窮
語源
글자 窮은 '몸을 구부리고 좁은 동굴에 숨은 사람'을 뜻한다. 여기서 吕는 창문을 뜻하기도 하고 척추뼈를 뜻하기도 하는데, 척추뼈는 몸이 구부려지면서 드러난 것이다.[1] 窮의 본자(本字)는 竆(다할 궁)이지만 예서로 넘어오면서 지금의 窮으로 바뀌었다. 동굴에 숨는 경우는 두 가지인데 첫째는 가난한 경우, 두 번째는 누군가에게 쫓기는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의 '빈곤하다', '추궁하다'와 같은 의미가 나왔다.[2][3] 관련 단어로는 추궁(追窮), 곤궁(困窮), 궁지(窮地) 등이 있다. 허신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窮을 '다하는 것, 극(極也)'으로 해석하고 있다.[4]
文化[5]
유교에서는 가족에 해체되어 곤궁에 처한 사람들에 대해서도 국가가 직접 구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가족에게 보호받지 못하는 사람을 4궁(窮)이라 했다.
“옛적에 문황이 기주를 다스릴 적에…늙어서 아내가 없는 것을 환(鰥)이라고 하고 늙어서 남편이 없는 것을 과(寡)라 하고 늙어서 자식이 없는 것을 독(獨)이라 하고, 어려서 부모가 없는 것을 고(孤)라 하니, 이 네 가지는 천하의 곤궁(困窮)한 백성으로서 하소연할 곳이 없는 자들입니다. 문왕은 정사를 펴고 인(仁)을 베푸시되 반드시 이 네 사람들을 먼저 하셨습니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부자들은 괜찮거니와 이 곤궁한 이가 가엾다’ 하였습니다.” 《맹자(孟子)》, <양혜왕장구(梁惠王章句下 5>[6]
여기서 환과독고(鰥寡獨孤)를 총칭하는 말이 4궁(窮)이다. 유교에서는 가족에 의한 노약자의 보호의 원칙을 강조하지만, 가족의 해체로 곤궁에 처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국가의 구휼 책임을 주장한 것이다.
주석
- ↑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5, p.171
- ↑ 廖文豪,『汉字树 5-汉字中的建築與器皿』,中国商业出版社, p.56
- ↑ 하영삼의 『한자어원사전』에서는 동굴(穴) 끝까지 몸소(躬) 들어가본다는 의미에서 '끝', '궁극(窮極)', '끝까지 가다' 등의 뜻이 나왔고, 다시 궁핍함이나 열약한 환경을 뜻하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출처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94
- ↑ 출처 : 漢典
- ↑ 박승희, 「사서(四書)에 나타난 유교의 사회복지사상」, 『한국사회복지학』, vol.38, 1999, p.147
- ↑ 출처 : 위의 논문, 같은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