으로 확대되었다. 연관 단어는 向前앞을 향하다. 方向방향 등이 있다. |
==출처== | ==출처== | ||
− | |||
− | |||
− | |||
− |
2018년 12월 25일 (화) 22:49 기준 최신판
語源
방향 向의 갑골문을 보면 집 모양에 네모난 것이 하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집의 창문을 의미하는데, 당시 중국인들이 창문을 내는 방향을 중요시하였기에 방향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설문해자에는 "北出牖也(북쪽으로 들창을 내는 것이다)"라고 해설되어 있다. [1]
예서와 해서에 이르러 최초 갑골문의 형상에서 벗어나 현재 한자의 형태를 띠기 시작하면서 방과 창문이라는 요소를 찾을 수 없게 된다. 《시경》에는 "穹窒熏鼠,塞向七户"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10월이 되어 날씨가 추워지니 농가들은 쥐구멍을 찾아 모두 매워버리고 불땐 연기를 지피며, 동시에 추운 바람이 들어오는 것에 대비하여 북쪽을 바라보고 있는 창문을 막으라는 의미이다.[2]
文化
중국인들은 문(門)의 방향을 매우 중시하였다. 수천 년 동안, 집을 지을 때 남향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채광 요인 말고 가장 중요한 것은 추운 북풍을 피하는 것이었으다. 여름에는 편안한 남풍을 맞이하도록 대문은 항상 남쪽을 향해 있었다. 고고학자들의 발굴에 의하면 商周시기 집들은 모두 대문의 위치가 남쪽을 향하게 지어졌다. 거처하는 곳이 북쪽이더라도 나무를 심어 차가운 겨울 바람을 막았다. 이때의 나무들은 병풍이라 불렸다. "向"의 의미는 직면하다, 방위, 향하는 등으로 확대되었다. 연관 단어는 向前앞을 향하다. 方向방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