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語源== | ||
+ | [[파일:헐 훼.jpg|500픽셀|오른쪽]] | ||
+ | 훼(毁)는 파괴, 훼손을 의미한다. [[설문해자]]에서 ‘훼(毁)는 이지러진 것’ 이라고 한다. 금문과 설문해자의 고문을 보면 왼쪽에는 이빨 자극(치흔)이 남은 절구와 우뚝 선 사람이 있고, 오른쪽에는 기구를 든 손이 그려져 있다. 남의 밥그릇을 부수는 모습에서 생겨난 [[회의자]]이다. [[소전]]은 사람 모양을 흙 토(土)로 고쳐서 쓰는데 다른 사람의 식기와 땅을 파괴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예서]]는 [[소전]]서 구조를 따라서 쓴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ref> | ||
+ | |||
+ | ==文化== | ||
+ | 한자어원사전에서는 '[[臼]](절구 구)와 [[土]](흙 토)와 [[殳]](창 수)로 구성되었는데, 흙(土)을 절구(臼)에 넣고 창이나 몽둥이(殳)로 부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부터 부수다, 훼멸하다, 비방하다의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土 대신 (좋을 정)이 들어갔고, 예서 이후 [[工]](장인 공)으로 변해 지금의 자형이 되었는데,[[工]]은 옛날 흙을 다지는 달구를 그렸다'고 설명되어 있다. <ref>『한자어원사전』, 하염상, 도시출판3</ref> | ||
+ | |||
− |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
− | |||
− |
2022년 12월 26일 (월) 14:16 기준 최신판
語源
훼(毁)는 파괴, 훼손을 의미한다. 설문해자에서 ‘훼(毁)는 이지러진 것’ 이라고 한다. 금문과 설문해자의 고문을 보면 왼쪽에는 이빨 자극(치흔)이 남은 절구와 우뚝 선 사람이 있고, 오른쪽에는 기구를 든 손이 그려져 있다. 남의 밥그릇을 부수는 모습에서 생겨난 회의자이다. 소전은 사람 모양을 흙 토(土)로 고쳐서 쓰는데 다른 사람의 식기와 땅을 파괴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예서는 소전서 구조를 따라서 쓴다.[1]
文化
한자어원사전에서는 '臼(절구 구)와 土(흙 토)와 殳(창 수)로 구성되었는데, 흙(土)을 절구(臼)에 넣고 창이나 몽둥이(殳)로 부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부터 부수다, 훼멸하다, 비방하다의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土 대신 (좋을 정)이 들어갔고, 예서 이후 工(장인 공)으로 변해 지금의 자형이 되었는데,工은 옛날 흙을 다지는 달구를 그렸다'고 설명되어 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