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2번째 줄: 32번째 줄: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파일:갑골문.jpg|100픽셀|왼쪽]]
 
[[파일:갑골문.jpg|100픽셀|왼쪽]]
갑골문(甲骨文)은 지금으로부터 약 3,300년 전 상나라(B.C.1600~B.C.1046)후기 은허(殷墟) 시기에 사용됐던 문자로서 한자의 원형으로 간주된다. 갑골문은 귀갑수골(龜甲獸骨)의 약칭이다. 갑(甲)은 거북의 뼈를 의미하고 골(骨)은 짐승의 뼈를 의미한다. 여기에 새겨진 문자를 갑골문이라고 한다.
+
[[갑골문]](甲骨文)은 지금으로부터 약 3,300년 전 상나라(B.C.1600~B.C.1046)후기 은허(殷墟) 시기에 사용됐던 문자로서 한자의 원형으로 간주된다. 갑골문은 귀갑수골(龜甲獸骨)의 약칭이다. 갑(甲)은 거북의 뼈를 의미하고 골(骨)은 짐승의 뼈를 의미한다. 여기에 새겨진 문자를 갑골문이라고 한다.
 
<br>
 
<br>
 
'''[[갑골문|자세히 읽기...]]'''
 
'''[[갑골문|자세히 읽기...]]'''
42번째 줄: 42번째 줄: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좋은 글]]</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좋은 글]]</div><div id="mp-itn"></div>
 
[[파일:원형후마맹서.jpg|100픽셀|왼쪽]]
 
[[파일:원형후마맹서.jpg|100픽셀|왼쪽]]
후마맹서는 [[춘추]] 말기 [[진나라]] 조씨의 내분과 관련된 맹약서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기 문자 자료이며 최초로 발견된 춘추 시대의 유일한 필기 문자 자료이다. 1965년 12월 진나라의 도성인 신전(新田)이 있었다고 추정되는 산서성(山西省) 후마시(候馬市)의 동쪽 교외에서 다량의 석편과 옥편이 출토되었는데 여기에는 당시의 혼란한 시대상이 잘 드러나 있다. 당시에 약 5.000점 이상이 출토되었으나 그 중 형태와 글자가 명확한 것은 656점 이다. 대부분이 위 끝이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진 규(圭)의 형태이며, 원과 반원 모양인 것도 일부 있다. <br>  
+
[[후마맹서]]는 [[춘추]] 말기 [[진나라]] 조씨의 내분과 관련된 맹약서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기 문자 자료이며 최초로 발견된 춘추 시대의 유일한 필기 문자 자료이다. 1965년 12월 진나라의 도성인 신전(新田)이 있었다고 추정되는 산서성(山西省) 후마시(候馬市)의 동쪽 교외에서 다량의 석편과 옥편이 출토되었는데 여기에는 당시의 혼란한 시대상이 잘 드러나 있다. 당시에 약 5.000점 이상이 출토되었으나 그 중 형태와 글자가 명확한 것은 656점 이다. 대부분이 위 끝이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진 규(圭)의 형태이며, 원과 반원 모양인 것도 일부 있다. <br>  
 
'''[[후마맹서|자세히 읽기...]]'''
 
'''[[후마맹서|자세히 읽기...]]'''
 
</div>
 
</div>

2016년 12월 26일 (월) 22:27 판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에서 만드는 중국문화 위키백과입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있는 집단지성형 백과사전인 우리 위키백과는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환영합니다.
2024년 11월 23일 현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는 문서 2,112개가 실려 있습니다.
갑골문.jpg

갑골문(甲骨文)은 지금으로부터 약 3,300년 전 상나라(B.C.1600~B.C.1046)후기 은허(殷墟) 시기에 사용됐던 문자로서 한자의 원형으로 간주된다. 갑골문은 귀갑수골(龜甲獸骨)의 약칭이다. 갑(甲)은 거북의 뼈를 의미하고 골(骨)은 짐승의 뼈를 의미한다. 여기에 새겨진 문자를 갑골문이라고 한다.
자세히 읽기...

원형후마맹서.jpg

후마맹서춘추 말기 진나라 조씨의 내분과 관련된 맹약서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기 문자 자료이며 최초로 발견된 춘추 시대의 유일한 필기 문자 자료이다. 1965년 12월 진나라의 도성인 신전(新田)이 있었다고 추정되는 산서성(山西省) 후마시(候馬市)의 동쪽 교외에서 다량의 석편과 옥편이 출토되었는데 여기에는 당시의 혼란한 시대상이 잘 드러나 있다. 당시에 약 5.000점 이상이 출토되었으나 그 중 형태와 글자가 명확한 것은 656점 이다. 대부분이 위 끝이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진 규(圭)의 형태이며, 원과 반원 모양인 것도 일부 있다.
자세히 읽기...

한무제.jpg

무제는 경제 사후 16세의 나이에 황제로 등극하였다. 54년 동안 황제의 자리에 있으면서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관료제도를 이루었고 유가사상을 국학으로 채택하여 제국을 통치하는데 이용하였다. 적극적인 군사정책을 펴 흉노를 사북으로 몰아내고 장건을 서역으로 파견하여 실크로드의 길을 열었다. 흉노뿐만 아니라 동, 서, 남의 주변 민족을 정복하여 진시황 이래 가장 넓은 영토를 장악하였다. 무리한 군사 정책으로 문제경제의 치세동안 쌓았던 재정이 고갈되어가자 염철전매와 같은 재정정책을 펴기도 하였다.

자세히 읽기...


서태후.jpg

서태후(西太后)라는 호칭은 사실 공식적인 칭호가 아니다. 함풍제가 세상을 떠난 이후, 황후 뉴고록씨(鈕鈷祿氏)에게는 아들이 없어 서태후의 아들이 동치제에 즉위하였다. 이에 그녀와 함품황제의 황후 뉴고록씨(鈕鈷祿氏)는 황태후로 추대되어, 자희(慈禧)와 자안(慈安)이라는 휘호를 받았고, 세상 사람들은 서태후를 자금성 서쪽에 산다고 하여 서태후(西太后), 자안태후를 자금성 동쪽에 산다고 하여 동태후(東太后)라 불렀다. 이 문서에서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서태후’ 칭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한자어원문화사전은 2012년 1학기부터 시작된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3학년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며 앞으로도 수업을 통해 계속 개선될 것이다.


중국인물사전로고.png
중국 인물사전은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며 여기에 실린 내용은 향후 수업을 통해 수정되고 보완되어 보다 완성된 형태의 지식항목으로 발전되어갈 것이다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
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 운영 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