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시대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선사 시대

현재 고고학계는 정착 생활, 도기 제작, 농업의 출현을 구석기시대와 구별할 수 있는 신석기시대 발단의 3대 중요 지표로 삼는다. 각 지역마다 신석기시대가 도래한 시기가 다른데, 중국에서는 신석기 시대 조기 유적이 화북 장강 중류와 화남에서 일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의 선조들이 1만~8천 년 전에 이미 도기를 제작하고 농업에 종사하며 정착 생활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대륙의 지리

중국 문명은 동유라시아 중 좀더 온난한 지대라는 특별한 지리적 환경에서 발달하였다. 이 지역은 광대하고 지리적 조건이 다양해서 초기 거주자들에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놓기도, 제약을 가하기도 하였다. 중국 본토는 동서남북으로 약 5,500킬로미터에 걸쳐 있어 매우 광활하다. 광활하게 뻗어 있는 땅 사이사이에는 산맥들이 놓여 있고, 산맥을 사이로 거주에 적당한 강의 유역들이 나누어진다. 이러한 강 유역을 중심으로 최초의 인간 정착 촌락이 확립되었다. 중국 본토는 강 유역 이외에 곡물 재배에 적합하지 못한 땅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중국 대륙은 중국과 가장 가까운 곳의 고대 문명 발생 지역인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유역과 분리되었다. 중국 본토를 벗어나 북쪽의 스텝 또는 내륙 아시아의 초원 지대는 중국 북부보다도 기온이 낮고 건조해서 곡물 재배보다는 목축에 더 적합하다. 내륙 아시아는 전통적인 중국의 적들인 흉노몽골인과 같은 유목민들의 본거지로, 한족들이 주로 거주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이 스텝 지역은 유라시아를 지나 우크라이나에 이르기까지 넓게 뻗어 있는데, 아주 드물게 보이는 오아시스 부근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드넓은 사막이 자리하고 있어 중국 본토는 북서쪽의 스텝 지역과 분리된다. 이 사막의 남쪽으로 중국의 중부와 남부에서 정서쪽에는 티베트가 위치하는데, 티베트의 높은 산들은 북쪽의 사막이나 초원지대와 마찬가지로 농업을 주로 하는 중국의 생활 방식에 적합하지 않다.

황허와 양쯔 강

두개의 수계(水系, 북쪽의 황허, 중앙의 양쯔)가 동쪽으로 흐르며 중국 본토를 통과한다. 황허와 양쯔강이 흐르는 지역은 토양, 지형, 기후, 강우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황허는 서부 산지에서 발원하여 북 사막을 통과하면서 방향을 바꾸어 황토 구릉 지대를 통과해 북에서 남쪽으로 급류한다. 황토는 바람에 날려온 미세한 먼지가 대지를 덮고 있는 누르스름한 흙으로, 원시 도구들로도 쉽게 농사를 지을 수 있을 만큼 비옥하다. 황허는 황토 산지 남쪽 끝에서 갑자기 동쪽으로 흐름을 바꾸고 침적토로 인해 누르스름한 색깍을 띠며 폭 1,600미터 정도 되는 제방 사이로 흘러간다. 황허는 충적토 평원을 이리저리 통과하여 바다에 도달한다.황허가 흐르는 북부지역 춥고 편평하며 건조하다. 또한 식물의 생장기가 짧고 토양이 알칼리성이어서 밀이나 기장 등과 같은 곡식을 재배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황허 북부 유역은 대부분 강우량이 연평균 500밀리미터가 채 안 될 정도로 적어서 관개 농업을 해야만 한다. 또한 북부지역은 남부지역보다 홍수와 가뭄이 한층 더 자주 발생한다. 북서쪽의 황토지역을 통과할 때 쌓인 침적토가 강의 흐름에 따라 동쪽으로 흘러가고 그 흐름이 완만해지면서 천천히 바닥으로 가라앉아 홍수가 나기 쉽다. 침적토로 인해 하천의 바닥이 높아지자 수세기 동안 농민과 정부는 제방을 건설하여 인위적으로 강의 흐름을 유지하였고 이 때문에 홍수가 발생하면 피해의 범위와 정도는 더 커지게 되었다.

양쯔강은 여러 지류의 물이 합류하여 강물의 양은 황허보다 훨씬 더 많다. 양쯔 강은 티베트 산지에서 발원하여 쓰촨(四川) 분지를 에워싸고 있는 산을 가로질러, 높이 3,300미터 이상 되는 가파른 절벽이 있는 장대한 협곡을 통과해 1,600킬로미터 가량 동쪽으로 흐르다가 바다에 합류한다.
양쯔 강 유역은 북부보다 기온이 더 따뜻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이 지역 대부분이 연중 푸르고 강우량이 1,500밀리미터 이상 되는 등, 쌀 재배와 이모작에 아주 적합하다. 남쪽을 이리저리 통과하는 다수의 작은 강들과 양쯔 강은 항행이 가능해서, 남부는 배로 여행하기 적합하다.

