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얼룩말 .png|500픽셀|오른쪽]]
+
[[파일:얼룩말.png|500픽셀|오른쪽]]
얼룩말(驳马)은 바로 여러 가지 색이 뒤얽힌 말이다. “爻”는 부호를 형용하는 것으로 엇갈리고 뒤섞인 것을 나타낸다. 얼룩말은 보통 두 가지의 다른 색깔이 불규칙적으로 전신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爻”을 사용해 엇갈리고 뒤섞인 것을 표현했다. “駁”는 여러 색채가 뒤섞여 얼룩덜룩 하다는 뜻으로 파생된 것 이외에도 두 가지의 상대적인(반대되는) 의견 혹은 사물 이라는 뜻으로 파생되기도 했다.《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p.42</ref>
+
얼룩말 박(駁) 즉 얼룩말(驳马)은 바로 여러 가지 색이 뒤얽힌 말이다. 원래 의미는 털빛이 깨끗하지 않은 말을 나타낸다. [[갑골문]]과 [[금문]]에서의 "駁"자의 모양은 일정하지 않지만, "[[馬]]"와 “爻”의 합성자인 것은 동일하다. “爻”는 고대인들이 점칠 때 쓰는 도구, 수를 헤아릴 때 사용하는 대나무 부호를 형용하는 것으로 엇갈리고 뒤섞인 것을 나타낸다. 혹은 “爻”을 교자한 대나무 울타리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 만들어진 울타리를 이용하여 말의 몸 위에 비춰 말의 색이 얼룩덜룩함을 표현했다.  <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 15</ref>얼룩말은 보통 두 가지의 다른 색깔이 불규칙적으로 전신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爻”을 사용해 엇갈리고 뒤섞인 것을 표현했다. “駁”는 여러 색채가 뒤섞여 얼룩덜룩 하다는 뜻으로 파생된 것 이외에도 두 가지의 상대적인(반대되는) 의견 혹은 사물 이라는 뜻으로 파생되기도 했다.<ref>《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p.42</ref>
한자어원사전에서는 駁이 회의자로 말마 와 가로지을 효, 사귈 효(爻)로 구성되어 있어, 무늬가 교차되듯 뒤섞여 있는 얼룩말을 말했고 무늬가 서로 뒤섞였다는 뜻에서 혼란스럽다는 의미가 다시 논박이나 반박 등의 뜻이 나왔다고 보고 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ref>
+
한자어원사전에서는 駁이 회의자로 말마(馬) 와 가로지을 효, 사귈 효(爻)로 구성되어 있어, 무늬가 교차되듯 뒤섞여 있는 얼룩말을 말했고 무늬가 서로 뒤섞였다는 뜻에서 혼란스럽다는 의미가 다시 논박이나 반박 등의 뜻이 나왔다고 보고 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ref> "[[설문해자]]"에서는 “駁, 馬色不純. 從馬, 爻聲"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곧 말의 색이 불순한 것으로, "馬"의 뜻을 따르고, "爻"의 음을 따른 자로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f> 간명 갑골문 자전, 손예철, ㈜박이정 </ref>  
==文化==
+
=文化=
두 가지의 상대적인 의견 혹은 사물이라는 것이 응용되어 <춘추번로>에서는 “영예와 치욕 두 가지를 초월하였다” 라는 말이 기록되었다.
+
두 가지의 상대적인 의견 혹은 사물이라는 뜻이 있다. 이것을 응용하여 <춘추번로>에서는 “영예와 치욕 두 가지를 초월하였다” 라는 말이 기록하였다.
  
 
==주석==
 
==주석==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23일 (수) 05:26 기준 최신판

語源

얼룩말.png

얼룩말 박(駁) 즉 얼룩말(驳马)은 바로 여러 가지 색이 뒤얽힌 말이다. 원래 의미는 털빛이 깨끗하지 않은 말을 나타낸다. 갑골문금문에서의 "駁"자의 모양은 일정하지 않지만, ""와 “爻”의 합성자인 것은 동일하다. “爻”는 고대인들이 점칠 때 쓰는 도구, 수를 헤아릴 때 사용하는 대나무 부호를 형용하는 것으로 엇갈리고 뒤섞인 것을 나타낸다. 혹은 “爻”을 교자한 대나무 울타리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 만들어진 울타리를 이용하여 말의 몸 위에 비춰 말의 색이 얼룩덜룩함을 표현했다. [1]얼룩말은 보통 두 가지의 다른 색깔이 불규칙적으로 전신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爻”을 사용해 엇갈리고 뒤섞인 것을 표현했다. “駁”는 여러 색채가 뒤섞여 얼룩덜룩 하다는 뜻으로 파생된 것 이외에도 두 가지의 상대적인(반대되는) 의견 혹은 사물 이라는 뜻으로 파생되기도 했다.[2] 한자어원사전에서는 駁이 회의자로 말마(馬) 와 가로지을 효, 사귈 효(爻)로 구성되어 있어, 무늬가 교차되듯 뒤섞여 있는 얼룩말을 말했고 무늬가 서로 뒤섞였다는 뜻에서 혼란스럽다는 의미가 다시 논박이나 반박 등의 뜻이 나왔다고 보고 있다.[3] "설문해자"에서는 “駁, 馬色不純. 從馬, 爻聲"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곧 말의 색이 불순한 것으로, "馬"의 뜻을 따르고, "爻"의 음을 따른 자로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文化

두 가지의 상대적인 의견 혹은 사물이라는 뜻이 있다. 이것을 응용하여 <춘추번로>에서는 “영예와 치욕 두 가지를 초월하였다” 라는 말이 기록하였다.

주석

  1. 이동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 15
  2. 이동 《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p.42
  3. 이동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4. 이동 간명 갑골문 자전, 손예철,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