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8번째 줄: 38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파일:걸을 행.png|400픽셀|왼쪽|링크=]]
+
[[파일:여름 하.png|400픽셀|왼쪽|링크=]]
갑골문, 금문의 行자는 두 개의 가로 세로로 교차하는 큰 길을 형상화한 것이다. 『[[설문해자]]』에는 "行은 사람이 걷는 것이다."라고 되어있다. 갑골문과 금문 등의 자형은 서로 비슷하다. 모두 딱 십자로의 형상이다. 소전의 자형의 변화도 크지 않다. 어떤 것은 사람의 형상이 더해져 있는데, 어떤 사람이 위에서 걸어가고 있는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行의 본래 뜻은 道路(도로)를 가리키며, 또한 行走(길을 걷다), ‘보행하다’라는 뜻을 가리킨다. 道路(도로)라는 본래 뜻으로 말미암아, 行(háng)자는 행렬, 업종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또한 行走(길을 걷다)로 말미암아, 行(xíng)자는 또한 흐르다, 전파하다, 겪다, 행위, 사용하다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
고문자의 夏자는 가슴을 쭉 펴고 손을 양 허리에 대고, 사지가 건장하고, 몸이 높고 크며 위풍당당한 한 명의 사람을 본뜬 것이다. 그것의 본래 의미는 몸이 높고 크고 위풍당당한 사람을 가리킨다. 뜻이 확장되어 사물 가운데 큰 것을 지칭하게 된다. 고대 한족은 “夏”라고 자칭하며, 또는 “华夏”라고 부른다. 첫 조대는 夏朝라고 부른다. 현재의 夏자는 성씨로 많이 사용된다. 이외에 夏는 또 계절이름으로 사용되며, 春夏秋冬 사계절의 두 번째 계절이다.
'''[[|자세히 읽기...]]'''
+
'''[[|자세히 읽기...]]'''
 
</div>
 
</div>
  
46번째 줄: 46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파일:소황제.JPG|100픽셀|왼쪽|링크=소황제]]
+
[[파일:厉害了我的哥2.PNG|150픽셀|왼쪽|링크=厉害了我的哥]]
'''[[소황제]](小皇帝)'''는 1979년 [[덩샤오핑]](鄧小平)이 시작한 독생자녀제(獨生子女制 - 1가구 1자녀 원칙)에 의해 1980년대에 태어난 독생자 층을 이르는 말로 바링허우(80後)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자 아이의 경우에는 소공주(小公主)라고도 한다.
+
'''[[厉害了我的哥]]'''는 “대단해, 우리형”이라는 의미로, 상대를 칭찬할 때 쓰는 인터넷 신조어이다.<br/>
바링허우(80後)의 소황제(小皇帝)는 풍요로운 경제적 기반을 가진 부모의 과보호 속에서 성장하여 사회적 활동량과 소비 수준이 높아 중국의 떠오르는 주류 소비계층으로 대두되었다. 이들은 앞으로 중국의 내수 시장의 소비 주력군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고, 국민 소득에 비해 훨씬 높은 소비력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내 기업이나 해외 진출 기업들은 이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厉害了(대단하다)”와 “我的哥(우리형)”이 합쳐진 말로써, 상대방을 칭찬할 때 자주 사용하고 존중의 의미가 담겨 있다. 2016년에 시작되어 현재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인터넷 용어이고, 주로 게임 상에서 많이 사용된다.여기서 친분이 없는 사람에게도 “哥()”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칭찬하는 이유는 “哥()”이라는 단어가 상대방을 칭찬할 때 중국에서 관행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br/>
 
<br/>
 
<br/>
'''[[소황제|자세히 읽기...]]'''
+
'''[[厉害了我的哥|자세히 읽기...]]'''
 
</div>
 
</div>
  
56번째 줄: 56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파일:유비.jpg|100픽셀|왼쪽|링크=유비]]
+
[[파일:장량11.jpg|150픽셀|왼쪽|링크=장량]]
'''유비'''[[촉|촉한(蜀漢)]]의 초대 황제이며 그의 자는 현덕(玄德)이다. 그는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돗자리를 짜며 어렵게 생계를 유지했다. [[조조]]와 같이 어느 정도 기반이 있었던 동시대 다른 인물들과 달리 아무것도 없이 오로지 능력으로만 황제까지 오른 인물이다.<br>
+
'''[[장량]]'''(張良, ? ~ 기원전 189년)은 중국 [[전한]](前漢)기 한고제(漢高祖)시대의 정치가이자 재상이다. 장량의 자는 자방(子房),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그는 한(韓)나라 명문가 출신으로, 한나라의 다섯 왕을 모신 재상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희개지는 소후, 선혜왕, 양애왕 시절에 재상을 지냈고 아버지 장평은 희왕, 도혜왕 시절에 재상을 역임했다.<br /> 소하,[[한신]]과 함께 한나라 건국의 3걸로 불린다. 흔히 모사가, 명참모를 일컫는 ‘장자방’이라는 말은 바로 장량을 가리키는 말이다. 항우에게 세력이 밀리던 [[유방]]을 도와 그가 함양을 돌파하게 하고, 홍문의 연에서 유방의 목숨을 구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br/>
그는 [[전한|전한(前漢)]] [[한 경제|경제]]의 황자 중산정왕(中山靖王)의 후손이며 [[한]]을 부활시키려 했다. 그런 의미에서 유비는 그가 세운 나라를 한으로 명명했으나 전대의 한과 구분하기 위해 촉 지역에 기반을 둔 한, 즉 [[촉|촉한(蜀漢)]]으로 부른다.
+
'''[[장량|자세히 읽기...]]'''
<br/>
 
