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회의. 금문에서는 文과 鹿으로 구성되어 무늬가 있는 사슴을 의미하였는데, 이후 사슴이 머리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경사경.png|500픽셀|오른쪽]] | [[파일:경사경.png|500픽셀|오른쪽]] | ||
− | + | [[금문]]에서는 [[文]]과 [[鹿]]으로 구성되어 무늬가 있는 사슴을 의미하였는데, 이후 사슴이 머리와 몸통부분, 뒷다리로 분리되고 文자 대신에 心이 사용되면서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ref><br> | |
+ | |||
+ | [[갑골문]]과 [[금문]]은 해치[[廌]]와 마음 심(心)으로 구성된 회의자이며, 소송에서 이긴 해치가 그 기쁨을 나타내기 위해 가슴에 心자 형체의 표시를 통해 경사로움을 표시했다는 주장도 있다. 갑골문에서 사슴 [[鹿]]은 세로가 아닌 가로 방향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이 글자에 보이는 동물이 사슴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 | ||
==文化== | ==文化== | ||
− | 상주시대에 사슴은 길함을 상징했다. 사슴가죽은 예물의 용도 이외에도 축하나 손님접대를 위한 선물로도 사용되었다.<ref>廖文豪, 『汉字树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ref> 또한 고대중국에서는 결혼 축하 선물로 무늬가 든 아름다운 사슴 가죽을 가져가던 전통이 있었는데 이로부터 경사, 축하하다, 경축하다는 뜻이 나왔다. 사슴가죽은 중국 신화에서 인류의 시조가 되는 [[복희]]와 여와가 교접할 때 사용했던 상징물이었기 때문에 이런 전통이 생겼다. 이후 무늬를 뜻하는 文이 마음을 뜻하는 心으로 바뀌어 그런 축하가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와야함을 표현했다. | + | 상주시대에 사슴은 길함을 상징했다. 사슴가죽은 예물의 용도 이외에도 축하나 손님접대를 위한 선물로도 사용되었다.<ref>廖文豪, 『汉字树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ref> <br> |
+ | 또한 고대중국에서는 결혼 축하 선물로 무늬가 든 아름다운 사슴 가죽을 가져가던 전통이 있었는데 이로부터 경사, 축하하다, 경축하다는 뜻이 나왔다. 사슴가죽은 중국 신화에서 인류의 시조가 되는 [[복희]]와 여와가 교접할 때 사용했던 상징물이었기 때문에 이런 전통이 생겼다. 이후 무늬를 뜻하는 文이 마음을 뜻하는 心으로 바뀌어 그런 축하가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와야함을 표현했다. <br> | ||
+ | 이 글자에 보이는 해치([[廌]])라는 동물은 뿔이 하나 달린 짐승으로 죄를 지은 사람을 구별하여 뿔로 들이받아 내쫓았다고 전해진다. [[法]]자도 원래 이 동물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 ||
+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1년 3월 17일 (수) 16:18 기준 최신판
語源
금문에서는 文과 鹿으로 구성되어 무늬가 있는 사슴을 의미하였는데, 이후 사슴이 머리와 몸통부분, 뒷다리로 분리되고 文자 대신에 心이 사용되면서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1]
갑골문과 금문은 해치廌와 마음 심(心)으로 구성된 회의자이며, 소송에서 이긴 해치가 그 기쁨을 나타내기 위해 가슴에 心자 형체의 표시를 통해 경사로움을 표시했다는 주장도 있다. 갑골문에서 사슴 鹿은 세로가 아닌 가로 방향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이 글자에 보이는 동물이 사슴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
文化
상주시대에 사슴은 길함을 상징했다. 사슴가죽은 예물의 용도 이외에도 축하나 손님접대를 위한 선물로도 사용되었다.[2]
또한 고대중국에서는 결혼 축하 선물로 무늬가 든 아름다운 사슴 가죽을 가져가던 전통이 있었는데 이로부터 경사, 축하하다, 경축하다는 뜻이 나왔다. 사슴가죽은 중국 신화에서 인류의 시조가 되는 복희와 여와가 교접할 때 사용했던 상징물이었기 때문에 이런 전통이 생겼다. 이후 무늬를 뜻하는 文이 마음을 뜻하는 心으로 바뀌어 그런 축하가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와야함을 표현했다.
이 글자에 보이는 해치(廌)라는 동물은 뿔이 하나 달린 짐승으로 죄를 지은 사람을 구별하여 뿔로 들이받아 내쫓았다고 전해진다. 法자도 원래 이 동물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