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 /링크 모음 -->
 
<!-- /링크 모음 -->
 
</div>
 
</div>
 
 
<!-- 본문 왼쪽 -->
 
<!-- 본문 왼쪽 -->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 공지-->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공지</div><div id="mp-itn"></div>
 
[[파일:2018 중국어문화학과 교육과정.png|300픽셀|왼쪽|링크=수업 자료실]]
 
2018년 개정된 새로운 중국어문화학과 교육과정을 소개합니다 . <br />
 
 
'''[[수업 자료실|개정된 2018년 교육과정 자세히 보기...]]'''
 
</div>
 
 
<!--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div><div id="mp-itn"></div>
 
[[파일:중국어문화학과십년사.png|300픽셀|왼쪽|링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2018년은 서울시립대학교가 100주년이 되는 동시에 중국어문화학과도 1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재 우리 대학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 100년사를, 우리 학과 역시 10년사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10년의 역사를 어느 한 개인이 집필하는 것보다는 모두의 지혜와 추억을 모아 집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여기]]에 공동 집필의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중국어문화학과 구성원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문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br/>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공동집필에 참여하기...]]'''
 
</div>
 
  
 
<!-- 오늘의 알찬 글-->
 
<!-- 오늘의 알찬 글-->
71번째 줄: 54번째 줄:
 
'''[[광군제|자세히 읽기...]]'''
 
'''[[광군제|자세히 읽기...]]'''
 
</div>
 
</div>
 
+
<!-- 중국의 인물-->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
[[파일:공자.jpg|150픽셀|왼쪽|링크=공자]]
 +
'''[[공자]]'''(孔子)는 유가의 시조이다. 춘추시대 말기에 활동한 사상가이며 제자들을 가르친 교육자이다.<br/>기원전 511년 노(魯)나라에서 태어났으며 기원전 479년 고향에서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키가 2미터나 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다소 과장된 감이 있다. 유명한 『논어』가 대표 서적으로 남아있다. 이 책은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가 한 말을 옮겨 적은 언행록이다. 한나라 이후에 유교가 국교로 채택되었기 때문에 『논어』는 중국에서 높은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논어』 속에 드러난 공자의 중심 사상은 인(仁) 과 예(禮)이다. 인(仁)은 모든 덕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예(禮)는 공동체나 사회가 마땅히 따라야 하는 습관과 규칙이다. <br/> 또한 공자는 '극기복례(克己復禮)'를 주장했다. 극기복례(克己復禮)는 나 자신을 극복하고 예절로 돌아가는 것을 뜻한다. 이것이 공자가 생각한 인이며 덕으로 가는 방법이다. 『논어』 속에는 중국 문화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고대 예절에 대한 언급과 공자의 사상들이 담겨져 있다. 『논어』는 현대 중국에서도 중요한 고전으로 널리 읽히고 있으며 공자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평가를 받는 인물이기도 하다.<br/>
 +
'''[[공자|자세히 읽기...]]'''
 +
</div>
  
 
<!-- /본문 왼쪽 -->
 
<!-- /본문 왼쪽 -->
116번째 줄: 105번째 줄:
 
'''2017년 2학기 수업자료실'''
 
'''2017년 2학기 수업자료실'''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7년 2학기 강의|문화로읽는중국문자]]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7년 2학기 강의|문화로읽는중국문자]]
</div>
 
 
<!-- 중국의 인물-->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파일:공자.jpg|150픽셀|왼쪽|링크=공자]]
 
