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5년 11월 17일 (화) 17:02 (차이 | 역사) . . (+11) . . 臥薪嘗膽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7:01 (차이 | 역사) . . (+3,249) . . 새글 臥薪嘗膽 (새 문서: 오왕(吳王) 합려(闔閭)는 초(楚)나라를 이기고 남쪽의 지배자가 되었다. 오(吳)나라는 인접하는 월(越)나라와 항상 갈등이...)
- 2015년 11월 17일 (화) 16:55 (차이 | 역사) . . (+3,017) . . 새글 狡兎三窟 (새 문서: 교토삼굴(狡兎三窟)은 꾀 많은 토끼는 세 개의 굴을 준비한다는 의미이다. 史記 孟嘗君列傳과 戰國策 齊策에 배경이 되는...)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6:50 (차이 | 역사) . . (+2,708) . . 새글 吳越同舟 (새 문서: 수많은 제후국이 서로 경합을 벌인 춘추시대, 그 중에서도 5대 강대국에 속했던 오(吳)나라와 월(越)나라는 철천지원수 사이였다....)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6:46 (차이 | 역사) . . (+1,002) . . 새글 曳尾塗中 (새 문서: 예미도중이란, 벼슬하여 속박되기 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자유롭게 사는 삶이 더 낫다는 의미로, 장자(莊子)의 추수(秋水) 편에 나오...)
- 2015년 11월 17일 (화) 16:38 (차이 | 역사) . . (+3,369) . . 새글 鷄鳴狗盜 (새 문서: 계명구도(鷄鳴狗盜)란 닭 울음소리에 능한 사람(鷄鳴)이나 개처럼 남의 집에 깜쪽같이 침입하는 재주가 있는 사람(狗盜)과 같이 여러 가지...)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6:33 (차이 | 역사) . . (+1,110) . . 葉公好龍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6:22 (차이 | 역사) . . (+1,748) . . 새글 葉公好龍 (새 문서: 엽공호룡(葉公好龍)의 표면적 정의는 ‘엽공이 용을 좋아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다음의 일화를 통해 이 성어의 내포적 의미를 좀 더...)
- 2015년 11월 17일 (화) 14:15 (차이 | 역사) . . (+3,247) . . 새글 宋襄之仁 (새 문서: 위의 성어를 바로 해석하면, ;송나라 양공(襄公)의 인정'인데 쓸데없이 인정을 베푸는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4:12 (차이 | 역사) . . (+2,488) . . 새글 一字千金 (새 문서: 이 성어는 전국(戰國)시대 여불위(呂不韋)로부터 유래한다. 여불위는 전국시대의 탁월한 거상(巨商)이자 진(秦)나라의 재상이기도...)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4:08 (차이 | 역사) . . (+993) . . 새글 干將莫耶 (새 문서: 간장(干將)은 오(吳)나라 도장이고 막야(莫耶)는 그의 아내이다. 오왕 합려의 명으로 명검을 만들게 되었다. 하지만 왕의 독촉...)
- 2015년 11월 17일 (화) 14:03 (차이 | 역사) . . (+1,737) . . 새글 伯牙絶絃 (새 문서: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 및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원래 초(楚)나라 사람이지만...)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4:01 (차이 | 역사) . . (+1,660) . . 새글 脣亡齒寒 (새 문서: 순망치한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희공 5년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시대 말엽(B.C. 655) 진(晉)나라 헌공은 괵나라를...)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3:58 (차이 | 역사) . . (+605) . . 沈魚落雁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3:57 (차이 | 역사) . . (+23) . . 중국 고사성어사전
- 2015년 11월 17일 (화) 13:56 (차이 | 역사) . . (+344) . . 중국 고사성어사전
- 2015년 11월 17일 (화) 13:52 (차이 | 역사) . . (-20) . . 沈魚落雁
- 2015년 11월 17일 (화) 13:51 (차이 | 역사) . . (+1,818) . . 새글 沈魚落雁 (새 문서: 진(晉)나라 헌공(獻公)의 애인 여희(麗姬)가 어찌나 아름다운지 그녀를 보면 그 아름다움에 압도되어 ‘물고기는 물 속으로 깊이 숨...)
