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甫"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시라가와 시즈카]]는 圃가 "이미 경작을 하였거나 식물을 심은 곳"이라 설명한다. 이는 형성자이며, [[田]](경작지) 가운데에 풀(草)이나 나무(木)을 더한 모습이라는 주장이다.<ref>시라가와 시즈카, 《한자의 역사》, 고인덕 역, 솔출판사, 2008, p.470</ref> | [[시라가와 시즈카]]는 圃가 "이미 경작을 하였거나 식물을 심은 곳"이라 설명한다. 이는 형성자이며, [[田]](경작지) 가운데에 풀(草)이나 나무(木)을 더한 모습이라는 주장이다.<ref>시라가와 시즈카, 《한자의 역사》, 고인덕 역, 솔출판사, 2008, p.470</ref> | ||
− | 또한 [[설문해자]]에서 [[허신]]은 말의 연원이 언어의 파생 관계에서 형성된 한자인 赤聲字라고 보았다. 허나 甫는 赤聲字의 모어가 赤聲이라고 한 편방자가 아니기 때문에 적성자라고 볼 수 없다.<ref>손예철, 《한자학개론》, 박이정, 2014, p. 322-325 | + | 또한 [[설문해자]]에서 [[허신]]은 말의 연원이 언어의 파생 관계에서 형성된 한자인 赤聲字라고 보았다. 허나 甫는 赤聲字의 모어가 赤聲이라고 한 편방자가 아니기 때문에 적성자라고 볼 수 없다.<ref>손예철, 《한자학개론》, 박이정, 2014, p. 322-325</ref> |
−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허신은 甫를 [[父]]와 [[用]]으로 구성된 한자라 보고 있다. 허나 갑골문과 금문을 통해 원형을 확인하면 잘못된 설명임을 알 수 있다.<ref>위와 같음, p. | +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허신은 甫를 [[父]]와 [[用]]으로 구성된 한자라 보고 있다. 허나 갑골문과 금문을 통해 원형을 확인하면 잘못된 설명임을 알 수 있다.<ref>위와 같음, p. 244-245</ref> |
2020년 12월 23일 (수) 23:47 기준 최신판
語源
甫는 圃의 초기 문자이며, 갑골문의 모양은 밭에 심긴 야채나 화초 등을 표현한 모습이다. 금문에서는 분화가 일어나 상단부와 하단부 모두의 모습이 변화하였다. 어떤 것은 口를 더해 圃가 되었으며, 이는 영농이 큰 밭에서만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1]
文化
시라가와 시즈카는 圃가 "이미 경작을 하였거나 식물을 심은 곳"이라 설명한다. 이는 형성자이며, 田(경작지) 가운데에 풀(草)이나 나무(木)을 더한 모습이라는 주장이다.[2]
또한 설문해자에서 허신은 말의 연원이 언어의 파생 관계에서 형성된 한자인 赤聲字라고 보았다. 허나 甫는 赤聲字의 모어가 赤聲이라고 한 편방자가 아니기 때문에 적성자라고 볼 수 없다.[3]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허신은 甫를 父와 用으로 구성된 한자라 보고 있다. 허나 갑골문과 금문을 통해 원형을 확인하면 잘못된 설명임을 알 수 있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