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文化) |
(→文化)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서울 경.png|500픽셀|오른쪽]] | [[파일:서울 경.png|500픽셀|오른쪽]] | ||
− | 갑골문, | + | [[갑골문]], [[금문]]의 京자는 높은 토대 위에 있는 건축물인 궁궐을 상형했다. 기본적인 의미는 높은 산등성이를 가리켰다. 즉, 인위적인 높고 큰 토산을 가리켰으며, 또한 '높다', '크다'는 의미도 함유한다. 고대의 도성과 군왕의 궁궐은 대부분 높은 곳에 지어졌기 때문에 수도와 군왕이 있는 곳을 京이라하였다. 예를 들어, 京城(수도), 京畿(국가의 수도와 그 부근 지방), 京室(수도에 있는 집) 등이 있다.<br /> |
京은 본래 고대인이 높은 언덕위에 지은 반 혈거방식으로 지어졌던 거주지이다. 아래 부분의 문은 사람 일꾼이 세운 높은 흙 토대이다. 상고시대는 이렇게 높고 큰 건축물이 없어서, 제왕이 아니면 속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京자는 또한 황제가 거주하는 곳을 지칭한다. | 京은 본래 고대인이 높은 언덕위에 지은 반 혈거방식으로 지어졌던 거주지이다. 아래 부분의 문은 사람 일꾼이 세운 높은 흙 토대이다. 상고시대는 이렇게 높고 큰 건축물이 없어서, 제왕이 아니면 속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京자는 또한 황제가 거주하는 곳을 지칭한다. | ||
==文化== | ==文化== | ||
− | 京이 수도를 가리키게 된 것에 대해서 | + | 京이 수도를 가리키게 된 것에 대해서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br> |
− | 京의 갑골문과 당시 곡식창고의 모습이라고 생각되는 사진과 그 형태를 비교해보면 비슷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래의 기둥 부분은 고대 중국의 수도가 대부분 덥고 습한 중원지역에 있었다는 것을 상기하면 곡식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습기와 쥐의 침입을 피하기 위하여 지면 위로 올라와있음을 알 수 있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 + | 《시경》과 같은 일부 서적에서는 京자가 '커다란 곡식창고'를 가리켰다고 한다. 과거에는 세금을 곡물로 거두었고, 이것을 이용하여 나라를 운영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사의식에도 세금으로 거둔 곡물이 많이 이용되었을 것이니, 왕은 많은 양의 곡식을 저장할 수 있는 창고가 필요했을 것이다. 따라서 京이라는 글자는 처음에는 이 곡식창고를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후에 서울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처럼 보인다. <br /> |
− | 시라카와 | + | 京의 갑골문과 당시 곡식창고의 모습이라고 생각되는 사진과 그 형태를 비교해보면 비슷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래의 기둥 부분은 고대 중국의 수도가 대부분 덥고 습한 중원지역에 있었다는 것을 상기하면 곡식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습기와 쥐의 침입을 피하기 위하여 지면 위로 올라와있음을 알 수 있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p.285</ref> <br> |
+ | |||
+ | [[시라카와 시즈카]]는 京이란 이민족이나 적의 시체를 가지고 쌓은 개선문을 의미한다고 한다. <좌전>(선공 12년) 기록에 의하면 진나라와 초나라가 전투하여 초나라가 대승을 거두었는데, 신하 가운데 한 사람이 초왕에게 전장의 시체를 거두어 경관(京觀)을 만들라고 권했으나, 초왕은 [[武]]란 무기(戈)를 그치게하는(止) 자형이니 쓸데없이 무력을 과시하는 것은 참된 [[武]]의 길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했다고 한다. 여기서 경관이라 버려진 적의 시체를 높이 쌓아 만든 것으로 京이란 그 경관의 상형자이다. <ref> 시라카와 시즈카, 『한자-기원과 그 배경』, AK, 2017, p.81</ref>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
+ | |||
+ | 또한 즐비하다는 뜻에서 10조를 뜻하는 큰 숫자의 단위로 쓰이기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京은 수사로, 조(兆)의 만 배가 되는 수. 즉, 10의 16승을 이른다고 되어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2014). P.45</ref> |
2023년 12월 19일 (화) 15:03 기준 최신판
語源
갑골문, 금문의 京자는 높은 토대 위에 있는 건축물인 궁궐을 상형했다. 기본적인 의미는 높은 산등성이를 가리켰다. 즉, 인위적인 높고 큰 토산을 가리켰으며, 또한 '높다', '크다'는 의미도 함유한다. 고대의 도성과 군왕의 궁궐은 대부분 높은 곳에 지어졌기 때문에 수도와 군왕이 있는 곳을 京이라하였다. 예를 들어, 京城(수도), 京畿(국가의 수도와 그 부근 지방), 京室(수도에 있는 집) 등이 있다.
京은 본래 고대인이 높은 언덕위에 지은 반 혈거방식으로 지어졌던 거주지이다. 아래 부분의 문은 사람 일꾼이 세운 높은 흙 토대이다. 상고시대는 이렇게 높고 큰 건축물이 없어서, 제왕이 아니면 속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京자는 또한 황제가 거주하는 곳을 지칭한다.
文化
京이 수도를 가리키게 된 것에 대해서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시경》과 같은 일부 서적에서는 京자가 '커다란 곡식창고'를 가리켰다고 한다. 과거에는 세금을 곡물로 거두었고, 이것을 이용하여 나라를 운영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사의식에도 세금으로 거둔 곡물이 많이 이용되었을 것이니, 왕은 많은 양의 곡식을 저장할 수 있는 창고가 필요했을 것이다. 따라서 京이라는 글자는 처음에는 이 곡식창고를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후에 서울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처럼 보인다.
京의 갑골문과 당시 곡식창고의 모습이라고 생각되는 사진과 그 형태를 비교해보면 비슷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래의 기둥 부분은 고대 중국의 수도가 대부분 덥고 습한 중원지역에 있었다는 것을 상기하면 곡식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습기와 쥐의 침입을 피하기 위하여 지면 위로 올라와있음을 알 수 있다.[1]
시라카와 시즈카는 京이란 이민족이나 적의 시체를 가지고 쌓은 개선문을 의미한다고 한다. <좌전>(선공 12년) 기록에 의하면 진나라와 초나라가 전투하여 초나라가 대승을 거두었는데, 신하 가운데 한 사람이 초왕에게 전장의 시체를 거두어 경관(京觀)을 만들라고 권했으나, 초왕은 武란 무기(戈)를 그치게하는(止) 자형이니 쓸데없이 무력을 과시하는 것은 참된 武의 길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했다고 한다. 여기서 경관이라 버려진 적의 시체를 높이 쌓아 만든 것으로 京이란 그 경관의 상형자이다. [2]
또한 즐비하다는 뜻에서 10조를 뜻하는 큰 숫자의 단위로 쓰이기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京은 수사로, 조(兆)의 만 배가 되는 수. 즉, 10의 16승을 이른다고 되어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