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尺"의 두 판 사이의 차이
(→文化) |
(→文化)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呂氏春秋>에서는, "欲知平直 則必準繩, 欲知方圓 則必規矩(욕지평직 즉필준승, 욕지방원 즉필규구)"이라,“수평과 수직을 알려면 반드시 수준기와 먹줄이 있어야하고, 방형과 원형을 알려면 반드시 그림쇠와 곱자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 언구는 시진핑이 2015년 1월 13일, 제 18회 중앙기율검사연원회 제 5차 전체회의에서 공산당의 규율과 법칙을 강조하는 연설에서 언급한 것으로 유명하다. | <呂氏春秋>에서는, "欲知平直 則必準繩, 欲知方圓 則必規矩(욕지평직 즉필준승, 욕지방원 즉필규구)"이라,“수평과 수직을 알려면 반드시 수준기와 먹줄이 있어야하고, 방형과 원형을 알려면 반드시 그림쇠와 곱자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 언구는 시진핑이 2015년 1월 13일, 제 18회 중앙기율검사연원회 제 5차 전체회의에서 공산당의 규율과 법칙을 강조하는 연설에서 언급한 것으로 유명하다. | ||
− | 현대에서는 단순히 길이를 나타내기 보다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咫尺(지척)이라는 아주 가까운 거리를 나타내는 뜻으로 사용되거나 垂涎三尺 군침이 3척이나 돈다는 말로 과장된 표현으로 | + | 현대에서는 단순히 길이를 나타내기 보다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咫尺(지척)이라는 아주 가까운 거리를 나타내는 뜻으로 사용되거나 垂涎三尺 군침이 3척이나 돈다는 말로 과장된 표현으로 쓰인다.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0년 12월 17일 (목) 23:52 판
語源
尺(자 척)자는 길이 단위 중 하나이다. 《설문해자》에서는 "尺,十寸也。”1척이 10寸을 나타낸다고 묘사한다. (1척은 현재 대략 30.3cm이다.) 그래서 10寸은 1尺과 동일하고, 10尺은 1丈과 같다. 고대에는 각종 길이 단위를 인체의 부위로 기준을 삼았는데 寸, 尺, 咫 등이 바로 이런 예이다. 사람의 팔꿈치에서 손목까지나 사람의 발목에서 무릎까지의 길이가 약 1척이었기 때문에 금문과 소전의 尺(자 척)자는 사람이 옆으로 누운 모습인 尸(주검 시)자 아래(다리 부분)에 부호를 하나 추가하여 이 곳이 1척의 길이라는 것을 알려주었다. 예서부터는 사람의 상반신을 평평하고 곧게 펴서 그렸기 때문에 사람의 형태는 사라졌다. [1]
文化
도량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아무래도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일 것이다. 부피나 무게 단위에 비해 가장 상세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고대 중국인들이 길이를 재는 잣대로 주위에서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은 손이나 발과 같은 인간 신체의 일부였을 것이다. 예컨대 중국의 전통적 길이 단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자 척(尺)은 손가락을 벌렸을 때 엄지와 검지 사이의 거리(한 뼘)를 말하는데, 현존하는 상나라 때의 상아로 만든 자[尺]의 길이는 약 15.8cm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나라에 들어서는 엄지와 중지 사이의 거리를 말하게 되었는지, 1척이 약 22cm정도 된다고 한다. 이러한 신체를 통해 길이의 도량형은 상나라 때에 이미 상품의 표준화가 되고 있었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2]
척(尺)보다 작은 단위로서 마디 촌(寸)이 있는데, 이는 손가락 옆에 짧은 가로획을 그려 형상화한 글자로 손가락 한 마디의 길이를 의미한다. 10촌이 1척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보통 여인의 손 길이로 대략 8촌에 해당하는”(『설문해자(說文解字)』) 지(咫)가 있는데, 이는 소리부인 다만 지(只)와 의미부인 척(尺)으로 구성되어 이 글자 역시 척(尺)에서 파생된 길이 단위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장(丈)은 사람의 팔 모습을 그렸으며, 보통 10척이 1장에 해당한다.[3]
옛 사람들은 상례와 장례 의례를 중시하여, 사람이 죽으면 시신의 신체를 측정해 관과 상복을 맞추었다. 전서의 형태는 밧줄로 가로누운 사람을 측량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량형이 없던 옛 시대에는 밧줄로 길이를 측정하는 실용적이고 간단한 방법이 있었다. 여기서 비롯하여 척은 길이를 측정하다,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 혹은 단위를 의미하게 되었다. 가구, 의복 등을 제조할 때 과도하게 길거나 짧아짐을 피하기 위해 척으로 측정을 한 후 제조하였는데, 여기서 제한의 의미가 파생되게 된다.[4]
주나라 사람에게 밧줄은 측량 도구였다. 밧줄로써 거리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굽음과 곧음도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准绳(먹줄;기준, 표준)의 의미가 파생되었다.[5] <呂氏春秋>에서는, "欲知平直 則必準繩, 欲知方圓 則必規矩(욕지평직 즉필준승, 욕지방원 즉필규구)"이라,“수평과 수직을 알려면 반드시 수준기와 먹줄이 있어야하고, 방형과 원형을 알려면 반드시 그림쇠와 곱자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 언구는 시진핑이 2015년 1월 13일, 제 18회 중앙기율검사연원회 제 5차 전체회의에서 공산당의 규율과 법칙을 강조하는 연설에서 언급한 것으로 유명하다.
현대에서는 단순히 길이를 나타내기 보다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咫尺(지척)이라는 아주 가까운 거리를 나타내는 뜻으로 사용되거나 垂涎三尺 군침이 3척이나 돈다는 말로 과장된 표현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