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6년 12월 25일 (일) 23:45 (차이 | 역사) . . (+6) . . 후마맹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3:44 (차이 | 역사) . . (+1) . . 후마맹서 (→후마맹서의 의미)
- 2016년 12월 25일 (일) 23:43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증후을묘죽간1.jpg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3:41 (차이 | 역사) . . (-1) . . 후마맹서 (→후마맹서의 의미)
- 2016년 12월 25일 (일) 23:41 (차이 | 역사) . . (+90) . . 후마맹서 (→후마맹서의 의미)
- 2016년 12월 25일 (일) 23:39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증후을묘죽간.jpg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3:39 (차이 | 역사) . . (-3) . . 후마맹서 (→후마맹서의 의미)
- 2016년 12월 25일 (일) 23:22 (차이 | 역사) . . (+4) . . 후마맹서 (→증후을묘 죽간과의 연관성)
- 2016년 12월 25일 (일) 23:20 (차이 | 역사) . . (0) . . 후마맹서 (→시대적 배경)
- 2016년 12월 25일 (일) 23:17 (차이 | 역사) . . (+18) . . 새글 제나라 (제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3:15 (차이 | 역사) . . (+24) . . 새글 갑골 (갑골문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3:14 (차이 | 역사) . . (+753) . . 후마맹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2:55 (차이 | 역사) . . (+2) . . 후마맹서 (→시대적 배경)
- 2016년 12월 25일 (일) 22:55 (차이 | 역사) . . (-3) . . 후마맹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2:54 (차이 | 역사) . . (0) . . 후마맹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2:53 (차이 | 역사) . . (+1) . . 후마맹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2:52 (차이 | 역사) . . (-3) . . 후마맹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2:52 (차이 | 역사) . . (+4) . . 후마맹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2:46 (차이 | 역사) . . (+4) . . 答 (→語源)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2:45 (차이 | 역사) . . (+814) . . 후마맹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2:39 (차이 | 역사) . . (+1,178) . . 새글 答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竹이 의미부이고, 合이 소리부이다. ‘응대하다’, ‘회신을 보내다’라는 뜻이다. 종이가 보편...)
- 2016년 12월 25일 (일) 22:38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대답답.png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2:18 (차이 | 역사) . . (-390) . . 筋 (문서를 비움)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2:17 (차이 | 역사) . . (0) . .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6년 2학기 강의 (→한자어원문화사전 표제어 등록)
- 2016년 12월 25일 (일) 21:57 (차이 | 역사) . . (+544) . . 耑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1:42 (차이 | 역사) . . (+478) . . 새글 耑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싹이 돋아나는 것과 뿌리가 곧게 뻗은 것을 그려 ‘시초’나 ‘발단’을 의미한다. 후에 아랫부...)
- 2016년 12월 25일 (일) 21:41 (차이 | 역사) . . (+346) . . 筋
- 2016년 12월 25일 (일) 21:41 (차이 | 역사) . . (-350) . . 토론:筋 (문서를 비움)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1:38 (차이 | 역사) . . (-188) . . 笑 (→語源)
- 2016년 12월 25일 (일) 21:37 (차이 | 역사) . . (+37) . . 笑
- 2016년 12월 25일 (일) 21:36 (차이 | 역사) . . (+350) . . 새글 토론:筋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竹이 의미부, 肋이 소리부이다. 신체 부위인 갈비나 갈빗살을 의미한다. 갈비가 가지런한 마디...)
- 2016년 12월 25일 (일) 21:34 (차이 | 역사) . . (+953) . . 새글 笑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竹이 의미부, 夭가 소리부이다. 관악기(竹)으로 연주되는 곡을 듣고 몸을 구부려 웃는 것(夭)을...)
- 2016년 12월 25일 (일) 21:14 (차이 | 역사) . . (+1,147) . . 새글 算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竹은 산가지를, 目은 눈을, 廾은 두 손을 뜻한다. 눈으로 산 가지를 보면서 두 손으로 헤아려가며...)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38 (차이 | 역사) . . (+1,729) . . 等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37 (차이 | 역사) . . (+1,696) . . 새글 瑞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玉이 의미부가 되고, 耑이 소리부가 된다. 고대 중국에서 군신과 빈객이 만날 때 신의의 증표로...)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36 (차이 | 역사) . . (+1) . . 筑 (→語源)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36 (차이 | 역사) . . (+1,764) . . 새글 筑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巩은 의미를, 竹은 소리를 나타낸다. 대자(竹尺)을 이용해 악곡을 연주하는 고대의 악기이...)
- 2016년 12월 25일 (일) 20:35 (차이 | 역사) . . (+1,357) . . 새글 龠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상형자로 여러가지 관으로 된 다관(多管)악기를 나타한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35 (차이 | 역사) . . (-1,357) . . 等 (문서를 비움)
- 2016년 12월 25일 (일) 20:34 (차이 | 역사) . . (+1,357) . . 새글 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상형자로 여러가지 관으로 된 다관(多管)악기를 나타한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
- 2016년 12월 25일 (일) 20:33 (차이 | 역사) . . (0) . . 筆 (→文化)
- 2016년 12월 25일 (일) 20:32 (차이 | 역사) . . (-14) . . 筆 (→語源)
- 2016년 12월 25일 (일) 20:32 (차이 | 역사) . . (+1,451) . . 새글 筆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죽(竹)이 의미를, 율(聿)이 소리를 나타낸다. 필기구인 붓을 나타낸다. 이 붓(筆)은 대나무로 만들...)
- 2016년 12월 25일 (일) 20:31 (차이 | 역사) . . (-3) . . 筮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30 (차이 | 역사) . . (+1,647) . . 새글 筮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죽(竹)이 의미부가 되고 무(巫)가 소리부가 된다. 두 손으로 점치는 도구를 들고 시초점을 치고...)
- 2016년 12월 25일 (일) 20:26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기다릴등.png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25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점대서.png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25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셈산.png (최신)
- 2016년 12월 25일 (일) 20:25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붓필.png
- 2016년 12월 25일 (일) 20:24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피리약.png (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