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遲"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과 금문의 步는 하나는 앞에, 하나는 뒤에 있는 두 개의 발가락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
 
(語源)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걸음 보.png|500픽셀|오른쪽]]
+
[[파일:더딜 지.png|500픽셀|오른쪽]]
갑골문과 금문의 步는 하나는 앞에, 하나는 뒤에 있는 두 개의 발가락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좌우의 두 다리가 번갈아 교대하면서 ‘앞으로 나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그래서 步의 본래 의미는 ‘걷다’, ‘보행하다’이다. 또한 步는 하나의 길이 단위이다. 고대에는 발을 한 번 들어 올리는 것을 반걸음()라고 여겼고, 발을 두 번 들어 올리는 것을 한 걸음이라고 여겼다. 『순자荀子・권학劝学』 “반걸음을 쌓지 않으면, 천리에 다다를 없다.”고 하였다. 또한 주대에는 8척을 1보로 삼았고 진대에는 6척을 1보로, 300보를 1리로 삼았다.<ref>谢光辉, 『常用汉字图解』, 北京大学出版社, 1999, p.143</ref>
+
더디고 느리다는 뜻을 의미하는 遲(더딜 지)자는《[[설문해자]]》에서 "遲,徐行也。”이렇게 말하는데 이 말은 遲(더딜 지)자를 서행(느리게 가다)하다라는 뜻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 遲(더딜 지)자는 느린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며 [[갑골문]]에서도 중간에 彳(조금 걸을 척)자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걷는 모습을 나타내며 [[금문]]에 이르러서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가 된 것을 있다. <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30</ref>
  
 
==文化==
 
==文化==
步는 걷다. 보행하다를 가리킨다. 설문에서 “步는 걷다(行)”라고 말한다. 갑골문을 보면 하나는 앞, 하나는 뒤에 있는 두 개의 止(이는 趾의 초기 문자)를 사용하여 보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갑골문 중 일부는 行을 더하여 ‘걷는다’는 의미를 강화하였다. 금문은 개의 발 도장을 이용하여 걷는다는 것을 나타냈고, 금문 중의 일부도 여기에 行의 부호를 추가하였다. 소전은 갑골문과 금문을 따라서 하나는 정면, 하나는 반대의 止를 이용하여 묘사했다. 각각의 문자의 형태는 비록 다르지만, 모두 ‘발이 가는 것’을 이용하여 걷는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외에, 전국시대부터 당대까지 각기 다른 자형을 통해 고문자에서 금문으로의 발전 변화하는 궤적을 볼 수 있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 p.18</ref>
+
[[소전]]에는 두 가지 필법이 있다. 첫 번째는 금문의 辟자를 犀자로 쓴 것이다. 犀자는 코뿔소를 의미하는데 자형을 보면 사람이 코뿔소 뒤를 따라가는 것으로서 행동이 자연스럽게 즐겁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辟자의 우측 부분에 위치한 辛자를 줄여서 二자로 쓴 것이다. 二자는 고대 간화자에 속한다. 遲(더딜 지)자는 현대에 이르러 기존의 필법들이 통일되고 간화되어 迟라고 쓰인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30</ref>
 
