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국유" 문서와 "중국문자의이해" 문서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문서 사이의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은의 초기 조상)
 
(2020년)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
==수업 개요==
[[파일:王國維.png|프레임|오른쪽|왕국유]]
+
[[파일: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오른쪽|400픽셀|링크=한자어원문화사전]]
왕국유(王國維, 1877~1927)는 청말 민국초에 활동한 학자이다. 절강(浙江)성 해녕(海寧) 출신으로, 자는 정안(靜安). 호는 예당(禮堂), 백우(伯隅)이며 만년에는 관당(觀堂), 영관(永觀) 등으로 불리었다. 문학과 역사학, 고고학 등 다양한 학문을 연구하여 각 영역에서 커다란 공적을 세웠다. 문학 방면에서는 서구사상과 중국전통사상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융합하는 시도를 하였다. 역사학, 고고학에서는 갑골문, 금문(金文)연구하여 고고학적 업적을 세웠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사학과 연결시켜 갑골문 등의 기록에 근거하여 고대사의 일부를 복원하는 작업을 하였다. 일생 동안 《송원희곡고(宋元戱曲考)》, 《은주제도론(殷周制度論)》 등 60여 종의 저서를 남겼다.
+
한자의 기원과 변천사: 고대중국문자(한자)의 기원과 구성 원리 그리고 자형의 변화과정에 대해 이해한다.<br />
 +
한자학에 대한 이해: 한자의 분석과 이해를 위해 성립된 한자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중국 학술사의 전통을 이해한다.<br />
 +
한자를 통해 본 중국문화의 이해: 한자에 반영된 중국인 고유의 사유방식의 특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서의 언어의 가치와 위상을 체험한다.<br />
 +
수업을 통해 학습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자어원문화사전]]'''수시로 업데이트한다.<br />
 +
[http://chineseagora.uos.ac.kr/c/2019/wenzi2019 '''2019년 중국문자의이해 수업게시판 바로 가기''' (수강생에게만 공개됩니다)]
  
==생애==
+
==수업 운영==
===출생과 유년시절===
+
===강의===  
1877년(光緖 3년) 음력 10월 29일(양력 12월 3일) 절강성 해녕 쌍인항(雙仁港)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 이름은 국정(國禎)이었고, 나중에 국유(國維)로 고쳤다. 부친 왕내예(王乃譽)는 장군 왕품(王稟)의 32대 손으로, 생계를 위해 객지를 떠돌며 상인 활동을 하였다. 어머니 릉씨(凌氏)는 왕국유가 네 살 되던 해에 병사하여 어릴 때부터 작은 할머니와 고모와 자랐다.
+
전체 수업의 전반부는 도입부분으로서 담당교수의 강의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
강의의 내용은 중국문화에서의 한자의 위상, 한자의 기원 및 발전과정, 한자의 구성 원리, 한자학 관련 부분으로 구성된다.  
  
열한 살에 부친이 조부의 상을 치르러 귀향하자 부친은 왕국유가 서당에서 돌아오면 직접 교육을 맡았다. 주로 과거시험에 필요한 팔고문(八股文)과 시첩시를(試帖詩) 연습하는 것이었다. 왕내예는 서화(書畫)와 전각(篆刻) 등을 수집하였고, 시와 사, 고문에 능하였다. 잠시 강소(江蘇) 표양현(漂陽縣)의 막료(幕僚)를 지낸 적이 있을 정도로 학문과 예술에 조예가 깊었는데, 이는 왕국유에게 소양을 기르는 데 영향을 주었다.
+
===발표===
 +
후반기 수업부터는 학생들의 발표와 이에 대한 담당교수의 보충으로 구성된다. <br />
 +
'''图解汉字起源'''의 개인별 분담 부분을 번역하고 내용을 요약 발표한다.  
 +
발표를 통해 한자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중국문화의 특성에 관한 문화컨텐츠를 직접 제작하게 하여 문화적 자원으로서의 한자의 가치를 체험해 본다.<br />
  
1892년 과거의 동시(童試)에 합격한 이후 왕국유는 해녕에서 ‘네 명의 재주꾼’ 중의 으뜸으로 꼽혔다. 그러나 과거에 흥미가 없고 《사기(史記)》·《한서(漢書)》 등 역사서와 고증학에 관심이 있던 그는 1893년 항주에서 향시(鄕試)를 다 치르지 않고 돌아왔다.
+
===과제===
+
* 위키문서:  수업 시간에 다룬 주요 키워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위키문서 작성
===나진옥과의 만남과 학문 융합===
+
* [[한자어원문화사전]] 표제어:  한 학기의 학습 성과를 토대로, 주요 한자를 선정하여 갑골문, 금문, 전서체를 통해 어원을 추적하고 문화적 특징을 고찰한다. [[한자어원문화사전]]은 수업 중에 다룬 기본 한자에 대해 학습자들이 직접 써서 작성한다. 이를 통해 해당 한자의 기원과 발전과정을 확인하고 동시에 해당 한자를 통해 고대 중국사회의 문화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낙방한 이후 진매숙(陳枚肅)의 집에서 훈장을 하다가 상해로 가 1898년에 언론사 《시무보(時務報)》에 들어갔다. 서기일을 하면서 나진옥이 번역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세운 동문학사(東文學社)에서 일어와 영어, 수리학 등 자연과학을 배웠다. 이 시기 일본인 교사 후지타 도요하찌(藤田豊八)와 타오카 사요지(田岡佐代治)에 의해 서양 학문에 대한 기반을 쌓고 독일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
* 한자수필: 수업과 발표를 통해 배운 한자에 대한 자신만의 이야기를 서술
  
1901년 나진옥의 지원 아래 일본 동경물리학교(東京物理學校)에서 유학하였으나 각기병이 재발해 5, 6개월 만에 귀국하였다. 1903년에 나진옥의 추천으로 강소(江蘇)에 있는 통주사범(通州師範)에서 심리학, 논리학 등을 가르치고, 1904년에는 강소사범학교로 옮겨 윤리학, 사회학 등을 가르쳤다. 이 시기에 헵딩(Höffding)의 《심리학 개론》을 번역하였고 《정안시고(靜安詩稿)》 1권, <홍루몽평론(紅樓夢評論)> 등을 집필하였다.
+
==교재 및 참고문헌==
 +
===중국문화에서의 한자의 위상===
 +
한자는 중국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김근, 민음사<br />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월터 j. 옹, 문예출판사<br />
 +
문자제국 쇠망약사-문자시대가 去하고 전자시대가 來하다, 조남호<br />
  
