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遲"의 두 판 사이의 차이
(→語源) |
(→文化)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文化== | ==文化== | ||
− | + | [[소전]]에는 두 가지 필법이 있다. 첫 번째는 금문의 辟자를 犀자로 쓴 것이다. 犀자는 코뿔소를 의미하는데 자형을 보면 사람이 코뿔소 뒤르 따라가는 것으로서 행동이 자연스럽게 즐겁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辟자의 우측 부분에 위치한 辛자를 줄여서 二자로 쓴 것이다. 二자는 고대 간화자에 속한다. <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30</ref>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0년 12월 17일 (목) 22:59 판
語源
한 사람이 어떤 사람을 업고 길을 가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사람을 업고 가는 것은 보통의 걸음걸이보다 속도가 느렸기 때문에 '늦다', '늦추다'의 의미를 가진다. [1]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면 《설문해자》에서는 "遲,徐行也。”이렇게 말하는데 이 말은 遲(더딜 지)자를 서행(느리게 가다)하다라는 뜻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즉, 遲(더딜 지)자는 느린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며 갑골문에서도 중간에 彳(조금 걸을 척)자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걷는 모습을 나타내며 금문에 이르러서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가 된 것을 알 수 있다. [2]
文化
소전에는 두 가지 필법이 있다. 첫 번째는 금문의 辟자를 犀자로 쓴 것이다. 犀자는 코뿔소를 의미하는데 자형을 보면 사람이 코뿔소 뒤르 따라가는 것으로서 행동이 자연스럽게 즐겁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辟자의 우측 부분에 위치한 辛자를 줄여서 二자로 쓴 것이다. 二자는 고대 간화자에 속한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