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훼(毁)는 파괴, 훼손을 의미한다. [[설문해자]]에서 ‘훼(毁)는 이지러진 것’ 이라고 한다. 금문 ‘[[설문고문]]’을 보면 왼쪽에는 이빨 자극(치흔)이 남은 절구와 우뚝 선 사람이 있고, 오른쪽에는 기구를 든 손이 그려져 있다. 남의 밥그릇을 부수는 모습에서 생겨난 [[회의문자]]이다. [[소전]]은 사람 모양을 흙 토(土)로 고쳐서 쓰는데 다른 사람의 식기와 땅을 파괴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예서]]는 [[소전]]서 구조를 따라서 쓴다.
+
훼(毁)는 파괴, 훼손을 의미한다. [[설문해자]]에서 ‘훼(毁)는 이지러진 것’ 이라고 한다. 금문 ‘[[설문고문]]’을 보면 왼쪽에는 이빨 자극(치흔)이 남은 절구와 우뚝 선 사람이 있고, 오른쪽에는 기구를 든 손이 그려져 있다. 남의 밥그릇을 부수는 모습에서 생겨난 [[회의문자]]이다. [[소전]]은 사람 모양을 흙 토(土)로 고쳐서 쓰는데 다른 사람의 식기와 땅을 파괴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예서]]는 [[소전]]서 구조를 따라서 쓴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ref>
  
 
==文化==
 
==文化==
한자어원사전에서는 '[[臼]](절구 구)와 [[土]](흙 토)와 [[殳]](창 수)로 구성되었는데, 흙([[土]])을 절구([[臼]])에 넣고 창이나 몽둥이([[殳]])로 부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부터 부수다, 훼멸하다, 비방하다의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土]] 대신 (좋을 정)이 들어갔고, 예서 이후 [[工]](장인 공)으로 변해 지금의 자형이 되었는데,[[工]]은 옛날 흙을 다지는 달구를 그렸다'고 설명되어 있다.
+
한자어원사전에서는 '[[臼]](절구 구)와 [[土]](흙 토)와 [[殳]](창 수)로 구성되었는데, 흙([[土]])을 절구([[臼]])에 넣고 창이나 몽둥이([[殳]])로 부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부터 부수다, 훼멸하다, 비방하다의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土]] 대신 (좋을 정)이 들어갔고, 예서 이후 [[工]](장인 공)으로 변해 지금의 자형이 되었는데,[[工]]은 옛날 흙을 다지는 달구를 그렸다'고 설명되어 있다.<ref>한자문화사전

2022년 12월 22일 (목) 00:38 판

語源

훼(毁)는 파괴, 훼손을 의미한다. 설문해자에서 ‘훼(毁)는 이지러진 것’ 이라고 한다. 금문 ‘설문고문’을 보면 왼쪽에는 이빨 자극(치흔)이 남은 절구와 우뚝 선 사람이 있고, 오른쪽에는 기구를 든 손이 그려져 있다. 남의 밥그릇을 부수는 모습에서 생겨난 회의문자이다. 소전은 사람 모양을 흙 토(土)로 고쳐서 쓰는데 다른 사람의 식기와 땅을 파괴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예서소전서 구조를 따라서 쓴다.[1]

文化

한자어원사전에서는 '(절구 구)와 (흙 토)와 (창 수)로 구성되었는데, 흙()을 절구()에 넣고 창이나 몽둥이()로 부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부터 부수다, 훼멸하다, 비방하다의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대신 (좋을 정)이 들어갔고, 예서 이후 (장인 공)으로 변해 지금의 자형이 되었는데,은 옛날 흙을 다지는 달구를 그렸다'고 설명되어 있다.<ref>한자문화사전

  1.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