1907년 봄 학부(學部, 교육부)에서 일하는 나진옥의 추천으로 학부총무사행주(學部總務司行走)가 되어, 그 후에 교육부에서 도서관(東師圖書館)을 만들면서 도서관의 편역 작업도 하게 된다. 편집자, 번역자, 행정가로 겸직하면서 관심 분야인 희곡을 연구하여 1913년 초 《송원희곡고(宋元戱曲考)》를 출판한다.
+
===한자의 기원과 변천===
 +
'''한자 -기원과 그 배경''', 시라가와시즈카(白川靜), AK <br />
 +
'''한자의 역사''', 아츠지 데츠지(阿辻哲次), 학민사<br />
 +
圖說漢字的歷史, 阿辻哲次, 山東畵報出版社]<br />
 +
한자의 기원,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이다미디어<br />
 +
'''漢字文化圖說''', 韓鑒堂, 北京語言大學出版社<br />
 +
'''图解汉字起源''',王祥之,北京大学出版社
  
===국학으로의 전향===
+
===한자학에 대한 이해===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이 일어나자 왕국유는 나진옥과 일본으로 망명하여 교토(東都) 다나카촌(田中村)에 정착하였다. 그는 나진옥을 도와 매일 교토대학으로 가서 그의 장서를 정리하여 생활을 유지하였다. 학자적 의무로 국학을 연구하기를 바란 나진옥의 권유와 왕국유의 학문적 관심, 고고학적 유물이 다수 발견되던 당시 상황에서 그는 중국 속문학에서 국학으로 학문을 전향한다. 귀국 전까지 중국 고대의 사료(史料), 기물(器物), 문자, 음운 등의 고증 작업에 종사하였다. 
+
한학입문, 심경호, 황소자리<br />
 +
한자에 도전한 중국, 오시마 쇼지, 산처럼<br />
 +
'''한자- 백가지 이야기''',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황소자리<br />
 +
한자학-설문해자의 세계, 아츠지 데츠지, 보고사<br />
  
1916년에 상해로 돌아와 유태인 하둔(Silas A. Hardoon)의 제안으로 창성명지대학(倉聖明智大學)에서 학술 간행물인 《학술잡지》의 편집자로 일하였다. 1917년에는 《은복사중소견선공선왕고(殷卜辭中所見先公先王考)》과 《은주제도론(殷周制度論)》을 저술했다.
+
===한자를 통해 본 중국문화===
 +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문화사, 도미야이타루, 사계절<br />
 +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br />
 +
유골의 증언-고대중국의 형벌, 도미야 이따루, 서경문화사<br />
 +
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고대문화, 이돈주, 태학사<br />
 +
언어의 금기로 읽는 중국문화, 이중생, 동과서<br />
 +
주술의 사상, 白川靜과 梅原猛 대담 집, 사계절<br />
 +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許進雄, 지식산업사]<br />
 +
문자의 발견, 역사를 흔들다, 후쿠타 테쓰유키(福田哲之), 너머북스<br />
  
1923년 청 마지막 황제 부의(溥儀)의 부름을 받고 남서방행주(南書房行走)로 임명되었다.
+
==한자관련 자료==
 +
===EBS 다큐 문자===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fnnpPuQCwfNvtp9  EBS 다큐 문자1 위대한 탄생]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4aLFLHaNuZCXFdD  EBS 다큐 문자2 끝없는 도전]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e9BjNe0a45GCHHF  EBS 다큐 문자1 알파벳 혁명]
 +
*[https://www.youtube.com/watch?v=Ib8qpqxWgR0 EBS다큐 은나라의 성립과 은의 청동기 사모무정(司母戊鼎) 이야기]
 +
*[https://www.youtube.com/watch?v=K_F-4_xH8Mw EBS다큐 갑골문의 발견과 갑골문의 내용]
 +
*[https://www.youtube.com/watch?v=DcDHn4BYlyA 은허의 부호묘 부장품 및 갑골묘]
  
1925년 청화대학(清華大學) 국학연구원 역사학과 교수로 초빙되었다. 그곳에서 서북변경지리와 요(遼), 금(金), 원(元)대 역사를 연구하였다. 왕국유는 양계초(梁啓超), 진인각(陳寅恪)과 함께 가장 명성이 높아 ‘삼거두(三巨頭)’로 불리었다.  
+
===CCTV 다큐 문자===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iOV4ssLrCVIwMXj  CCTV 大型电视纪录片 汉字五千年]
 +
*[https://www.youtube.com/watch?v=EFxgA-k-O4Y&t=104s <里耶秦简:秦朝县城那些事儿> 秦나라 초기 생활상을 볼수 있는 里耶秦简]
 +
*[https://www.youtube.com/watch?v=8P0yjRPENhM&t=1267s <云梦秦墓: 隐世国宝现真>]
 +
*[https://www.youtube.com/watch?v=GqdkgnDWvus <熹平石经:破碎与重聚> 喜平石經]
 +
*[https://www.youtube.com/watch?v=ChL5Jl0at8k <后母戊鼎:国之重器>  后母戊方鼎]
 +
*[https://www.youtube.com/watch?v=Crl-Zw0mqbo <利簋:刻下商周的界碑> 利簋]
 +
*[https://www.youtube.com/watch?v=8ZNwu_pmGy4&t=162s <何尊:这里有中国>]
  
===죽음===
+
===한자 이야기===
[[파일:청화원 기념비.jpg|프레임|오른쪽|청화원에 위치한 기념비]]
+
[http://munja.yonsei.ac.kr/archives/archives_02_1_3.php 문자를 만든 신과 영웅: 중국의 문자 창제 신화]<br />
개인적인 사건과 청 왕조의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비관하던 중 1927년 6월 2일 베이징에 위치한 황실정원 이화원(颐和園) 곤명호(昆明湖)에 투신하여 자살했다. 그가 입은 옷 속에서 삼남 정명(貞明) 앞으로 쓰인 유서가 발견되었다.  
+
[http://munja.yonsei.ac.kr/archives/archives_02_1_13.php 구상에서 추상으로, 중국 이족(彝族)의 문자]<br />
 +
[http://munja.yonsei.ac.kr/archives/archives_02_1_14.php 만주문자와 여진문자]<br />
  
