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5번째 줄: 25번째 줄:
 
<!-- 본문 왼쪽 -->
 
<!-- 본문 왼쪽 -->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
<!-- 위키프로젝트-->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위키 프로젝트</div><div id="mp-itn"></div>
 +
[[파일:2016 학과답사사진1.png|150픽셀|왼쪽|링크=2016년 답사]]
 +
2017년 중국어문화학과 학술답사 자료집을 집단지성을 통해 완성하는 위키문서 작성 프로젝트입니다. <br />
 +
대만 답사자료집을 작성하려면 [[답사|지난 답사 자료집]]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br />
 +
'''[[답사|답사 자료집 작성에 참여하기...]]'''
 +
</div>
 +
 +
<!--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div><div id="mp-itn"></div>
 +
[[파일:중국어문화학과십년사.png|300픽셀|왼쪽|링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
2018년은 서울시립대학교가 100주년이 되는 동시에 중국어문화학과도 1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재 우리 대학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 100년사를, 우리 학과 역시 10년사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10년의 역사를 어느 한 개인이 집필하는 것보다는 모두의 지혜와 추억을 모아 집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여기]]에 공동 집필의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중국어문화학과 구성원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문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br/>
 +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공동집필에 참여하기...]]'''
 +
</div>
 +
 
<!-- 오늘의 알찬 글-->
 
<!-- 오늘의 알찬 글-->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파일:측천특징.JPG|300픽셀|왼쪽|링크=측천문자]]
+
[[파일:신석기시대 하모도문화 돼지무늬 타원형 토기.PNG|150픽셀|왼쪽|링크=중국 고대 목축과 육식문화]]
'''[[측천문자]]'''는 중국 역사의 유일한 여황제인 [[측천무후]](則天武后, 624~705)가 만들고 보급한 문자이다. 측천신자(則天新字) 또는 무후신자(武后新字)라고도 불리는 이 문자는 [[]](唐) 예종(睿宗) 때인 689년 창제, 반포되었으며, 측천무후의 통치기에 사용되었다.<br /> 측천문자는 문자라는 이름이 붙어 있으나, 기존의 한자와 완전히 다른 문자가 아닌 한자의 제자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특수한 한자'라 할 수 있다. 《구당서(舊唐書)》 ‘예문지(藝文志)’에 따르면 측천무후는 새 문자를 보급하기 위해 《자해(字海)》라는 책을 편찬했다고 하지만, 오늘날 이 책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 시기에 만들어진 석각, 비첩, 불경 등을 통해 측천문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
중앙아시아에서는 양(羊)이 대략 1만 1천 년쯤 전에 최초로 사육된 동물이라고 한다. 양은 비교적 보호시설이 필요없고, 길들이기 쉬우며, 사육을 위한 목초지만 있으면 되었기 때문에 최초로 사육될 수 있었을 것이다. <br />
 
+
중국에서 목축은 대체로 신석기시대 말기([[선사 시대]])에 형성되었다. 육축(말, 소, 양, 돼지, , )은 당시에 황하 유역과 장강 유역에서 보편적으로 사육되던 것이었으며 후세의 것에 근접한, 상당히 안정된 우량 품종을 사육해 냈다. 환경의 영향으로 북방에서는 돼지, 양, 개를, 남방에서는 돼지, , 물소를 길렀다
'''[[측천문자 |자세히 읽기...]]'''
+
'''[[중국 고대 목축과 육식문화|자세히 읽기...]]'''
  
 
</div>
 
</div>
38번째 줄: 55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파일:걸을 행.png|400픽셀|왼쪽|링크=]]
+
[[파일:개 견.png|400픽셀|오른쪽|링크=]]
갑골문, 금문의 行자는 두 개의 가로 세로로 교차하는 큰 길을 형상화한 것이다.  『[[설문해자]]』에는 "行은 사람이 걷는 것이다."라고 되어있다. 갑골문과 금문 등의 자형은 서로 비슷하다. 모두 딱 십자로의 형상이다. 소전의 자형의 변화도 크지 않다. 어떤 것은 사람의 형상이 더해져 있는데, 어떤 사람이 위에서 걸어가고 있는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行의 본래 뜻은 道路(도로)를 가리키며, 또한 行走(길을 걷다), ‘보행하다’라는 뜻을 가리킨다. 道路(도로)라는 본래 뜻으로 말미암아, (háng)자는 행렬, 업종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또한 行走(길을 걷다)로 말미암아, (xíng)자는 또한 흐르다, 전파하다, 겪다, 행위, 사용하다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
犬은 바로 오늘날 말하는 狗(개)를 가리킨다. 개는 인류가 최초로 길들인 가축의 하나로, 고대인은 주로 사냥의 조수로 사용했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犬과 豕(돼지 시)의 형체는 비교적 비슷한데, 차이는 오직 배와 꼬리에 있다. 豕는 배가 뚱뚱하고 꼬리가 늘어뜨려져 있으며, 개는 반면에 배가 야위고, 꼬리를 치켜들고 있는 모양이다. 犬을 따르는 글자는 대부분 개와 그 행위와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면 狩(사냥할 수), (미칠 광), (거칠 망), (사나울 맹), (사냥 엽)등이 있다.
<br />
+
'''[[|자세히 읽기...]]'''
 
