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참고문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又(또 우)와 지사부호(`)로 구성되어, 손가락 사이로 무엇인가 끼워져 있는 모습을 그렸고, 이로부터 손가락 사이로 끼우다는 뜻이 나왔다. <ref>『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ref>
+
[[파일:叉 표.png|600픽셀|오른쪽]]
“叉“자는 상형자이다. 甲骨文갑골문과 小篆소전은 모두 손가락으로 물건을 찌르는 형태다. 又의 갑골문의 형태는 고대 문자에서 손 모양을 나타낸다. 설문해자에서는 又는 手손의 모양이며 손가락을 많이 생략하여 세 개의 손가락만 나타낸다.”라고 되어 있다. “叉“자의 갑골문 형태는 손가락 사이에 낀 물건을 나타내며, 손가락이 서로 엇갈리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설문해자에서 "叉자는 손가락이 서로 어긋난 모양이다".라고 하고 又는 앞쪽이 갈라진 도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뭇가지나 삼지창(포크) 같은 것이다.
+
[[]](또 우)와 지사부호(`)로 구성되어, 손가락 사이로 무엇인가 끼워져 있는 모습을 그렸고, 이로부터 손가락 사이로 끼우다는 뜻이 나왔다. <ref> 하영삼,『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623p</ref>
 +
“叉“자는 상형자이다. 甲骨文[[갑골문]]과 小篆[[소전]]은 모두 손가락으로 물건을 찌르는 형태다. 又의 갑골문의 형태는 고대 문자에서 손 모양을 나타낸다. [[설문해자]]에서는 又는 [[手]]손의 모양이며 손가락을 많이 생략하여 세 개의 손가락만 나타낸다.”라고 되어 있다. “叉“자의 갑골문 형태는 손가락 사이에 낀 물건을 나타내며, 손가락이 서로 엇갈리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설문해자에서 "叉자는 손가락이 서로 어긋난 모양이다".라고 하고 又는 앞쪽이 갈라진 도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뭇가지나 삼지창(포크) 같은 것이다.<ref>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23p</ref>
  
==文化==
+
==참고문헌==
 +
#하영삼,『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각주==
 
==각주==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22일 (화) 23:52 기준 최신판

語源

叉 표.png

(또 우)와 지사부호(`)로 구성되어, 손가락 사이로 무엇인가 끼워져 있는 모습을 그렸고, 이로부터 손가락 사이로 끼우다는 뜻이 나왔다. [1] “叉“자는 상형자이다. 甲骨文갑골문과 小篆소전은 모두 손가락으로 물건을 찌르는 형태다. 又의 갑골문의 형태는 고대 문자에서 손 모양을 나타낸다. 설문해자에서는 又는 손의 모양이며 손가락을 많이 생략하여 세 개의 손가락만 나타낸다.”라고 되어 있다. “叉“자의 갑골문 형태는 손가락 사이에 낀 물건을 나타내며, 손가락이 서로 엇갈리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설문해자에서 "叉자는 손가락이 서로 어긋난 모양이다".라고 하고 又는 앞쪽이 갈라진 도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뭇가지나 삼지창(포크) 같은 것이다.[2]

참고문헌

  1. 하영삼,『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2.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각주

  1. 하영삼,『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623p
  2.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2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