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 ||
− | [[파일: | + | [[파일:말 마.png|400픽셀|왼쪽|링크=馬]] |
− | + | 말은 일종의 포유동물이며, 잘 뛰고 무거운 것을 견뎌낼 수 있어 인류가 가장 빨리 길들인 여섯 종류의 가축 중 하나이다. 갑골문의 马자는 몸통, 다리, 꼬리 등 말의 전신(全身)을 측면에서 본 형상이다. 금문의 马자는 주로 말의 눈과 갈기가 두드러져 있다. 한자 중 무릇 “马”를 따르는 글자는 대부분 말, 말에 속하는 동물 및 그 동작, 작용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驰(달릴 치), 驼(낙타 타), 驹(망아지 구), 骆(낙타 락), 腾(오를 등), 骄(교만할 교), 驴(당나귀 려)등이 있다. 주대의 금문부터, 진(秦)대의《石鼓文과 소전의 동일하지 않은 서법을 통해 马자가 “그림”에서 “글자”로 변천하는 궤적과 진나라가 아직 문자를 통일하기 전의 자형의 혼란스러운 형태를 볼 수 있다. | |
<br /> | <br /> | ||
− | '''[[ | + | '''[[馬|자세히 읽기...]]''' |
</div> | </div>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 ||
− | [[파일: | + | [[파일:주은래1.jpg|100픽셀|왼쪽]] |
− | + | 저우언라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 혁명가이다. 중국공산당 강소성 회안시에 태어나 난카이(남개)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하였으며, 이 시기에 [[5·4 운동]]에 적극 참여한다. 난카이 학교 졸업 후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떠나 공부하면서 중국공산당 프랑스 지부를 담당하게 되어 당원을 모집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1924년 귀국하여 [[황포군관학교]]의 정치부 주임을 맡는다. 제1차 [[국공합작]]시기 [[장개석]]쪽에 적극 협력하던 도중 상해에서 봉기를 일으키는 데 성공하나 곧 [[장개석]]이 일으킨 [[4.12 정변]]으로 인해 큰 타격을 받고 도망자 신세가 된다. 이후 [[장개석]]에 대항하기 위해 남창봉기를 일으키나 실패로 돌아간다. 여전히 당의 주도권을 쥔 그를 포함한 엘리트파들은 홍군의 역량을 과신해 전면전으로 [[장개석]]의 군대와 싸우다가 실패하고 대장정을 시작하게 되는데 여기서 그는 자신들의 책임을 인정하고 [[마오쩌둥|모택동]]의 참모를 자처하고 죽을 때까지 그를 충실히 보좌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된 후 초대 총리와 외교부장을 겸하여 외교가로 활발히 활동하였는데 제네바 회담에서 활약하고 닉슨의 방중을 이끌어내는 성과를 이루어 내기도 한다. [[마오쩌둥|모택동]]이 사망하기 8개월 전인 1976년 1월 8일 북경에서 사망한다. <br/> | |
− | '''[[ | + | '''[[저우언라이|자세히 읽기...]] |
''' | ''' | ||
</div> | </div> |
2017년 4월 17일 (월) 13:34 판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은 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C-cafe 개장
이번학기 C-cafe운영을 3월 23(목)부터 진행합니다. 6월 14일까지 운영하고 공휴일 및 중간고사(4월20일-26일), 보강주간(5월18일-24일)은 열지 않습니다. 중국어를 연습하고자 하는 모든 학생은 c-cafe에서 중화권 교류학생 튜터와 연습할 수 있습니다. 운영시간은 1시-6시이며 그 외의 시간은 중국어학습 및 소모임 스터디 등을 위해 대여하오니 과사에서 신청 후에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섬서성은 간단하게 "섬(陝)"혹은 "진(秦)"으로 불리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 행정단위 중 하나이다. 성회는 고도인 서안이다. 지리는 경도 105°29′~111°15′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북위 31°42′~39°35′이다. 자연적인 구획은 진령산맥과 회화 라인의 위쪽에 있으며, 북방과 남방을 가로지른다. 서북내륙내지에 위치하며 황하와 장강 두 흐름의 중부를 가로지르며 중국 동쪽에 연결되어 있고, 중부지구와 서북지구, 서남지구가 중심지이다.
섬서의 역사는 매우 유구하며 중화문명의 중요한 발상지 중 하나이다. 상고시대에 옹주, 양주가 위치했으며, 염제 신농씨와 황제의 매장지 이기도 하다. 서주초기 주나라 성왕은 섬원(고대지명)을 경계로 삼고 서쪽부터 소공에게 관할하게 하였다. 후에, 사람들은 섬원의 서쪽을 섬서라고 부르게 되었다. 섬서는 자고로 제왕이 수도를 세웠던 곳이고 9개의 통일 왕조 주 5개의 황조가 서안을 수도로 삼았다. 남아있는 제왕의 능묘는 총 79개이며 이를 동방의 금자탑이라 부른다.
>
자세히 읽기...
말은 일종의 포유동물이며, 잘 뛰고 무거운 것을 견뎌낼 수 있어 인류가 가장 빨리 길들인 여섯 종류의 가축 중 하나이다. 갑골문의 马자는 몸통, 다리, 꼬리 등 말의 전신(全身)을 측면에서 본 형상이다. 금문의 马자는 주로 말의 눈과 갈기가 두드러져 있다. 한자 중 무릇 “马”를 따르는 글자는 대부분 말, 말에 속하는 동물 및 그 동작, 작용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驰(달릴 치), 驼(낙타 타), 驹(망아지 구), 骆(낙타 락), 腾(오를 등), 骄(교만할 교), 驴(당나귀 려)등이 있다. 주대의 금문부터, 진(秦)대의《石鼓文과 소전의 동일하지 않은 서법을 통해 马자가 “그림”에서 “글자”로 변천하는 궤적과 진나라가 아직 문자를 통일하기 전의 자형의 혼란스러운 형태를 볼 수 있다.
저우언라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 혁명가이다. 중국공산당 강소성 회안시에 태어나 난카이(남개)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하였으며, 이 시기에 5·4 운동에 적극 참여한다. 난카이 학교 졸업 후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떠나 공부하면서 중국공산당 프랑스 지부를 담당하게 되어 당원을 모집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1924년 귀국하여 황포군관학교의 정치부 주임을 맡는다. 제1차 국공합작시기 장개석쪽에 적극 협력하던 도중 상해에서 봉기를 일으키는 데 성공하나 곧 장개석이 일으킨 4.12 정변으로 인해 큰 타격을 받고 도망자 신세가 된다. 이후 장개석에 대항하기 위해 남창봉기를 일으키나 실패로 돌아간다. 여전히 당의 주도권을 쥔 그를 포함한 엘리트파들은 홍군의 역량을 과신해 전면전으로 장개석의 군대와 싸우다가 실패하고 대장정을 시작하게 되는데 여기서 그는 자신들의 책임을 인정하고 모택동의 참모를 자처하고 죽을 때까지 그를 충실히 보좌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된 후 초대 총리와 외교부장을 겸하여 외교가로 활발히 활동하였는데 제네바 회담에서 활약하고 닉슨의 방중을 이끌어내는 성과를 이루어 내기도 한다. 모택동이 사망하기 8개월 전인 1976년 1월 8일 북경에서 사망한다.
자세히 읽기...
한자어원문화사전은 중국어문화학과 3학년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진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이다.
중국의 역사는 중국어문화학과 중국문화사1과 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진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이다.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