전기 신석기 시대

전기 신석기 시대는 사회적 특징으로 구별하면 대략 모계 씨족 사회의 말기에 해당한다. 문헌상의 기록과 비교하면 삼황 시기의 전기에 해당하고, 신화 시기의 전반기에 해당한다. 고고학상의 유물의 연대 측정 결과에 의하면 대략 기원전 6000-3000년에 해당한다. 주요 문화로는 배리강문화, 앙소문화, 하모도문화, 세석기 문화, 기하문양도기문화 등이 있다.

배리강문화

기원전6~5천년.
1977년 하남성 신정현 배리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배리강문화는 대략 기원전5500년에서 4900년 사이의 농업 취락 유적지로서 집터, 아궁이, 도요지가 있고 석기, 도기, 골기 도구 및 생활 용품이 출토되었다. 석기는 농기구 위주이고 경작과 수확하는 도구, 즉 돌도끼, 돌삽, 돌낫과 양식을 가공하는 도구, 즉 돌 절구판, 돌 절구봉이 포함되었다. 도요지의 발견은 도기 제조업이 이미 일정한 규모에 이르렀음을 증명하고 있다. 도기는 진흙을 재료로 하는 홍도 위주이고, 모래가 섞인 홍도가 그 다음이다. 도기는 술잔, 사발, 쟁반, 단지, 항아리 등이 있다. 이것으로 7-800년 전에 중원 지역에는 이미 비교적 안정적인 농업과 정착 생활이 출현하였고, (조)재배를 위주로 하는 밭농사 단계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다. [1]

앙소문화

기원전5~3천년.
앙소 문화는 중국에서 가장 일찍 발견된 문화이며 분포 면적이 가장 광범위하고 그 문화적인 성취 또한 매우 탁월한 신석기 문화이다. 이는 중국 신석기 문화 구조의 형성과 변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그중 반파와 강채 유적은 전형적인 모계 씨족 문화 유적이다. 앙소문화는 2천 년 동안 지속되면서 성격이 크게 변하고 분포 범위 또한 넓어져 매우 많은 유형을 지녔다. 앙소 문화 전기는 통일성이 강했으며 채도의 발전이 극에 달했다. 후기에는 퇴조하여 외부에서 들여온 문화 요소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2] 앙소문화의권의 경제 생활은 원시 농업이 위주였고, 농작물로는 조와 보리 등이 있다. 그 외에 가축으로는 돼지, 개, 닭을 사육하고, 어렵과 채집은 농업의 보조 수단으로 존재하였다.

하모도문화

기원전6~5천년.
절강성 여요현 하모도에서 발견된 문화를 하모도 문화라고 한다. 7000년 전의 논농사 유물(즉 낱알, 벼 줄기, 벼 잎), 물소와 사슴의 어깨뼈를 이용하여 만든 농기구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당시의 농업이 쟁기 경작의 단계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다.

세석기문화

기하문양 도기 문화

중기 신석기 시대

중기 신석기 시대의 사회적 특징으로는 부계 씨족 중심의 부락사회가 등장하고, 씨족 구성원이 확대되어 부족단계에 이르렀다. 문헌상의 기록과 비교하면, 삼황시기 후기에 해당하고 신화 시기의 후반기에 해당한다. 고고학상의 유물의 연대 측정결과에 의하면 대략 기원전 4~2천 년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비교적 전형적이고 대표성이 있는 문화는 황하 중하류의 용산문화와 황하 상류의 제가문화, 황하와 회하 평야의 대문구 문화, 전당강유역의 양저문화가 있다. 이들 문화의 주요 특징으로는 당시 인구의 증가와 활동 범위의 확대 등으로 부계 씨족 사회가 등장하였다.

용산문화

주요 특징으로 부권(父權)이 강하고 골복(骨卜)의 유행과 수공업의 분업이 이루어졌으며, 전쟁이 빈번하였던 사회이다.

제가문화

대문구문화

양저문화

4200년~5300년 전의 장강 하류 태호 유역은 농업이 발달한 지역 중의 하나이다. 양저문화는 그중에서 특히 발달한 선사 시대 문화이다. 양저문화는 고지대 건축을 대량으로 갖고있으며 당시의 옥기는 미적으로 뛰어나 중국 선사시대 옥기 예술의 전범(典範)이라고 할 수 있다. [3]

후기 신석기 시대

염제

황제

태호

구이

요순

  1. 김영환, 《중국의 역사와 사회문화 고대편》, 남서울대학교 출판국, 2012, P.38
  2. 자오춘칭, 『문명의 새벽』, 2003, p70
  3. 자오춘칭, 『문명의 새벽』, 2003, p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