''오십 평생에 다만 죽음 하나가 모자라는구나, 이 세상의 변화를 겪게 되었으니, 옳음으로 다시는 욕되지 않으리라. 내가 죽은 뒤에는 마땅히 대강대강 염을 해서, 즉시 청화 묘지에 장사를 지내어라. 너희들은 남으로 돌아갈 없다면 잠시 성내에 거주해도 좋다. 너희 형 또한 급히 상을 치르러 달려올 필요는 없다. 도로가 불통되었고 또한 일찍이 집 밖을 나가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적은 진인각, 오복(吳宓) 두 선생에게 처리해달라고 부탁해라. 집안사람들은 알아서 수습하여 반드시 남쪽으로 돌아가지 못해서는 안 된다. 내가 비록 너희들에게 남겨줄 재산이 없지만 그러나 만약에 근신하고 근검하면 또한 반드시 굶어죽는 데 이르지는 않을 것이다. 6월 초이틀에. 아비 씀.''
+
===한자관련 참고 사이트===
 +
[http://www.zdic.net 고대중국어 현대중국어를 한 곳에서 검색할 있는 인터넷 중국어 사전검색 사이트 漢典 ]<br />
 +
[http://xh.5156edu.com 인터넷 중국어 사전 新華字典]<br />
 +
[http://sf.zdic.net/shufamingjia/ 중국의 다양한 서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 书法名家 ]<br />
 +
[http://ctext.org 중국고대텍스트 검색 사이트 http://ctext.org ]<br />
 +
[http://chardb.iis.sinica.edu.tw/ 國際電腦漢字及異體字知識庫 International Encoded Han Character and Variants Database]<br />
 +
[http://dict.variants.moe.edu.tw/ 대만교육부 異體字字典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 Variants]<br />
 +
[http://www.zitizhuanhuan.com/ 현대 한자를 갑골문 금문 전서 등 다양한 자형으로 변환 시켜주는 사이트 字体转换网]
  
그의 자살 이유에 대해서는 청나라를 위한 순국, 비관주의적 인생관 지금까지 여러 설이 제기되고 있다.
+
==위키문서==
 +
*위키문서는 반드시 출판된 서적이나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저술하며 그 출처를 명기합니다.<br>
 +
*하이퍼링크를 적극 활용하세요. 링크할 문서가 없어도 링크 설정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할 경우 외부링크를 활용하세요.<br>
 +
*참고문헌은 정확하게 밝혀주세요. 저자, 제목, 학회지, 연도, 출판사, 학위논문일 경우 석사논문인지 박사논문인지 .<br>
 +
*문서 마지막에는  <nowiki>[[분류:중국문자]]</nowiki>를 표시해 주세요.
 +
*기존 문서를 수정할 경우 문서 제목 옆에 (2)를 표시합니다.
  
==갑골학 성과==
+
===2020년===
===은의 초기 조상===
+
*[[조충문]](鳥蟲文) 왕지영
나진옥이 1914-1915년에 발견한 정복문(貞卜文)에서 상의 선조 왕해(王亥)에 대한 연구는 그의 방대한 문헌자료 지식을 조합한 예이다. 왕해의 정체에 대한 의문은 《사기》에서 언급한 선공(先公)의 이름에 왕해가 보이지 않는 것에 있다. 관련 문헌의 고찰에 근거하여 그는 왕해(갑골문과 《산해경(山海經)》), 왕자해(王子亥, 古文經 《竹書紀年》), 후자해(候子亥, 今文經 《竹書紀年》), 진()과 해(), 핵(), 해(), 왕영(王永), 해()는 모두 동일한 은의 조상으로 문헌자려에서 첫 번째 목자로 묘사된다고 한다. 무정(武丁)·조경(祖庚) 시기와 같은 갑골문의 초기 단계에서 ‘
+
*[[옥편]](玉篇) 한봄이
[[파일:왕 갑골문.jpg|20픽셀]]
+
*[[형성자]](形聲字} 라현후
’에 관하여 왕국유는 ‘왕()’으로 보았다. 손이양(孫詒讓)은 ‘입()’자로 잘못 해석하였고, 나진옥은 ‘왕(王)’ 혹은 ‘입(立)’으로 혼동하였다. 왕해(王亥), 두 자를 인명으로 인식함으로써 문헌의 착오를 정리하였다.
+
*[[명조체]](明朝體) 김윤희
 +
*[[단옥재]](段玉裁) 강재언
 +
*[[왕국유]](王國維) 한민정
 +
*[[암각화]](岩刻畵) 강동우
 +
*[[주음부호]](注音符號) 김지인
 +
*[[서하문자]](西夏文字) 기가미히나코
 +
*[[대우정]](大盂鼎) 김서희
 +
*[[사모무방정]](司母戊方鼎) 송수영
 +
*[[이궤]](利簋) 오노 유이
 +
*[[하존]](何尊) 홍도희
 +
*[[시라가와 시즈카]] (白川靜) 서일규
 +
*[[쯔놈]] (𡨸喃) 김찬희
 +
*[[나진옥]] (羅振玉) 김진규
 +
*[[왕의영]](王懿榮) 이재연
 +
*[[죽간]](竹簡) 이상승
  
===은왕의 계보===
+
===2019년===
사마천은 기원전 1세기의 인물로 《사기·은본기(殷本紀)》의 은대(殷代)는 기원전 20세기에서 15세기에 해당한다. 왕국유는 안양 소둔현(小屯縣)에서 출토된 갑골문자로부터 은왕조의 세계(世系)를 찾아내었다.
+
[[방상씨]](放相氏),
갑골문자는 상왕조가 선조를 제사지낼 때의 점사를 기록한 것으로 믿을 수 있는 원시자료이다. 왕국유는 순서에 따라 상토(相土), 계(), 왕해(王亥), 왕항(王恒), 상갑(上甲), 보정(報丁), 보병(報丙), 보을(報乙), 주임(主壬), 주계(主癸), 대을(大乙) 등에 대해 고증하였다.
+
[[동파문자]](東巴文字)  
 +
[[회의자]](會意字)
 +
[[혼돈]](混沌)  
 +
[[난정서]](蘭亭序)  
 +
[[호궤]](胡簋)  
 +
[[삼서설]](三書說)  
 +
[[곽점초간]](郭店楚簡)
 +
[[회남자]](淮南子)  
 +
[[노벽]](魯壁)
  