- 2015년 11월 17일 (화) 13:28 (차이 | 역사) . . (+1,642) . . 새글 管鮑之交 (새 문서: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에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는 어릴 적부터 절친한 친구사이었다. 후에 관중은 재상(宰相)으로 명...)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3:24 (차이 | 역사) . . (+2,474) . . 새글 絶影宴 (새 문서: 초나라 22대째 왕인 莊王에 관련된 일화를 바탕으로 탄생한 고사성어이다. 장왕이 중원의 패자가 되고, 권력을 장악하였을...)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3:19 (차이 | 역사) . . (+1,848) . . 새글 移木之信 (새 문서: 사기의 商君列傳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진(秦)의 효공(孝公)에게는 상앙(商鞅)이라는 재상이 있었다. 상앙은 위(衛)...)
- 2015년 11월 17일 (화) 13:15 (차이 | 역사) . . (+1,224) . . 새글 餘桃之罪 (새 문서: 춘추시대 미자하(彌子瑕)라는 사람이 위(衛)나라 군주의 총애를 받았다. 얼마 뒤에 미자하의 어머니가 병이 나자, 미자하는 군주의...)
- 2015년 11월 17일 (화) 13:08 (차이 | 역사) . . (+90) . . 毛遂自薦
- 2015년 11월 17일 (화) 13:08 (차이 | 역사) . . (+1,282) . . 새글 毛遂自薦 (새 문서: 진(秦)나라가 趙나라의 서울 한단(邯鄲)을 공격했다. 趙의 평원군(平原君)은 초나라에 구원군을 요청하려 했다. 그 때 문하의...)
- 2015년 11월 17일 (화) 13:02 (차이 | 역사) . . (+1,440) . . 새글 漁父之利 (새 문서: 전국시대 말기 趙나라가 이웃나라인 燕나라를 치려고 할 때 소진은 연나라 왕의 명을 받고 조나라로 가서 혜문왕을 설득하게 되...)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2:58 (차이 | 역사) . . (+2,262) . . 새글 合縱連橫 (새 문서: 합종연횡은 전국시대 말기 秦이 나머지 六國을 통일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나온 외교적 술수들을 일컫는 말이다. 합종연...)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2:47 (차이 | 역사) . . (+1,747) . . 새글 胡服騎射 (새 문서: 오랑캐의 옷을 입고 말을 타면서 활을 쏜다는 뜻으로, 전국시대 중반의 제후국 가운데 趙나라의 무령왕이 오랑캐의 방식을 수용...)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2:45 (차이 | 역사) . . (+3,058) . . 새글 門前成市 (새 문서: 말 그대로 '대문 앞에 시장을 이룬다’는 뜻으로, 방문객이 하도 많아 대문이 미어질 지경으로 붐비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국시대 제(...)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55 (차이 | 역사) . . (+1,373) . . 새글 邯郸学步 (새 문서: 본분을 잊고 함부로 남의 흉내를 내다가 본래 가졌던 것을 합하여 두 가지 다 잃는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이다. 이 성어와 관련된 이야기...)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52 (차이 | 역사) . . (+18) . . 負荊請罪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51 (차이 | 역사) . . (+2,579) . . 새글 負荊請罪 (새 문서: 부형청죄(負荊請罪)는 사기 염파인상여열전(廉頗藺相如列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이다. 진(秦)나라 소양왕이 패권을 가지고 있...)