 
'''[[|자세히 읽기...]]'''
 
 
</div>
 
</div>
  
48번째 줄: 63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유행어|이런 중국어 알고 있니?]]</div><div id="mp-itn"></div>
[[파일:소황제.JPG|100픽셀|왼쪽|링크=소황제]]
+
[[파일:광군제.PNG|150픽셀|왼쪽|링크=광군제]]
'''[[소황제]](小皇帝)'''는 1979년 [[덩샤오핑]](鄧小平)이 시작한 독생자녀제(獨生子女制 - 1가구 1자녀 원칙)에 의해 1980년대에 태어난 독생자 층을 이르는 말로 바링허우(80後)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자 아이의 경우에는 소공주(小公主)라고도 한다.
+
'''[[광군제]]'''는 중국에서 11월 11일을 뜻하는 말로,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이 이루어지는 날을 말한다. 독신을 뜻하는 숫자 '1'이 네 번 겹치는 11월 11일, 솔로들을 겨냥해 중국 상인들이 할인 판매에 나선 것이 중국 최대 쇼핑 시즌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함께 세계 최대 할인행사 중 하나이다. <br/>
바링허우(80後)의 소황제(小皇帝)는 풍요로운 경제적 기반을 가진 부모의 과보호 속에서 성장하여 사회적 활동량과 소비 수준이 높아 중국의 떠오르는 주류 소비계층으로 대두되었다. 이들은 앞으로 중국의 내수 시장의 소비 주력군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고, 국민 소득에 비해 훨씬 높은 소비력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내 기업이나 해외 진출 기업들은 이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광군제에서 광군(光棍)’은 중국어로 배우자나 애인이 없는 싱글을 뜻하는 단어이다. 1993년 중국 난징(南京)대 대학생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br/>
<br/>
 
'''[[소황제|자세히 읽기...]]'''
 
</div>
 
 
 
<!-- 중국의 인물-->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파일:유비.jpg|100픽셀|왼쪽|링크=유비]]
 
'''유비'''는 [[촉|촉한(蜀漢)]]의 초대 황제이며 그의 자는 현덕(玄德)이다. 그는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돗자리를 짜며 어렵게 생계를 유지했다. [[조조]]와 같이 어느 정도 기반이 있었던 동시대 다른 인물들과 달리 아무것도 없이 오로지 능력으로만 황제까지 오른 인물이다.<br>
 
그는 [[전한|전한(前漢)]] [[한 경제|경제]]의 황자 중산정왕(中山靖王)의 후손이며 [[한]]을 부활시키려 했다. 그런 의미에서 유비는 그가 세운 나라를 한으로 명명했으나 전대의 한과 구분하기 위해 촉 지역에 기반을 둔 한, 즉 [[촉|촉한(蜀漢)]]으로 부른다.
 
 
<br/>
 
<br/>
'''[[유비|자세히 읽기...]]'''
+
'''[[광군제|자세히 읽기...]]'''
 
</div>
 
</div>
  
104번째 줄: 109번째 줄: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수업 자료실]]</div><big>'''[[수업 자료실|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big>''':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br>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수업 자료실]]</div><big>'''[[수업 자료실|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big>''':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br>
 +
 +
'''2017년 2학기 수업자료실'''
 +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7년 2학기 강의|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중국문화사1]]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중국문화사1]]
 
*[[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2017년 1학기)|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2017년 1학기)|중국어로읽는중국사회]]
 +
*[[중국인문지리(2017년 1학기)|중국인문지리]]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br>
+
</div>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6년 2학기 강의|문화로읽는중국문자]]
 
*[[중국명문감상 2016년 2학기 강의|중국명문감상]]
 
*[[중국언어문화콘텐츠실습 2016년 2학기 강의|중국언어문화콘텐츠실습]]
 
*[[인물로보는근현대중국사회 2016년 2학기 강의|인물로보는근현대중국사회]]
 
  
 +
<!-- 중국의 인물-->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
[[파일:시진핑주석.jpg|150픽셀|왼쪽|링크=시진핑]]
 +
'''[[시진핑]]'''(习近平)은 중국 공산당 혁명 원로 시중쉰(习仲勋)의 아들이고 한족이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비교적 유복한 환경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아버지가 대약진 운동을 거세게 비판했던 [[펑더화이]](彭德怀)를 추종한다는 죄목으로 실권한 이후에 산시성 오지에서 상산 하향을 했다.<br/> 1975년 시중쉰의 복권 이후 칭화대학에 입학했다. 정치 경력은 각지를 돌아다니며 쌓았다. 허베이성에서 시작해 푸젠성에서 근무하다가 저장성으로 발령받았고 상하이를 거쳐 베이징에 입성했다. 2013년 제7대 중국 국가주석이 되었고, 중국의 전세계적 영향력을 넓히겠다는 뜻의 '중국몽'과 '일대일로'를 주창하고 있다.  <br/>
 +
'''[[시진핑|자세히 읽기...]]'''
 