왕국유는 《사기·은본기》에 나타나는 은의 인물의 이름에 관해서는 주로 나진옥의 관점을 따랐다. 나진옥은 사마천이 왕조 건설자의 이름을 대을(大乙) 보다는 천을(天乙)이라고 쓰는 실수를 범하였다고 하였는데, 왕국유는 천(天)과 대(大)가 유사하여 사마천이 혼동하였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왕조 건설자의 정확한 이름이 대을이라는 것은 갑골문에 나타난 다른 상왕들의 이름도 대(大)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증명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왕조 건설자 ‘탕(湯)’의 본래 형태는 당()이며, 당(唐)은 갑골문에서 대을의 이름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
===2018년===
이 고찰은 《사기》가 신뢰성 있는 역사이며, 근거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그는 《사기·은본기》에 기재된 은 왕조의 배열순서상의 착오를 바로 잡았다. 점사에 따르면 보정(報丁)은 당연히 보을(報乙), 보병(報丙)의 뒤에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성과를 통해 고대사 연구는 문건상의 자료와 유물을 상호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허신]](許愼),
 +
[[거연한간]](居延漢簡),
 +
[[만주문자]],
 +
[[여진 문자|여진문자]],
 +
[[마왕퇴백서]](馬王堆帛書),
 +
[[천자문]](千字文),
 +
[[베히스툰 비문]],
 +
[[리야진간]](里耶秦簡),
  
===갑골의 시대구분과 연결===
+
===2017년===
은은 자주 거주지를 바꾸었다고 전해진다. 왕국유는 갑골문자가 실제로 출토된 소둔(小鈍)은 반경(盤庚)이라는 임금이 거기로 수도를 옮긴이래 제신(帝辛)에 이르러 멸망할 때까지 거의 270년에 걸쳐 도읍이었다는 것을 고증하였다. 그는 친족의 직함에 근거하여 탁본의 시기구분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아버지에 대해 언급한 것이라면 이것은 그의 아들 세대에 행해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왕조가계도에 따라 탁본의 시기를 확인하는 것에는 자체적인 한계가 있었다.
+
[[행서]](行書),
1927년 은허에서 큰 거북이 네 판이 발굴되어 동작빈(董作賓)이 이에 대해 시대구분을 하였다. 동작빈은 열 가지를 시대 구분의 기준으로 삼았는데, 그 중 점쟁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를 ‘점쟁이 시대 구분’이라고 한다.
+
[[결승]](結繩),
 +
[[신농]](神農)
 +
[[육서]](六書),  
 +
[[반절법]](反切法),
 +
[[복희]](伏羲),
 +
[[분서갱유]],
 +
[[중국 고대 목축과 육식문화]],
 +
[[선사 시대]],  
 +
[[하]](夏),
 +
[[도문]](陶文),
 +
[[팔괘]](八卦),
 +
[[금고문논쟁]](今古文論爭)
  
왕국유는 《은허서계후편》과 《진수당 소장 은허문자》에 보이는 다음의 점사를 각각 하나의 갑골로 보고 연결시켰다.
+
===2016년===
 +
[[설문해자]] [[갑골문]] [[로제타스톤]] [[측천문자]] [[각석]] [[창힐]] [[설형문자]] [[간체자]] [[소전체]] [[육국고문]] [[모공정]] [[예서]](隸書) [[부호묘]] [[한어병음]]
 +
[[초서]](草書) [[해서]] [[후마맹서]] [[금문]]
  
''乙未,[[파일:고문자1.jpg|20픽셀]]
+
==[[한자어원문화사전]]==
[[파일:고문자2.jpg|15픽셀]]
+
*표제어는 자신이 발표한 한자 가운데 10개를 선택하여 작성합니다.(기존 표제어 문서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上甲十, 報乙三, 報丙三, 報丁三, 示壬三, 示癸三, 大丁三, 大甲十...''
+
*문서는 반드시 출판된 서적이나 논문을 참고로 하며 그 출처를 표시합니다.
 +
*한자 이미지 파일은 pdf로 변환한 다음 캡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기존 표제어를 수정 보충할 경우 표제어 옆에 숫자 (2)를 표시합니다.
 +
[https://teams.microsoft.com/l/message/19:1057d60df3eb4e64a225b98395c1c613@thread.tacv2/1606812264999?tenantId=b0988c13-e134-4b78-adf7-5d1e5b241018&groupId=b005a860-6b9e-422d-a5f6-1ca11d953b38&parentMessageId=1606812264999&teamName=%EC%A4%91%EA%B5%AD%EB%AC%B8%EC%9E%90%EC%9D%98%EC%9D%B4%ED%95%B4&channelName=%EC%9D%BC%EB%B0%98&createdTime=1606812264999 한자어원문화사전 표준 양식 활용하기]
 +
===2020년===
 +
표제어는 간체자가 아닌 정체자로 작성합니다.
  