- 2015년 11월 17일 (화) 11:46 (차이 | 역사) . . (+2,499) . . 새글 完璧歸趙 (새 문서: 완벽귀조(完璧歸趙)는 ‘구슬을 온전히 조나라로 돌려보내다’라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로, 사기 인상여열전(藺相如列傳)에 수록된...)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41 (차이 | 역사) . . (+1,598) . . 새글 兎死狗烹 (새 문서: 이 성어는 원래 의미는 토끼를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먹는다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애초 이루려던 목적을 달성한 후에 이용가치가 떨...)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33 (차이 | 역사) . . (+13) . . 日暮途遠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31 (차이 | 역사) . . (-166) . . 日暮途遠
- 2015년 11월 17일 (화) 11:30 (차이 | 역사) . . (+2,369) . . 새글 日暮途遠 (새 문서: 이 고사성어 이야기에는 굴묘편시( 무덤을 파헤치고 주검에 채찍질을 하다. 지나친 복수. 세대를 이어받은 복수)와 도행역시 일모도원(日...)
- 2015년 11월 17일 (화) 11:21 (차이 | 역사) . . (+2,866) . . 새글 問鼎輕重 (새 문서: 문정경중은 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남의 것을 빼앗으려는 속셈이나 남의 실력을 의심하는 행위를 비유하는 말이다. 솥의 무게를...)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14 (차이 | 역사) . . (+2,837) . . 새글 橘化爲枳 (새 문서: 기후와 풍토가 다르면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로 되듯이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비유한 고사이다.<b...)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06 (차이 | 역사) . . (+8) . . 得意揚揚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1:05 (차이 | 역사) . . (+2,364) . . 새글 得意揚揚 (새 문서: 득의양양의 뜻은 뜻한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내는 모습을 말한다.<br> 사마천의 사기 관안열전(管晏列傳)에 “意氣揚揚, 甚自得...)
- 2015년 11월 17일 (화) 11:00 (차이 | 역사) . . (+1,498) . . 새글 拔苗助長 (새 문서: 孟子의 〈공손추(公孫丑)〉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중국 송(宋)나라에 어리석은 농부가 있었다. 모내기를 한 이후 벼가 어느 정도 자랐...) (최신)
- 2015년 11월 17일 (화) 10:51 (차이 | 역사) . . (+2,050) . . 새글 守株待兎 (새 문서: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어떤 착각에 빠져 되지도 않을 일을 공연히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이다.<br> 春...) (최신)
- 2015년 11월 16일 (월) 15:15 (차이 | 역사) . . (+2,020) . . 새글 采薇之歌 (새 문서: 우선 뜻을 풀어보면 고사리를 캐는 노래라는 의미를 지닌 성어이다. 사마천 사기의 백이숙제열전에 의하면, 은나라가 천자국...) (최신)
- 2015년 11월 16일 (월) 15:06 (차이 | 역사) . . (+91) . . 覆水難收 (최신)
- 2015년 11월 16일 (월) 14:29 (차이 | 역사) . . (+27) . . 새글 복수난수 (覆水難收 문서로 넘겨주기)
- 2015년 11월 16일 (월) 14:23 (차이 | 역사) . . (+2,049) . . 새글 覆水難收 (새 문서: 복수난수를 한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엎지른 물은 다시 담기 어렵다’는 뜻으로 ‘이미 저지른 일은 되돌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쓰인...)
- 2015년 11월 16일 (월) 14:20 (차이 | 역사) . . (-52) . . 중국 고사성어사전
- 2015년 11월 16일 (월) 14:20 (차이 | 역사) . . (+1,113) . . 새글 중국 고사성어사전 (새 문서: ==覆水難收== ==采薇之歌== ==守株待兎== ==拔苗助長== ==得意揚揚== ==橘化爲枳== =...)
- 2015년 11월 16일 (월) 14:14 (차이 | 역사) . . (+38) . . 중국문화 사전 (→중국문화 용어 사전)
- 2015년 11월 13일 (금) 16:19 (차이 | 역사) . . (+152) . . 중국문화사1 (→제국과 변방 -漢과 匈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