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語源) |
잔글 (→語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깊을 심(深).png|600픽셀|오른쪽]] | [[파일:깊을 심(深).png|600픽셀|오른쪽]] | ||
− | 邊(가 변)과 마찬가지로 글자 深에 대한 해석 또한 다양하다. | + | [[邊]](가 변)과 마찬가지로 글자 深에 대한 해석 또한 다양하다. |
『汉字树』에서는 深을 '깊이를 재려고 물(氵)이 있는 동굴([[穴]]) 안으로 나무 막대기(木)를 넣는 모습'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때 금문과 소전에 [[术]](차조 출)이 있는데 이것이 손을 뜻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또 다른 소전에서 术이 [[木]](나무 목)으로 바뀌면서 손이 막대기로 바뀐 것이라고 주장한다.<ref>廖文豪,『汉字树 5-汉字中的建築與器皿』,中国商业出版社, pp.59-60</ref> | 『汉字树』에서는 深을 '깊이를 재려고 물(氵)이 있는 동굴([[穴]]) 안으로 나무 막대기(木)를 넣는 모습'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때 금문과 소전에 [[术]](차조 출)이 있는데 이것이 손을 뜻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또 다른 소전에서 术이 [[木]](나무 목)으로 바뀌면서 손이 막대기로 바뀐 것이라고 주장한다.<ref>廖文豪,『汉字树 5-汉字中的建築與器皿』,中国商业出版社, pp.59-60</ref> |
2018년 12월 16일 (일) 19:10 판
語源
邊(가 변)과 마찬가지로 글자 深에 대한 해석 또한 다양하다.
『汉字树』에서는 深을 '깊이를 재려고 물(氵)이 있는 동굴(穴) 안으로 나무 막대기(木)를 넣는 모습'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때 금문과 소전에 术(차조 출)이 있는데 이것이 손을 뜻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또 다른 소전에서 术이 木(나무 목)으로 바뀌면서 손이 막대기로 바뀐 것이라고 주장한다.[1]
반면 『图释古汉字』에서는 深의 금문 자형을 근거로 深이 '물(점 두 개)이 있는 동굴(穴)로 사람(兄)이 들어가는 모습'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 경우 소전에서 물(水)과 사람(兄)이 求(구할 구)와 火(불 화)로 바뀐 것이 되며, 소전에서 '穴, 求, 水'이 세 한자를 조합해 深을 '동굴 속 물의 깊이를 재는 것'으로 만든 것이 된다.[2]
한편 허신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深을 "본래 계양군(桂陽郡) 남평(南平)에서 나와 서쪽으로 흘러 영도현(營道縣)으로 가는 강 이름인데 이후 '깊다, 정도가 심하다, 진하다'는 뜻이 나온 것(水。出桂陽南平,西入營道。)"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 외에도 深을 '광산 구덩이의 깊은 곳에서 한 사람이 땀으로 등이 젖은 채 입을 크게 벌리고 호흡곤란에 빠진 모습'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