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語源
야(野)는 교외를 의미한다. 주나라 때에는 왕성으로부터 백리 밖의 지역을 지칭했다.
『설문해자』에서도 "野는 교외이다."라고 말하였다.
갑골문과 소전에서 양 쪽, 혹은 위 부분은 숲의 형상이고, 아래 부분은 흙으로, 바로 전형적인 한폭의 교외의 풍경화로 회의자에 속한다.
文化
野자의 본래 뜻은 교외, 교원, 논밭과 들판을 가리켰으며, 또한 변경 마을, 멀리 떨어진 벽지를 가리켰다. 그 뜻이 파생되어 민간을 가리키게 되었고, 조정과 상대적인 글자가 되었다.
野는 또한 야생의 동물 혹은 식물을 가리키며, '양식', '인공재배'와 상대적이며, 그 뜻이 파생되어 사람의 행위의 야만적인 것, 교양이 없는 것을 가리키게 되었고, '문명'의 반대말이 되었다.
"설문고문"에 林의 사이에 더해진 부분(予)은 바로 소전이 형성자로 변하는데 기초를 제공하였다. 小篆에서는 里의 뜻과 予의 소리를 따르는 형성자로 변하였다.
野(야)는 ‘里’와 ‘予’로 이루어졌다. 리(里)는 성 밖의 마을을 뜻하고, 여(予)자에는 같은 계열의 독음인 느릴 서(徐)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여유 있음'이란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야(野)'자의 의미는 '성 밖의 마을에서 한가롭게 살다'가 되는 것이다.[1]
- ↑ 김근, 『욕망하는 천자문-문자 속에 숨은 권력, 천자문 다시 읽기』, p.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