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 ||
− | [[파일: | + | [[파일:여름 하.png|400픽셀|왼쪽|링크=夏]] |
− | + | 고문자의 夏자는 가슴을 쭉 펴고 손을 양 허리에 대고, 사지가 건장하고, 몸이 높고 크며 위풍당당한 한 명의 사람을 본뜬 것이다. 그것의 본래 의미는 몸이 높고 크고 위풍당당한 사람을 가리킨다. 뜻이 확장되어 사물 가운데 큰 것을 지칭하게 된다. 고대 한족은 “夏”라고 자칭하며, 또는 “华夏”라고 부른다. 첫 조대는 夏朝라고 부른다. 현재의 夏자는 성씨로 많이 사용된다. 이외에 夏는 또 계절이름으로 사용되며, 春夏秋冬 사계절의 두 번째 계절이다. | |
− | '''[[ | + | '''[[夏|자세히 읽기...]]''' |
</div> | </div>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 ||
− | [[파일: | + | [[파일:厉害了我的哥2.PNG|150픽셀|왼쪽|링크=厉害了我的哥]] |
− | '''[[ | + | '''[[厉害了我的哥]]'''는 “대단해, 우리형”이라는 의미로, 상대를 칭찬할 때 쓰는 인터넷 신조어이다.<br/> |
− | + | “厉害了(대단하다)”와 “我的哥(우리형)”이 합쳐진 말로써, 상대방을 칭찬할 때 자주 사용하고 존중의 의미가 담겨 있다. 2016년에 시작되어 현재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인터넷 용어이고, 주로 게임 상에서 많이 사용된다.여기서 친분이 없는 사람에게도 “哥(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칭찬하는 이유는 “哥(형)”이라는 단어가 상대방을 칭찬할 때 중국에서 관행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br/> | |
<br/> | <br/> | ||
− | '''[[ | + | '''[[厉害了我的哥|자세히 읽기...]]''' |
</div> | </div> | ||
56번째 줄: | 56번째 줄: |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 ||
− | [[파일: | + | [[파일:장량11.jpg|150픽셀|왼쪽|링크=장량]] |
− | ''' | + | '''[[장량]]'''(張良, ? ~ 기원전 189년)은 중국 [[전한]](前漢)기 한고제(漢高祖)시대의 정치가이자 재상이다. 장량의 자는 자방(子房),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그는 한(韓)나라 명문가 출신으로, 한나라의 다섯 왕을 모신 재상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희개지는 소후, 선혜왕, 양애왕 시절에 재상을 지냈고 아버지 장평은 희왕, 도혜왕 시절에 재상을 역임했다.<br /> 소하,[[한신]]과 함께 한나라 건국의 3걸로 불린다. 흔히 모사가, 명참모를 일컫는 ‘장자방’이라는 말은 바로 장량을 가리키는 말이다. 항우에게 세력이 밀리던 [[유방]]을 도와 그가 함양을 돌파하게 하고, 홍문의 연에서 유방의 목숨을 구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br/> |
− | + | '''[[장량|자세히 읽기...]]''' | |
− | <br/> | ||
− | '''[[ | ||
</div> | </div> | ||
106번째 줄: | 104번째 줄: | ||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중국문화사1]] |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중국문화사1]] | ||
*[[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2017년 1학기)|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 *[[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2017년 1학기)|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 ||
+ | *[[중국인문지리(2017년 1학기)|중국인문지리]] | ||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br> |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br> |
2017년 7월 4일 (화) 15:08 판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측천문자는 중국 역사의 유일한 여황제인 측천무후(則天武后, 624~705)가 만들고 보급한 문자이다. 측천신자(則天新字) 또는 무후신자(武后新字)라고도 불리는 이 문자는 당(唐) 예종(睿宗) 때인 689년 창제, 반포되었으며, 측천무후의 통치기에 사용되었다.
측천문자는 문자라는 이름이 붙어 있으나, 기존의 한자와 완전히 다른 문자가 아닌 한자의 제자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특수한 한자'라 할 수 있다. 《구당서(舊唐書)》 ‘예문지(藝文志)’에 따르면 측천무후는 새 문자를 보급하기 위해 《자해(字海)》라는 책을 편찬했다고 하지만, 오늘날 이 책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 시기에 만들어진 석각, 비첩, 불경 등을 통해 측천문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고문자의 夏자는 가슴을 쭉 펴고 손을 양 허리에 대고, 사지가 건장하고, 몸이 높고 크며 위풍당당한 한 명의 사람을 본뜬 것이다. 그것의 본래 의미는 몸이 높고 크고 위풍당당한 사람을 가리킨다. 뜻이 확장되어 사물 가운데 큰 것을 지칭하게 된다. 고대 한족은 “夏”라고 자칭하며, 또는 “华夏”라고 부른다. 첫 조대는 夏朝라고 부른다. 현재의 夏자는 성씨로 많이 사용된다. 이외에 夏는 또 계절이름으로 사용되며, 春夏秋冬 사계절의 두 번째 계절이다. 자세히 읽기...
厉害了我的哥는 “대단해, 우리형”이라는 의미로, 상대를 칭찬할 때 쓰는 인터넷 신조어이다.
“厉害了(대단하다)”와 “我的哥(우리형)”이 합쳐진 말로써, 상대방을 칭찬할 때 자주 사용하고 존중의 의미가 담겨 있다. 2016년에 시작되어 현재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인터넷 용어이고, 주로 게임 상에서 많이 사용된다.여기서 친분이 없는 사람에게도 “哥(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칭찬하는 이유는 “哥(형)”이라는 단어가 상대방을 칭찬할 때 중국에서 관행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자세히 읽기...
장량(張良, ? ~ 기원전 189년)은 중국 전한(前漢)기 한고제(漢高祖)시대의 정치가이자 재상이다. 장량의 자는 자방(子房),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그는 한(韓)나라 명문가 출신으로, 한나라의 다섯 왕을 모신 재상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희개지는 소후, 선혜왕, 양애왕 시절에 재상을 지냈고 아버지 장평은 희왕, 도혜왕 시절에 재상을 역임했다.
소하,한신과 함께 한나라 건국의 3걸로 불린다. 흔히 모사가, 명참모를 일컫는 ‘장자방’이라는 말은 바로 장량을 가리키는 말이다. 항우에게 세력이 밀리던 유방을 도와 그가 함양을 돌파하게 하고, 홍문의 연에서 유방의 목숨을 구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
자세히 읽기...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
중국문화사1과 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
중국 역사 고사성어 사전 :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만들어진 고사성어 종합사전
중국어 유행어 사전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중국어 유행어를 정리한 사전
중국 인문지리사전 : 중국의 인문지리에 대한 종합 백과사전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