+
 
步는 길이의 단위 중 하나인데, 步에 대한 고금의 함의가 서로 다르다. 『예기・제의』에 “故君子頃步而不敢忘孝也”(고로 군자께서는 조금을 걸어도 감히 효도를 잊지 않으신다.)라는 구절이 있다. 정현의 『주注』에서는 “頃當爲跬. 一擧足爲跬, 再擧足爲步.”(頃은 반걸음이다. 발을 들어서 간 걸음이 바로 반걸음이다. 다시 한 발을 더 걸으면 보가 된다.)고 하였다. 오늘날은 ‘발을 한걸음 내딛는 것’을 一步라 하는데, 고대에는 ‘두 다리가 앞으로 한 차례 나아가는 것’을 一步라 하였다. 즉, 고대의 一步는 오늘날의 兩步와 같다. 『순자・권학』에서 말한 跬步는 고대의 半步를 말하고, 오늘날의 一步에 해당한다.<ref>류지성, 임진호・김하종 역, 『문화문자학』, 문현, 2011, p.271</ref> 하지만 一步가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서는 문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사기에 의하면 6척이라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보가 300개 모인 거리가 마을 里이다. 만약 한나라 때의 계산법에 의한다면 一尺이 약 22cm이니 一步는 132cm, 一里는 약 396cm. 尺은 지금과 다소 다르지만 里는 현재의 쓰임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하영삼, 『문화로 읽는 한자』, 동방미디어, 1997, p.199</ref>
+
위의 코뿔소를 언급한 것에 관련하여 가지 흥미로운 점은 오늘날 중국에는 코뿔소가 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나라 때는 코뿔소가 사냥으로 흔히 잡을 수 있는 동물이었다. 상나라 사람들이 코뿔소를 잡았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코뿔소의 가죽이 갑옷을 만드는데 가장 질기고 단단했기 때문이다. 고대에는 전쟁이 빈번했기 때문에 방어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고, 자연스럽게 코뿔소를 잡아 방어 도구로 만든 것이다. 이로 인해 코뿔소가 중국에서 사라진 이유가 기후의 변화를 제외하고, 사람들이 대량으로 코뿔소를 잡았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ref>許進雄,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pp.53~54.</ref>  
 +
 
 +
遲(더딜 지)자는 현대에 여전히 느리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请勿迟到(지각하지 마세요), 事不宜迟(일은 늦추지 말아야 한다), 姗姗来迟(어슬렁어슬렁 늦게오다) 등의 시간과 관련된 부정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17일 (목) 23:59 기준 최신판

語源

더딜 지.png

더디고 느리다는 뜻을 의미하는 遲(더딜 지)자는《설문해자》에서 "遲,徐行也。”이렇게 말하는데 이 말은 遲(더딜 지)자를 서행(느리게 가다)하다라는 뜻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즉, 遲(더딜 지)자는 느린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며 갑골문에서도 중간에 彳(조금 걸을 척)자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걷는 모습을 나타내며 금문에 이르러서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가 된 것을 알 수 있다. [1]

文化

소전에는 두 가지 필법이 있다. 첫 번째는 금문의 辟자를 犀자로 쓴 것이다. 犀자는 코뿔소를 의미하는데 자형을 보면 사람이 코뿔소 뒤를 따라가는 것으로서 행동이 자연스럽게 즐겁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辟자의 우측 부분에 위치한 辛자를 줄여서 二자로 쓴 것이다. 二자는 고대 간화자에 속한다. 遲(더딜 지)자는 현대에 이르러 기존의 필법들이 통일되고 간화되어 迟라고 쓰인다.[2]

위의 코뿔소를 언급한 것에 관련하여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오늘날 중국에는 코뿔소가 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나라 때는 코뿔소가 사냥으로 흔히 잡을 수 있는 동물이었다. 상나라 사람들이 코뿔소를 잡았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코뿔소의 가죽이 갑옷을 만드는데 가장 질기고 단단했기 때문이다. 고대에는 전쟁이 빈번했기 때문에 방어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고, 자연스럽게 코뿔소를 잡아 방어 도구로 만든 것이다. 이로 인해 코뿔소가 중국에서 사라진 이유가 기후의 변화를 제외하고, 사람들이 대량으로 코뿔소를 잡았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3]

遲(더딜 지)자는 현대에 여전히 느리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请勿迟到(지각하지 마세요), 事不宜迟(일은 늦추지 말아야 한다), 姗姗来迟(어슬렁어슬렁 늦게오다) 등의 시간과 관련된 부정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1.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30
  2.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30
  3. 許進雄,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pp.5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