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庫"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文化)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文化== | ==文化== | ||
+ | 송나라 때에는 술집을 뜻하기도 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54</ref> 또한 16세기 고문서에 쓰인 이두(吏讀)에서도 庫의 쓰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당시 중세국어는 ‘곳’을 ‘庫’와 ‘庫叱(고질)’로 표기했다.<ref>박성종, 「16세기 고문서의 기초연구 : 16세기 고문서 이두의 예비적 고찰」, 『고문서연구』, vol.24, 2004</ref> | ||
==출처== | ==출처== |
2018년 12월 15일 (토) 02:20 판
語源
회의(會意)자. 广(집 엄)과 車(수레 거)가 합해진 글자로 전차나 수레를 넣어두는 집을 뜻한다. 이후 무기를 넣어두던 무기고나 창고, 감옥의 뜻이 나왔다. 허신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전차를 놓는 창고(兵車藏也)’로 해석하고 있다.[1] 관련 단어로는 국고(國庫), 재고(在庫), 창고(倉庫)가 있다.
文化
송나라 때에는 술집을 뜻하기도 했다.[2] 또한 16세기 고문서에 쓰인 이두(吏讀)에서도 庫의 쓰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당시 중세국어는 ‘곳’을 ‘庫’와 ‘庫叱(고질)’로 표기했다.[3]
출처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