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아낄 린(인).png|500픽셀|오른쪽]]
+
[[파일:아낄 린(인).jpg|500픽셀|오른쪽]]
'吝자는 회한, 유감이다. <설문>: “인색하다, 미워하다.” 표현이 쉽지 않다. 글자를 만들거나, 깨달은 사람이 회한의 뜻을 나타내거나 하면, 입가에 주름이 생긴다. 그래서 갑골문은 이라고 썼다. 입에 ‘文 글월(문)’(文, 혹은 ‘紋’ 무늬(문))을 붙인다. 금문, 초백서, 소전 등은 자형이 비슷하고, 갑골문의 구조에 따라 이라고 쓴다. 즉 입가의 주름의 회의 문자이며, '입에서 나오는 소리' 형태의 형성 문자이다. 예서 작문은 이라고 쓰며, 이미 오늘의 문자가 되었다. 또 "설문고문"은 이라고 쓰며, 오른쪽의 ‘彡 터럭 (삼)’은 몇 번이나 반복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口’과 합성하는 것은, 바로 입안에서 계속해서 쯧쯧 소리를 연발하는 것이다.
+
吝(린)자는 회한, 유감을 나타낸다.  
  
 +
[[설문해자]]에는 “인색하다, 미워하다.” 고 설명한다.
 +
미워하다는 표현을 글자로 만들기는 쉽지 않다. [[갑골문]]에서는 입 옆에 ‘文’(무늬 紋)을 붙여, 입가에 생긴 주름으로 이런 복잡한 마음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
 +
[[금문]] [[소전]]도 자형은 갑골문의 구조에 따른다. 입가의 주름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회의자이며, 오른쪽의 ‘彡 터럭 (삼)’을 입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소리로 본다면 형성자이다.
  
 
==文化==
 
==文化==
회의 문자로, 文(무늬 문)과 口(입 구)로 구성되어, 모름지기 아름다운(文) 말(口)이란 ‘아껴야’ 한다는 뜻에서, ‘아끼다’의 뜻이, 다시 吝嗇(인색)하다는 뜻이 나왔는데, 고대 중국인들의 말과 음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반영했다. 『설문해자』의 고문체에서는 𠲲으로 써, 아름다운 말임을 강조하기 위해 文 대신 彣(채색무늬 문)이 더 들어갔다.
 
  
일본에서‘吝'자는 文(문)+口(입)으로 이루어진 회의 문자. 죽은 사람의 가슴에 통과의례로 베푸는 것을 의미. 口은(마지막) 축을 수 있는 그릇. 죽은 자에 대해 비는 뜻의 글자이다.
+
회의 문자로, 文(무늬 문)口(입 구)로 구성되어, 아름다운(文) 말(口)이란 ‘아껴야’ 한다는 뜻에서, ‘아끼다’의 뜻이, 다시 吝嗇(인색)하다는 뜻이 나왔는데, 고대 중국인들의 말과 음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반영했다.  
1. 애석히 여기다, 아쉬워하다
 
2. 인색하다
 
등의 의미를 가진다.
 
일본에서는 상용 한자가 아니다.
 
  
==出典==
+
『설문해자』의 고문체에서는 𠲲으로 써, 아름다운 말임을 강조하기 위해 文 대신 彣(채색무늬 문)이 더 들어갔다. 오른쪽의 ‘彡 터럭 (삼)’은 몇 번이나 반복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口’과 합성하여 입안에서 계속해서 쯧쯧 소리를 연발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보기도 한다.
하영삼, 한자어원사전(도서출판3, 2014), p212.
 

2023년 12월 26일 (화) 14:31 기준 최신판

語源

吝 아낄 린(인).jpg

吝(린)자는 회한, 유감을 나타낸다.

설문해자에는 “인색하다, 미워하다.” 고 설명한다. 미워하다는 표현을 글자로 만들기는 쉽지 않다. 갑골문에서는 입 옆에 ‘文’(무늬 紋)을 붙여, 입가에 생긴 주름으로 이런 복잡한 마음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금문 소전도 자형은 갑골문의 구조에 따른다. 입가의 주름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회의자이며, 오른쪽의 ‘彡 터럭 (삼)’을 입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소리로 본다면 형성자이다.

文化

회의 문자로, 文(무늬 문)과 口(입 구)로 구성되어, 아름다운(文) 말(口)이란 ‘아껴야’ 한다는 뜻에서, ‘아끼다’의 뜻이, 다시 吝嗇(인색)하다는 뜻이 나왔는데, 고대 중국인들의 말과 음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반영했다.

『설문해자』의 고문체에서는 𠲲으로 써, 아름다운 말임을 강조하기 위해 文 대신 彣(채색무늬 문)이 더 들어갔다. 오른쪽의 ‘彡 터럭 (삼)’은 몇 번이나 반복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口’과 합성하여 입안에서 계속해서 쯧쯧 소리를 연발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