'''[[유비|자세히 읽기...]]'''
 
 
</div>
 
</div>
  
106번째 줄: 104번째 줄: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중국문화사1]]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중국문화사1]]
 
*[[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2017년 1학기)|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2017년 1학기)|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
*[[중국인문지리(2017년 1학기)|중국인문지리]]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br>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br>

2017년 7월 4일 (화) 15:08 판

위키로고배경.pn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1월 26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2,112개가 실려 있습니다.
측천특징.JPG

측천문자는 중국 역사의 유일한 여황제인 측천무후(則天武后, 624~705)가 만들고 보급한 문자이다. 측천신자(則天新字) 또는 무후신자(武后新字)라고도 불리는 이 문자는 (唐) 예종(睿宗) 때인 689년 창제, 반포되었으며, 측천무후의 통치기에 사용되었다.
측천문자는 문자라는 이름이 붙어 있으나, 기존의 한자와 완전히 다른 문자가 아닌 한자의 제자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특수한 한자'라 할 수 있다. 《구당서(舊唐書)》 ‘예문지(藝文志)’에 따르면 측천무후는 새 문자를 보급하기 위해 《자해(字海)》라는 책을 편찬했다고 하지만, 오늘날 이 책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 시기에 만들어진 석각, 비첩, 불경 등을 통해 측천문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자세히 읽기...

여름 하.png

고문자의 夏자는 가슴을 쭉 펴고 손을 양 허리에 대고, 사지가 건장하고, 몸이 높고 크며 위풍당당한 한 명의 사람을 본뜬 것이다. 그것의 본래 의미는 몸이 높고 크고 위풍당당한 사람을 가리킨다. 뜻이 확장되어 사물 가운데 큰 것을 지칭하게 된다. 고대 한족은 “夏”라고 자칭하며, 또는 “华夏”라고 부른다. 첫 조대는 夏朝라고 부른다. 현재의 夏자는 성씨로 많이 사용된다. 이외에 夏는 또 계절이름으로 사용되며, 春夏秋冬 사계절의 두 번째 계절이다. 자세히 읽기...

厉害了我的哥2.PNG

厉害了我的哥는 “대단해, 우리형”이라는 의미로, 상대를 칭찬할 때 쓰는 인터넷 신조어이다.
“厉害了(대단하다)”와 “我的哥(우리형)”이 합쳐진 말로써, 상대방을 칭찬할 때 자주 사용하고 존중의 의미가 담겨 있다. 2016년에 시작되어 현재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인터넷 용어이고, 주로 게임 상에서 많이 사용된다.여기서 친분이 없는 사람에게도 “哥(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칭찬하는 이유는 “哥(형)”이라는 단어가 상대방을 칭찬할 때 중국에서 관행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자세히 읽기...

장량11.jpg

장량(張良, ? ~ 기원전 189년)은 중국 전한(前漢)기 한고제(漢高祖)시대의 정치가이자 재상이다. 장량의 자는 자방(子房),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그는 한(韓)나라 명문가 출신으로, 한나라의 다섯 왕을 모신 재상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희개지는 소후, 선혜왕, 양애왕 시절에 재상을 지냈고 아버지 장평은 희왕, 도혜왕 시절에 재상을 역임했다.
소하,한신과 함께 한나라 건국의 3걸로 불린다. 흔히 모사가, 명참모를 일컫는 ‘장자방’이라는 말은 바로 장량을 가리키는 말이다. 항우에게 세력이 밀리던 유방을 도와 그가 함양을 돌파하게 하고, 홍문의 연에서 유방의 목숨을 구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

중국역사사전로고.png

중국문화사1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

중국인물사전로고1.png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

중국 역사 고사성어 사전 :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만들어진 고사성어 종합사전
중국어 유행어 사전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중국어 유행어를 정리한 사전
중국 인문지리사전 : 중국의 인문지리에 대한 종합 백과사전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
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