이것은 위의 갑골이 시계(示癸)까지 이르는 육시 점사(六示卜辭)인데, 여기에서 은왕이 선조를 제사지낼 때 세대 계보의 배열이 정제되어 있고, 희생물 역시 일정한 예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후에 이 두 조각은 유체지(劉體智)가 소장한 한 조각과 연결되어 위의 갑골은 조을(祖乙)까지 이르는 십시(十示) 점사로 판명되었다.
+
# [[拜]] [[敖]] [[八]] [[敗]] [[賁]] [[筆]](2) [[寶]](2) [[貝]](2) [[班]](2) [[半]](2) 한봄이 <br>
 +
# [[不]](2) [[步]](2) [[布]] [[才]](2) [[采]](2) [[蔡]] [[參]](2) [[殘]] [[蠶]] [[蒼]] 김윤희 <br>
 +
# [[伐]](2) [[法]](2) [[髮]] [[反]](2) [[方]] [[妃]] [[非]](2) [[分]](2) [[焚]] [[奮]](2) 강재언 <br>
 +
# [[旦]](2) [[彈]](2) [[宕]] [[刀]](2) [[祷]] [[道]](2) [[稻]](2) [[得]](2) [[德]] [[登]](2) 강동우 <br>
 +
# [[晨]] [[稱]](2) [[成]] [[盛]] [[承]](2) [[丞]](2) [[乘]](2) [[蚩]](2) [[遲]](2) [[尺]](2) 송수영 <br>
 +
# [[兑]] [[盾]](2) [[多]] [[奪]] [[兒]](2) [[而]](2) [[爾]] [[耳]](2) [[二]] [[發]] 김진규 <br>
 +
# [[狄]](2) [[氏]] [[帝]] [[弟]](2) [[顛]] [[典]](2) [[電]](2) [[佃]] [[奠]](2) [[耋]] 한민정 <br>
 +
# [[豳]] [[兵]](2) [[冰]](2) [[秉]](2) [[并]] [[病]](2) [[駁]](2) [[帛]] [[孛]] [[僰]] 라현후 <br>
 +
# [[糞]] [[豐]] [[風]](2) [[缶]] [[夫]](3) [[孚]](2) [[弗]](2) [[伏]](2) [[鳧]](2) [[刜]] 기가미히나코 <br>
 +
# [[从]] [[粗]] [[达]](2) [[大]](2) [[歹]] [[逮]] [[贷]] [[戴]](2) [[丹]](2) [[單]](2) 김지인 <br>
 +
# [[曹]](2) [[草]](2) [[策]](2) [[册]](2) [[側]] [[曾]] [[叉]] [[蠆]] [[蟬]] [[孱]] 오노 유이 <br>
 +
# [[富]](2) [[改]](2) [[丐]] [[甘]](2) [[敢]](2) [[剛]] [[羔]](2) [[高]](2) [[告]](2) [[戈]](2) 홍도희 <br>
 +
# [[包]](2) [[保]](2) [[安]](2) [[卑]](2) [[本]](2) [[逼]] [[愛]] [[百]] [[悖]] [[白]] 김찬희 <br>
 +
# [[出]](2) [[初]](2) [[雛]] [[楚]](2) [[處]](2) [[觸]] [[畜]](2) [[川]](2) [[穿]](2) [[傳]] 이상승 <br>
 +
# [[服]] [[俘]](2) [[福]](2) [[箙]](2) [[甫]] [[父]](2) [[府]] [[婦]](2) [[阜]](2) [[復]](2) 서일규 <br>
 +
# [[丁]](2) [[鼎]](2) [[定]](2) [[東]](2) [[冬]] [[斗]](2) [[豆]](2) [[杜]] [[隊]](2) [[對]](2) 김서희 <br>
 +
# [[般]] [[剝]] [[豹]] [[虣]] [[鼻]] [[備]] [[比]](2) [[匕]](2) [[北]](2) [[奔]](2)  왕지영 <br>
  
===은주제도론===
+
===2019년===
왕국유는 《은주제도론(殷周制度論)》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
# [[顏]] [[顯]] [[道]] [[唯]] [[嚴]] [[宦]] [[臣]](2) [[聽]](2) [[臭]](2) [[取]](2) <br>
 +
# [[包]] [[夫]](2) [[尸]] [[信]] [[卿]] [[孝]](2) [[后]] [[伐]] [[好]](2) [[美]](2)  <br>
 +
# [[見]](2) [[飮]](2) [[酉]](2) [[吹]](2) [[魅]] [[歌]] [[疒]] [[失]] [[孚]] [[旣]]  <br>
 +
# [[叟]] [[史]] [[兵]] [[戒]] [[父]](2) [[左]](2) [[右]](2) [[彝]](2) [[專]](2)  <br>
 +
# [[歐]] [[既]] [[觀]] [[屰]] [[視]] [[痛]] [[病]](2) [[異]](2) [[重]](2) [[望]](2) <br>
 +
# [[登]] [[律]](2) [[送]] [[造]] [[復]] [[衛]] [[止]](2) [[武]](2) [[疋]] [[往]]  <br>
 +
# [[頭]] [[順]] [[省]] [[息]] [[眠]] [[名]] [[甘]](2) [[須]](2) [[聯]](2) [[聞]](2)  <br>
 +
# [[舞]](2) [[行]](2) [[前]](2) [[各]](2) [[起]] [[越]] [[通]] [[遠]] [[退]] [[衡]] <br>
 +
# [[即]] [[旬]] [[哲]] [[丸]] [[導]] [[對]] [[始]] [[食]] [[孰]] [[備]]
 +
# [[爽]] [[燕]](2) [[祖]] [[王]](2) [[臧]](2) [[盟]] [[法]] [[微]](2) [[禮]] [[我]](2) <br>
  
''“중국의 정치와 문화의 변혁은 은에서 주로 넘어가는 시기보다 더 심각한 때가 없었다. 주의 제도가 은의 것과 크게 다른 것은 첫째, 아들을 세우고 적장자를 세우는 제도로 이로 말미암아 종법(宗法)과 상복(喪服) 제도가 생겨났고, 봉건자제(封建子弟)의 제도, 천자를 임금으로, 제후를 신하로 삼는 제도가 생겨났다. 둘째, 묘수(廟數)의 제도, 셋째, 동성불혼(同姓不婚)의 제도이다. 이 몇 가지는 모두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이며, 그 요지는 상하에 도덕을 주입시켜 천자, 제후 경, 대부, 선비, 서민에 이르기까지 도덕적 체계를 이루게 하는 데 있다. 주공(周公)이 제도를 만든 본의는 실로 여기에 있다.”''
+
===2018년===
 +
# [[鼎]], [[員]], [[眞]], [[ 鬲]](2), [[貞]], [[則]], [[測]], [[融]], [[顚]], [[鎭]]
 +
# [[官]], [[寧]], [[守]], [[稟]], [[亭]], [[擅]], [[向]], [[追]], [[影]], [[景]]
 +
# [[倉]], [[創]], [[槍]], [[啓]], [[肇]], [[顧]], [[閃]], [[閒]], [[扁]], [[編]]
 +
# [[廣]], [[店]], [[深]], [[窮]], [[庭]], [[庫]], [[廐]], [[邊]], [[究]], [[庶]], [[弋]](2), [[升]](2)
 +
# [[止]](2), [[步]](2), [[走]](2), [[奔]](2), [[遲]], [[律]], [[貝]](2), [[質]], [[買]](2), [[得]](2)
 +
# [[孝]](2), [[奏]], [[化]], [[竽]], [[熹]], [[鼖]], [[鼓]](2), [[瑟]], [[南]], [[兄]], [[壎]]
 +
# [[冡]](2), [[蒙]], [[冢]], [[冥]], [[入]], [[丙]], [[更]], [[罪]], [[罰]], [[畢]], [[離]], [[霝]], [[儒]]
 +
#  [[酒]](2), [[醋]], [[酋]], [[尊]](2), [[遵]], [[配]](2), [[奠]](2), [[酌]](2), [[醉]], [[酖]]
  
