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8년 12월 16일 (일) 03:43 (차이 | 역사) . . (0) . . 竽
- 2018년 12월 16일 (일) 03:42 (차이 | 역사) . . (+2,963) . . 새글 竽 (새 문서: ==語源== 피리竽의 갑골문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孫海波는 해석되지 않은 갑골문으로서 다음 표에 첨부한 모양의 글자들을 제시하였다. 裘...)
- 2018년 12월 16일 (일) 03:25 (차이 | 역사) . . (+1,650) . . 새글 鼖 (새 문서: ==語源== 갑골문의 ‘(鼖)’자는 큰 북을 나타낸다.『說文』에서는 “大鼓謂之鼖。鼖八尺而兩面。큰 북을 ‘鼖’이라고 한다. 8척 크기이...)
- 2018년 12월 16일 (일) 03:17 (차이 | 역사) . . (0) . . 瑟 (→文化)
- 2018년 12월 16일 (일) 03:17 (차이 | 역사) . . (+120) . . 瑟
- 2018년 12월 16일 (일) 03:16 (차이 | 역사) . . (+2,294) . . 새글 瑟 (새 문서: ==語源== 瑟은 많은 현을 가진 현악기의 형상으로, 아랫부분의 必은 성부로, 후에 추가된 것이라 하였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문자...)
- 2018년 12월 16일 (일) 02:55 (차이 | 역사) . . (+332) . . 南
- 2018년 12월 16일 (일) 02:53 (차이 | 역사) . . (+2,364) . . 새글 南 (새 문서: ==語源== 갑골문 자형에 따르면 南 끈으로 매단 종의 형태를 의미한다. 이 밖에도 따로 채를 쥐고 이 악기를 치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한다....)
- 2018년 12월 16일 (일) 02:23 (차이 | 역사) . . (-1) . . 孝 (→孝의 갑골문 자형에 따른 다른 해석)
- 2018년 12월 16일 (일) 02:23 (차이 | 역사) . . (-4) . . 孝 (→文化)
- 2018년 12월 16일 (일) 02:22 (차이 | 역사) . . (+3,431) . . 孝
- 2018년 12월 15일 (토) 23:22 (차이 | 역사) . . (+97) . . 중국문자의이해 (→2018년)
- 2018년 12월 3일 (월) 17:32 (차이 | 역사) . . (+8) . . 거연한간
- 2018년 12월 3일 (월) 17:24 (차이 | 역사) . . (-5) . . 거연한간 (→문자학적 특징과 의의)
- 2018년 12월 3일 (월) 17:22 (차이 | 역사) . . (+59) . . 거연한간
- 2018년 11월 26일 (월) 15:10 (차이 | 역사) . . (-2) . . 거연한간 (→특징과 의의)
- 2018년 11월 26일 (월) 15:04 (차이 | 역사) . . (+27) . . 거연한간
- 2018년 11월 26일 (월) 14:59 (차이 | 역사) . . (-3) . . 거연한간 (→문자학적 특징과 의의)
- 2018년 11월 26일 (월) 14:58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5. 거연한간.PNG (최신)
- 2018년 11월 23일 (금) 16:55 (차이 | 역사) . . (-17) . . 거연한간
- 2018년 11월 23일 (금) 16:54 (차이 | 역사) . . (-3) . . 거연한간 (→3. 거연한간 형성의 시대적 배경)
- 2018년 11월 23일 (금) 16:54 (차이 | 역사) . . (-2) . . 거연한간 (→2. 발견 및 소장)
- 2018년 11월 23일 (금) 16:54 (차이 | 역사) . . (-2) . . 거연한간 (→1. 개요)
- 2018년 11월 23일 (금) 16:50 (차이 | 역사) . . (-1) . . 거연한간
- 2018년 11월 23일 (금) 16:49 (차이 | 역사) . . (0) . . 거연한간
- 2018년 11월 23일 (금) 16:48 (차이 | 역사) . . (+26) . . 거연한간 (→5. 참고문헌)
- 2018년 11월 23일 (금) 16:45 (차이 | 역사) . . (+36) . . 거연한간 (→5. 참고문헌)
- 2018년 11월 23일 (금) 16:44 (차이 | 역사) . . (-7) . . 거연한간 (→4-4)한의병리학사적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44 (차이 | 역사) . . (+1,442) . . 거연한간 (→5. 참고문헌)
- 2018년 11월 23일 (금) 16:43 (차이 | 역사) . . (+2,586) . . 거연한간 (→4-4)한의병리학사적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41 (차이 | 역사) . . (+3,072) . . 거연한간 (→4-3)고대 생태환경사적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37 (차이 | 역사) . . (+3,804) . . 거연한간 (→4-2)사회-생활사적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31 (차이 | 역사) . . (-7) . . 거연한간 (→4-1)문자학적 특징과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29 (차이 | 역사) . . (+4) . . 거연한간 (→4-1)문자학적 특징과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27 (차이 | 역사) . . (-54) . . 거연한간 (→4-1)문자학적 특징과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27 (차이 | 역사) . . (+1,252) . . 거연한간 (→4-1)문자학적 특징과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23 (차이 | 역사) . . (+2,828) . . 거연한간 (→4-1)문자학적 특징과 의의)
- 2018년 11월 23일 (금) 16:21 (차이 | 역사) . . (+241) . . 거연한간
- 2018년 11월 23일 (금) 16:18 (차이 | 역사) . . (+3) . . 거연한간 (→개요)
- 2018년 11월 23일 (금) 16:18 (차이 | 역사) . . (+2) . . 거연한간 (→발견 및 소장)
- 2018년 11월 23일 (금) 16:18 (차이 | 역사) . . (+3,063) . . 거연한간 (→거연한간 형성의 시대적 배경)
- 2018년 11월 23일 (금) 16:11 (차이 | 역사) . . (-28) . . 거연한간 (→2. 발견 및 소장)
- 2018년 11월 23일 (금) 16:11 (차이 | 역사) . . (-3) . . 거연한간 (→3. 거연한간 형성의 시대적 배경)
- 2018년 11월 23일 (금) 16:11 (차이 | 역사) . . (-2) . . 거연한간 (→2. 발견 및 소장)
- 2018년 11월 23일 (금) 16:11 (차이 | 역사) . . (-3) . . 거연한간 (→1. 개요)
- 2018년 11월 23일 (금) 16:10 (차이 | 역사) . . (-113) . . 거연한간 (→2. 발견 및 소장)
- 2018년 11월 23일 (금) 16:07 (차이 | 역사) . . (+3,090) . . 거연한간 (2부분까지.)
- 2018년 11월 23일 (금) 15:46 (차이 | 역사) . . (+38) . . 거연한간 (개요)
- 2018년 11월 23일 (금) 15:44 (차이 | 역사) . . (+3,299) . . 새글 거연한간 (새 문서: 거연한간(居延漢簡) == 1. 개요 == 중국 간쑤성 북서부의 에티나 강/에치나 강/어지나 강 유역에서 발굴된<ref> 黑河라고도 하며, 간쑤성(감...)
- 2018년 11월 5일 (월) 21:51 (차이 | 역사) . . (+17) . . 중국문자의이해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