'''[[공자]]'''(孔子)는 유가의 시조이다. 춘추시대 말기에 활동한 사상가이며 제자들을 가르친 교육자이다.<br/>기원전 511년 노(魯)나라에서 태어났으며 기원전 479년 고향에서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키가 2미터나 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다소 과장된 감이 있다. 유명한 『논어』가 대표 서적으로 남아있다. 이 책은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가 한 말을 옮겨 적은 언행록이다. 한나라 이후에 유교가 국교로 채택되었기 때문에 『논어』는 중국에서 높은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논어』 속에 드러난 공자의 중심 사상은 인(仁) 과 예(禮)이다. 인(仁)은 모든 덕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예(禮)는 공동체나 사회가 마땅히 따라야 하는 습관과 규칙이다. <br/> 또한 공자는 '극기복례(克己復禮)'를 주장했다. 극기복례(克己復禮)는 나 자신을 극복하고 예절로 돌아가는 것을 뜻한다. 이것이 공자가 생각한 인이며 덕으로 가는 방법이다. 『논어』 속에는 중국 문화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고대 예절에 대한 언급과 공자의 사상들이 담겨져 있다. 『논어』는 현대 중국에서도 중요한 고전으로 널리 읽히고 있으며 공자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평가를 받는 인물이기도 하다.<br/>
 
'''[[공자|자세히 읽기...]]'''
 
 
</div>
 
</div>
 
<!-- /본문 오른쪽 -->
 
<!-- /본문 오른쪽 -->
 
</div>
 
</div>
 +
<!-- /본문 -->
  
<!-- /본문 -->
 
 
<!-- 바닥글 -->
 
<!-- 바닥글 -->
 
<div id="mp_footer" style="clear: both; height: 100%; overflow: auto; font-size: small;">
 
<div id="mp_footer" style="clear: both; height: 100%; overflow: auto; font-size: small;">
134번째 줄: 115번째 줄:
 
<div id="mp_sisterProjects" class="mp_outer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sisterProjects" class="mp_outer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커뮤니티]]</div>
 
<div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커뮤니티]]</div>
[[파일:중문과 커뮤니티.png|300픽셀|왼쪽|링크=http://chineseagora.uos.ac.kr/]]<br/>
+
[[파일:중문과 커뮤니티.png|300픽셀|왼쪽|링크=http://chineseagora.uos.ac.kr/]]
 +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big>'''학과 소개</bi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br/>
 +
[[사람들|<big>'''사람들</big>''']]  중국어문화학과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  <br/>
 +
[[학과 활동|<big>'''학과 활동</big>''']]  {{색|red|[[답사|학술 답사]]  [[학술제]]  [[C-Camp]]  [[C-Café]]  [[교환학생]]  [[소모임|학과 소모임]]}}<br/>
 +
</div>
  
 +
<!-- 본문 왼쪽 -->
 +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
<!-- 공지-->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공지</div><div id="mp-itn"></div>
 +
[[파일:2018 중국어문화학과 교육과정.png|300픽셀|왼쪽|링크=수업 자료실]]
 +
2018년 개정된 새로운 중국어문화학과 교육과정을 소개합니다 . <br />
  
 +
'''[[수업 자료실|개정된 2018년 교육과정 자세히 보기...]]'''
 +
</div>
 +
<!-- /본문 왼쪽 -->
 +
</div>
  
 
+
<!-- 본문 오른쪽 -->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big>'''학과 소개</bi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br/>
+
<div id="mp_contentsR" style="width: 40%; height: 100%; float: right;">
 
+
<!--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사람들|<big>'''사람들</big>''']] 중국어문화학과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  <br/>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div><div id="mp-itn"></div>  
*[[학과 활동|<big>'''학과 활동</big>''']]  {{색|red|[[답사|학술 답사]] [[학술제]]  [[C-Camp]]  [[C-Café]]  [[교환학생]]  [[소모임|학과 소모임]]}}<br/>  
+
[[파일:중국어문화학과십년사.png|300픽셀|왼쪽|링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
2018년은 서울시립대학교가 100주년이 되는 동시에 중국어문화학과도 1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재 우리 대학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 100년사를, 우리 학과 역시 10년사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10년의 역사를 어느 한 개인이 집필하는 것보다는 모두의 지혜와 추억을 모아 집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여기]]에 공동 집필의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중국어문화학과 구성원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문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br/>
*[[교환학생|<big>'''교환학생 정보</big>''']]  교환학생에 대한 거의 모든 정보 <br/>
+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공동집필에 참여하기...]]'''
 