이 글은 후대 학자들에 의해 착오임이 밝혀졌으나 학문방법상 고문자 연구와 고대사 연구를 서로 결합시켜 전통적 사학방법과는 과정이 다르다. 그는 갑골금문연구를 문자범위에 제한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운용하여 고대사회제도 연구로 연결하였다.
+
===2017년===
 +
#  [[冉]](2)‎‎, [[稱]](2), [[再]],‎ [[遘]](2),‎ [[構]],‎‎ [[敝]](2),‎ [[瞥]],‎ [[幣]],‎ [[鱉]], [[講]] 
 +
#  [[戮]]‎‎, [[習]](2), [[翏]],‎ [[廖]],‎ [[非]](2),‎‎ [[誹]],‎ [[升]],‎ [[卂]],‎ [[飛]](2), [[羽]](2) 
 +
#  [[烏]](2)‎‎, [[舃]], [[寫]],‎ [[弋]],‎ [[鳶]],‎‎ [[必]],‎ [[叔]](2),‎ [[寂]],‎ [[代]], [[式]] 
 +
#  [[漁]](2), [[鯀]](2),[[魯]](2), [[鰥]], [[鮮]], [[穌]], [[龜]](2), [[黽]](2),[[蠅]], [[䋲]]
 +
#  [[祥]]‎‎, [[美]](2), [[善]](2),‎ [[羞]](2),‎ [[羔]](2), [[義]],‎‎ [[羨]],‎ [[羴]],‎‎ [[虞]], [[戲]] 
 +
#  [[虔]], [[虜]], [[駁]], [[罵]], [[馭]](2), [[驍]], [[驕]], [[篤]], [[騁]], [[馮]] 
 +
#  [[萑]], [[雚]], [[勸]], [[舊]](2), [[雉]](2), [[雇]], [[耀]], [[鷹]], [[準]], [[雖]] 
 +
#  [[虫]], [[蚩]], [[强]], [[閩]], [[它]](2), [[佗]], [[也]], [[迆]], [[施]], [[禹]] 
 +
#  [[狄]], [[巤]], [[肰]], [[然]], [[獎]], [[獲]], [[獄]], [[厭]], [[犯]], [[豸]], [[家]](2), [[突]](2) 
 +
#  [[逐]](2), [[遂]], [[隊]](2), [[象]](2), [[像]], [[爲]](2), [[能]](2), [[熊]], [[兎]](2), [[慶]], [[侯]](2), [[猴]]
 +
#  [[龍]](2), [[瀧]], [[龐]], [[寵]], [[龔]], [[聾]], [[虹]](2), [[蠱]](2), [[蜚]], [[風]]
  
==저서==
+
===2016년===
《관당집림(觀堂集林)》
+
#  [[繁]]‎‎, [[系]], [[紐]],‎ [[緝]],‎ [[綏]],‎‎ [[羅]],‎ [[紂]],‎ [[約]],‎ [[組]], [[綜]] 
 +
#  [[世]]‎‎, [[葉]], [[某]],‎ [[未]],‎ [[昧]],‎‎ [[制]],‎ [[製]],‎ [[裸]],‎ [[無]], [[巫]] 
 +
#  [[豆]], [[鬲]], [[邦]], [[靈]], [[卑]], [[文]], [[鹵]], [[麻]], [[网]], [[麥]] 
 +
#  [[量]], [[童]], [[財]], [[閉]], [[才]], [[曹]], [[材]], [[動]], [[在]], [[存]] 
 +
#  [[西]], [[粟]], [[垔]], [[甄]], [[票]], [[標]], [[鹵]], [[鹽]], [[鹹]], [[覃]]
 +
#  [[畜]], [[幻]], [[幼]], [[亂]], [[蓄]], [[後]], [[綴]], [[素]], [[率]], [[玄]] 
 +
#  [[性]], [[姓]], [[懺]], [[殲]], [[産]], [[星]], [[麻]], [[散]], [[生]], [[牲]]
 +
#  [[秀]], [[秋]], [[科]], [[秤]], [[程]], [[租]], [[稅]], [[禿]], [[委]], [[季]] 
 +
#  [[刺]], [[棘]], [[枣]], [[策]], [[责]], [[债]], [[积]], [[帚]], [[浸]], [[归]] 
 +
#  [[係]], [[累]], [[幽]], [[斷]], [[鯀]], [[孳]], [[慈]], [[悌]], [[關]], [[聯]] 
 +
#  [[禁]]‎‎, [[森]], [[丕]],‎ [[林]],‎ [[咅]],‎‎ [[楚]],‎ [[樊]],‎ [[培]],‎ [[陪]], [[部]] 
 +
#  [[寐]], [[寤]], [[妝]], [[奬]], [[狀]], [[壯]], [[病]], [[賴]], [[懶]], [[闌]] 
 +
#  [[于]], [[宇]], [[平]], [[亏]], [[雩]], [[盂]], [[臧]], [[藏]], [[肅]], [[床]] 
 +
#  [[稻]], [[稷]], [[廩]], [[移]], [[種]], [[黍]], [[齋]], [[歷]], [[牆]], [[廉]] 
 +
#  [[己]], [[弔]], [[弟]], [[尺]], [[尤]], [[就]], [[纪]], [[改]], [[局]], [[弗]] 
 +
#  [[微]], [[楠]], [[男]], [[內]], [[乃]], [[農]], [[丹]], [[糖]], [[達]], [[圖]]
 +
#  [[戴]], [[旱]], [[哉]], [[裁]], [[赶]], [[插]], [[載]], [[竿]], [[刊]], [[軒]] 
 +
#  [[筮]], [[筆]], [[等]], [[算]], [[笑]], [[龠]], [[筑]], [[耑]], [[瑞]], [[答]] 
 +
#  [[斷]], [[繼]], [[幽]], [[显]], [[变]], [[銮]], [[鸾]], [[弯]], [[樂]], [[蛮]]
  
《고사신증(古史新證)》
+
===참고 자료===
 +
画说汉字-1000个汉字的故事,吴苏仪,陝西师范大学出版社 <br />
 +
常用汉字图解,谢光辉,北京大学出版社<br />
 +
图释古汉字,  熊国英, 齐鲁书社<br />
 +
图解汉字起源,王祥之,北京大学出版社
  
《송원희곡고(宋元戱曲考)》
+
==한자 수필==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XKEBFOg92J284zY 2016년 2017년 수업 수강생들이 집필한 한자수필 종합본 읽기]
  