</div>
 
</div>
 
 
<!-- /본문 오른쪽 -->
 
<!-- /본문 오른쪽 -->
 
</div>
 
</div>

2018년 1월 3일 (수) 16:25 판

위키로고배경.pn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4월 27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1,965개가 실려 있습니다.
위키 프로젝트
2016 학과답사사진1.png

2017년 중국어문화학과 학술답사 자료집을 집단지성을 통해 완성하는 위키문서 작성 프로젝트입니다.
대만 답사자료집을 작성하려면 지난 답사 자료집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답사 자료집 작성에 참여하기...

중국어문화학과십년사.png

2018년은 서울시립대학교가 100주년이 되는 동시에 중국어문화학과도 1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재 우리 대학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 100년사를, 우리 학과 역시 10년사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10년의 역사를 어느 한 개인이 집필하는 것보다는 모두의 지혜와 추억을 모아 집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여기에 공동 집필의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중국어문화학과 구성원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문서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중국어문화학과 10년사 공동집필에 참여하기...

신석기시대 하모도문화 돼지무늬 타원형 토기.PNG

중앙아시아에서는 양(羊)이 대략 1만 1천 년쯤 전에 최초로 사육된 동물이라고 한다. 양은 비교적 보호시설이 필요없고, 길들이기 쉬우며, 사육을 위한 목초지만 있으면 되었기 때문에 최초로 사육될 수 있었을 것이다.
중국에서 목축은 대체로 신석기시대 말기(선사 시대)에 형성되었다. 육축(말, 소, 양, 돼지, 닭, 개)은 당시에 황하 유역과 장강 유역에서 보편적으로 사육되던 것이었으며 후세의 것에 근접한, 상당히 안정된 우량 품종을 사육해 냈다. 환경의 영향으로 북방에서는 돼지, 양, 개를, 남방에서는 돼지, 개, 물소를 길렀다 자세히 읽기...

개 견.png

犬은 바로 오늘날 말하는 狗(개)를 가리킨다. 개는 인류가 최초로 길들인 가축의 하나로, 고대인은 주로 사냥의 조수로 사용했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犬과 豕(돼지 시)의 형체는 비교적 비슷한데, 차이는 오직 배와 꼬리에 있다. 豕는 배가 뚱뚱하고 꼬리가 늘어뜨려져 있으며, 개는 반면에 배가 야위고, 꼬리를 치켜들고 있는 모양이다. 犬을 따르는 글자는 대부분 개와 그 행위와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면 狩(사냥할 수), 狂(미칠 광), 莽(거칠 망), 猛(사나울 맹), 猎(사냥 엽)등이 있다. 자세히 읽기...

광군제.PNG

광군제는 중국에서 11월 11일을 뜻하는 말로,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이 이루어지는 날을 말한다. 독신을 뜻하는 숫자 '1'이 네 번 겹치는 11월 11일, 솔로들을 겨냥해 중국 상인들이 할인 판매에 나선 것이 중국 최대 쇼핑 시즌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함께 세계 최대 할인행사 중 하나이다.
광군제에서 광군(光棍)’은 중국어로 배우자나 애인이 없는 싱글을 뜻하는 단어이다. 1993년 중국 난징(南京)대 대학생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

중국역사사전로고.png

중국문화사1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

중국인물사전로고1.png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

중국 역사 고사성어 사전 :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만들어진 고사성어 종합사전
중국어 유행어 사전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중국어 유행어를 정리한 사전
중국 인문지리사전 : 중국의 인문지리에 대한 종합 백과사전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
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2017년 2학기 수업자료실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시진핑주석.jpg

시진핑(习近平)은 중국 공산당 혁명 원로 시중쉰(习仲勋)의 아들이고 한족이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비교적 유복한 환경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아버지가 대약진 운동을 거세게 비판했던 펑더화이(彭德怀)를 추종한다는 죄목으로 실권한 이후에 산시성 오지에서 상산 하향을 했다.
1975년 시중쉰의 복권 이후 칭화대학에 입학했다. 정치 경력은 각지를 돌아다니며 쌓았다. 허베이성에서 시작해 푸젠성에서 근무하다가 저장성으로 발령받았고 상하이를 거쳐 베이징에 입성했다. 2013년 제7대 중국 국가주석이 되었고, 중국의 전세계적 영향력을 넓히겠다는 뜻의 '중국몽'과 '일대일로'를 주창하고 있다.
자세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