+
</div>
*[[학생회 |<big>'''중국어문화학과 학생회</big>''']]  중국어문화학과 학생회 활동을 위한 열린 공간 <br/>
+
<!-- /본문 오른쪽 -->
 
</div>
 
</div>
 
+
<!-- /바닥글 -->
 
 
</div><!-- /바닥글 -->
 

2018년 3월 6일 (화) 15:35 판

위키로고배경.pn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1월 22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2,112개가 실려 있습니다.
세계.jpeg

농민공이란 "농촌 호적임에도 도시로 들어와 일하며 지방(현지) 혹은 외지에서 비농업에 6개월 이상 노동한 노동자"를 의미한다. 즉, 농민의 신분으로 노동자의 일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지방(현지)에서 일하는 농민공은 (本地农民工) 혹은 1세대 농민공이라고 부른다. 1세대 농민공은 1980년대 향진기업에 취업한 농민들이다. 1세대 농민공들은 离土不离乡( 땅을 떠나지만 고향을 떠나지는 않는다)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땅을 떠났기 때문에 농업에 종사하지 않지만 여전히 그 지방에서 일을 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이르러 농민공들은 离土又离乡(땅도 떠나고 고향도 떠난다) 점차 자신의 고향을 떠나 외지에서 일을 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농민공들을 (外出农民工), 신세대 농민공이라고 부른다.

자세히 읽기...

새 신.png

新은 薪의 원래 글자이다. 갑골문과 금문의 新자는 우변의 “斤”이 도끼를 대표하고 좌변은 장작의 형태이다. 글자의 구성요소를 보면 도끼를 이용해 장작을 쪼갠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新자의 본래 의미는 장작이라는 의미였는데 후에 新舊(신구)의 新(새로움)로 많이 차용되었다. 나중에는 장작이라는 본래 의미를 표현하고자 薪자를 만들었다.

자세히 읽기...

광군제.PNG

광군제는 중국에서 11월 11일을 뜻하는 말로,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이 이루어지는 날을 말한다. 독신을 뜻하는 숫자 '1'이 네 번 겹치는 11월 11일, 솔로들을 겨냥해 중국 상인들이 할인 판매에 나선 것이 중국 최대 쇼핑 시즌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함께 세계 최대 할인행사 중 하나이다.
광군제에서 광군(光棍)’은 중국어로 배우자나 애인이 없는 싱글을 뜻하는 단어이다. 1993년 중국 난징(南京)대 대학생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자세히 읽기...

공자.jpg

공자(孔子)는 유가의 시조이다. 춘추시대 말기에 활동한 사상가이며 제자들을 가르친 교육자이다.
기원전 511년 노(魯)나라에서 태어났으며 기원전 479년 고향에서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키가 2미터나 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다소 과장된 감이 있다. 유명한 『논어』가 대표 서적으로 남아있다. 이 책은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가 한 말을 옮겨 적은 언행록이다. 한나라 이후에 유교가 국교로 채택되었기 때문에 『논어』는 중국에서 높은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논어』 속에 드러난 공자의 중심 사상은 인(仁) 과 예(禮)이다. 인(仁)은 모든 덕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예(禮)는 공동체나 사회가 마땅히 따라야 하는 습관과 규칙이다.
또한 공자는 '극기복례(克己復禮)'를 주장했다. 극기복례(克己復禮)는 나 자신을 극복하고 예절로 돌아가는 것을 뜻한다. 이것이 공자가 생각한 인이며 덕으로 가는 방법이다. 『논어』 속에는 중국 문화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고대 예절에 대한 언급과 공자의 사상들이 담겨져 있다. 『논어』는 현대 중국에서도 중요한 고전으로 널리 읽히고 있으며 공자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평가를 받는 인물이기도 하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

중국역사사전로고.png

중국문화사1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

중국인물사전로고1.png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

중국 역사 고사성어 사전 :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만들어진 고사성어 종합사전
중국어 유행어 사전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중국어 유행어를 정리한 사전
중국 인문지리사전 : 중국의 인문지리에 대한 종합 백과사전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
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2018년 1학기 수업자료실

2017년 2학기 수업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