《은복사중소견선공선왕고(殷卜辭中所見先公先王考)》
+
==수업게시판==
 +
수업공지와 주요 토론은 아래의 수업전용게시판에서 진행됩니다.<br />
  
《은주제도론(殷周制度論)》
+
[http://chineseagora.uos.ac.kr/c/2019/wenzi2019 수업게시판에서 2019년 2학기 강의자료 다운받기]
  
《위석경고(魏石經考)》
+
[[분류: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인간사화(人間詞話)》
 
 
《정안시고(靜安詩稿)》
 
 
 
<홍루몽평론(紅樓夢評論)>
 
 
 
==여담==
 
유년시절부터 몸이 쇠약했다고 전해진다. 각기병으로 일본에서 중도 귀국할 정도로 눈병, 치통, 폐결핵 등 늘 병을 앍고 있었는데, 이는 우울하고 비관적인 성격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철학개론과 철학사 같은 책을 읽어 가면서 칸트라는 인물이 서양 철학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흥미와 달리 칸트의 글은 난해하여 쇼펜하우어의 책을 읽었는데 매우 흥미로워 하였다. 쇼펜하우어가 쓴 <칸트철학에 대한 비판>을 칸트철학에 대한 이해의 실마리로 잡아 다시 칸트 공부를 하였다.<ref>《海寧王靜安先生遺書4》, p.1786.</ref>
 
 
 
나진옥의 인정을 받아 만년에 이르기까지 왕국유의 삶과 학문은 모두에서 그에게 특별한 도움을 받았으며, 둘은 사돈관계이기도 하였다. 고힐강(顧頡剛)은 이에 대하여 “그는 가난한 서생으로 나진옥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어떻게 바깥일을 하나도 묻지 않고 독서에 전심할 수 있었겠는가? 그의 학문이 어떻게 오늘날 이처럼 훌륭할 수 있었겠는가? 나진옥의 도움을 받아 학문의 성공을 얻었으니 그가 또한 어떻게 나진옥과 달리 제 갈 길을 가서 서로 모른 채 할 수 있었겠는가?”라고 말하였다.<ref>顧頡剛,<禱王靜安先生>, 《文學週報,王靜安先生追悼專號》 127년 5권 合訂本</ref>
 
 
 
==참고문헌==
 
===단행본===
 
김경일, 『갑골문이야기』, 바다출판사, 1999.
 
 
 
류창교, 『왕국유 평전』, 영남대학교출판부, 2005.
 
 
 
아잉철자, 김언종·박재양 역, 『한자의 역사』, 학민사, 1999.
 
 
 
오호곤·반유, 『중국갑골학사』, 동문선, 2002.
 

2020년 12월 22일 (화) 21:30 판

수업 개요

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

한자의 기원과 변천사: 고대중국문자(한자)의 기원과 구성 원리 그리고 자형의 변화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한자학에 대한 이해: 한자의 분석과 이해를 위해 성립된 한자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중국 학술사의 전통을 이해한다.
한자를 통해 본 중국문화의 이해: 한자에 반영된 중국인 고유의 사유방식의 특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서의 언어의 가치와 위상을 체험한다.
수업을 통해 학습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자어원문화사전을 수시로 업데이트한다.
2019년 중국문자의이해 수업게시판 바로 가기 (수강생에게만 공개됩니다)

수업 운영

강의

전체 수업의 전반부는 도입부분으로서 담당교수의 강의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강의의 내용은 중국문화에서의 한자의 위상, 한자의 기원 및 발전과정, 한자의 구성 원리, 한자학 관련 부분으로 구성된다.

발표

후반기 수업부터는 학생들의 발표와 이에 대한 담당교수의 보충으로 구성된다.
图解汉字起源의 개인별 분담 부분을 번역하고 내용을 요약 발표한다. 발표를 통해 한자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중국문화의 특성에 관한 문화컨텐츠를 직접 제작하게 하여 문화적 자원으로서의 한자의 가치를 체험해 본다.

과제

  • 위키문서: 수업 시간에 다룬 주요 키워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위키문서 작성
  • 한자어원문화사전 표제어: 한 학기의 학습 성과를 토대로, 주요 한자를 선정하여 갑골문, 금문, 전서체를 통해 어원을 추적하고 문화적 특징을 고찰한다. 한자어원문화사전은 수업 중에 다룬 기본 한자에 대해 학습자들이 직접 써서 작성한다. 이를 통해 해당 한자의 기원과 발전과정을 확인하고 동시에 해당 한자를 통해 고대 중국사회의 문화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 한자수필: 수업과 발표를 통해 배운 한자에 대한 자신만의 이야기를 서술

교재 및 참고문헌

중국문화에서의 한자의 위상

한자는 중국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김근, 민음사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월터 j. 옹, 문예출판사
문자제국 쇠망약사-문자시대가 去하고 전자시대가 來하다, 조남호

한자의 기원과 변천

한자 -기원과 그 배경, 시라가와시즈카(白川靜), AK
한자의 역사, 아츠지 데츠지(阿辻哲次), 학민사
圖說漢字的歷史, 阿辻哲次, 山東畵報出版社]
한자의 기원,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이다미디어
漢字文化圖說, 韓鑒堂, 北京語言大學出版社
图解汉字起源,王祥之,北京大学出版社

한자학에 대한 이해

한학입문, 심경호, 황소자리
한자에 도전한 중국, 오시마 쇼지, 산처럼
한자- 백가지 이야기,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황소자리
한자학-설문해자의 세계, 아츠지 데츠지, 보고사

한자를 통해 본 중국문화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문화사, 도미야이타루, 사계절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유골의 증언-고대중국의 형벌, 도미야 이따루, 서경문화사
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고대문화, 이돈주, 태학사
언어의 금기로 읽는 중국문화, 이중생, 동과서
주술의 사상, 白川靜과 梅原猛 대담 집, 사계절
중국고대사회-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許進雄, 지식산업사]
문자의 발견, 역사를 흔들다, 후쿠타 테쓰유키(福田哲之), 너머북스

한자관련 자료

EBS 다큐 문자

CCTV 다큐 문자

한자 이야기

문자를 만든 신과 영웅: 중국의 문자 창제 신화
구상에서 추상으로, 중국 이족(彝族)의 문자
만주문자와 여진문자

한자관련 참고 사이트

고대중국어 현대중국어를 한 곳에서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중국어 사전검색 사이트 漢典
인터넷 중국어 사전 新華字典
중국의 다양한 서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 书法名家
중국고대텍스트 검색 사이트 http://ctext.org
國際電腦漢字及異體字知識庫 International Encoded Han Character and Variants Database
대만교육부 異體字字典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 Variants
현대 한자를 갑골문 금문 전서 등 다양한 자형으로 변환 시켜주는 사이트 字体转换网

위키문서

  • 위키문서는 반드시 출판된 서적이나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저술하며 그 출처를 명기합니다.
  • 하이퍼링크를 적극 활용하세요. 링크할 문서가 없어도 링크 설정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할 경우 외부링크를 활용하세요.
  • 참고문헌은 정확하게 밝혀주세요. 저자, 제목, 학회지, 연도, 출판사, 학위논문일 경우 석사논문인지 박사논문인지 등.
  • 문서 마지막에는 [[분류:중국문자]]를 표시해 주세요.
  • 기존 문서를 수정할 경우 문서 제목 옆에 (2)를 표시합니다.

2020년

2019년

방상씨(放相氏), 동파문자(東巴文字) 회의자(會意字) 혼돈(混沌) 난정서(蘭亭序) 호궤(胡簋) 삼서설(三書說) 곽점초간(郭店楚簡) 회남자(淮南子) 노벽(魯壁)

2018년

허신(許愼), 거연한간(居延漢簡), 만주문자, 여진문자, 마왕퇴백서(馬王堆帛書), 천자문(千字文), 베히스툰 비문, 리야진간(里耶秦簡),

2017년

행서(行書), 결승(結繩), 신농(神農) 육서(六書), 반절법(反切法), 복희(伏羲), 분서갱유, 중국 고대 목축과 육식문화, 선사 시대, (夏), 도문(陶文), 팔괘(八卦), 금고문논쟁(今古文論爭)

2016년

설문해자 갑골문 로제타스톤 측천문자 각석 창힐 설형문자 간체자 소전체 육국고문 모공정 예서(隸書) 부호묘 한어병음 초서(草書) 해서 후마맹서 금문

한자어원문화사전

  • 표제어는 자신이 발표한 한자 가운데 10개를 선택하여 작성합니다.(기존 표제어 문서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 문서는 반드시 출판된 서적이나 논문을 참고로 하며 그 출처를 표시합니다.
  • 한자 이미지 파일은 pdf로 변환한 다음 캡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기존 표제어를 수정 보충할 경우 표제어 옆에 숫자 (2)를 표시합니다.

한자어원문화사전 표준 양식 활용하기

2020년

표제어는 간체자가 아닌 정체자로 작성합니다.

  1. (2) (2) (2) (2) (2) 한봄이
  2. (2) (2) (2) (2) (2) 김윤희
  3. (2) (2) (2) (2) (2) (2) 강재언
  4. (2) (2) (2) (2) (2) (2) (2) 강동우
  5. (2) (2) (2) (2) (2) (2) (2) 송수영
  6. (2) (2) (2) (2) 김진규
  7. (2) (2) (2) (2) (2) 한민정
  8. (2) (2) (2) (2) (2) 라현후
  9. (2) (3) (2) (2) (2) (2) 기가미히나코
  10. (2) (2) (2) (2) (2) 김지인
  11. (2) (2) (2) (2) 오노 유이
  12. (2) (2) (2) (2) (2) (2) (2) (2) 홍도희
  13. (2) (2) (2) (2) (2) 김찬희
  14. (2) (2) (2) (2) (2) (2) 穿(2) 이상승
  15. (2) (2) (2) (2) (2) (2) (2) 서일규
  16. (2) (2) (2) (2) (2) (2) (2) (2) 김서희
  17. (2) (2) (2) (2) 왕지영

2019년

  1. (2) (2) (2) (2)
  2. (2) (2) (2) (2)
  3. (2) (2) (2) (2)
  4. (2) (2) (2) (2) (2)
  5. (2) (2) (2) (2)
  6. (2) (2) (2)
  7. (2) (2) (2) (2)
  8. (2) (2) (2) (2) 退
  9. (2) (2) (2) (2) (2)

2018년

  1. , , , (2),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 (2), (2)
  5. (2), (2), (2), (2), , , (2), , (2), (2)
  6. (2), , , , , , (2), , , ,
  7. (2), , , , , , , , , , , ,
  8. (2), , , (2), , (2), (2), (2), ,

2017년

  1. (2)‎‎, (2), ,‎ (2),‎ ,‎‎ (2),‎ ,‎ ,‎ ,
  2. ‎‎, (2), ,‎ ,‎ (2),‎‎ ,‎ ,‎ ,‎ (2), (2)
  3. (2)‎‎, , ,‎ ,‎ ,‎‎ ,‎ (2),‎ ,‎ ,
  4. (2), (2),(2), , , , (2), (2),,
  5. ‎‎, (2), (2),‎ (2),‎ (2), ,‎‎ ,‎ ,‎‎ ,
  6. , , , , (2), , , , ,
  7. , , , (2), (2), , 耀, , ,
  8. , , , , (2), , , , ,
  9. , , , , , , , , , , (2), (2)
  10. (2), , (2), (2), , (2), (2), , (2), , (2),
  11. (2), , , , , , (2), (2), ,

2016년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5. 西, , , , , , , , ,
  6. , , , , , , , , ,
  7. , , , , , , , , ,
  8. , , , , , , , 禿, ,
  9. , , , , , , , , ,
  10. , , , , , , , , ,
  11. ‎‎, , ,‎ ,‎ ,‎‎ ,‎ ,‎ ,‎ ,
  12. , , , , , , , , ,
  13. , , , , , , , , ,
  14. , , , , , , , , ,
  15. , , , , , , , , ,
  16. , , , , , , , , ,
  17. , , , , , , , 竿, ,
  18. , , , , , , , , ,
  19. , , , , , , , , ,

참고 자료

画说汉字-1000个汉字的故事,吴苏仪,陝西师范大学出版社
常用汉字图解,谢光辉,北京大学出版社
图释古汉字, 熊国英, 齐鲁书社
图解汉字起源,王祥之,北京大学出版社

한자 수필

2016년 2017년 수업 수강생들이 집필한 한자수필 종합본 읽기

수업게시판

수업공지와 주요 토론은 아래의 수업전용게시판에서 진행됩니다.

수업게시판에서 2019년 2학기 강의자료 다운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