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6년 9월 6일 (화) 21:40 (차이 | 역사) . . (+1,475) . . 새글 囟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신(囟)은 숫구멍을 뜻하는데, 이는 갓난아이의 정수리 뼈가 굳지 않아 아직 열려있는 곳을 의...)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40 (차이 | 역사) . . (+491) . . 새글 脊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척(脊), 즉 척골(脊骨)은 사람의 등의 중심부에 있는 추골(椎骨)을 가리킨다. 소전의 척(脊)...)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39 (차이 | 역사) . . (+2,771) . . 새글 呂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자의 여(呂)는 두 조각의 사람(혹은 동물)의 척추뼈의 모습이며, 척추뼈가 한 조각 한 조각...)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37 (차이 | 역사) . . (+1,845) . . 黍
- 2016년 9월 6일 (화) 21:06 (차이 | 역사) . . (+1) . . 申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05 (차이 | 역사) . . (+2,339) . . 새글 申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申은 ‘电’의 본래 글자다. 갑골문, 금문의 申자는 하늘의 번개가 발산한 구불구불한 빛을 나...)
- 2016년 9월 6일 (화) 21:05 (차이 | 역사) . . (+1,315) . . 새글 冰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冰은 물이 섭씨 영도 이하에 응결한 고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갑골문, 금문의 冰자는 두 개의...)
- 2016년 9월 6일 (화) 21:04 (차이 | 역사) . . (+2,278) . . 새글 寒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의 寒자는 한 사람이 건초가 가득 쌓인 방 속에 머물러서 한랭함을 방지하려는 형상을 모방...)
- 2016년 9월 6일 (화) 21:03 (차이 | 역사) . . (+2,574) . . 새글 氣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气자는 길이가 서로 다른 세 개의 가는 선으로, 구름이 이리저리 떠다닌다는 의미를...)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02 (차이 | 역사) . . (+2,204) . . 새글 虹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虹은 본래 자연 현상이고, 태양 빛과 습기가 서로를 비추어 하늘에 여러 가지 빛깔의 띠가 출...)
- 2016년 9월 6일 (화) 21:01 (차이 | 역사) . . (+1,311) . . 새글 夙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금문의 夙자의 왼쪽 위는 하나의 달 형상이고, 별과 달이 아직 지지 않고, 하늘이 아직...)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01 (차이 | 역사) . . (+1,607) . . 새글 夕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夕의 본래 의미는 밤을 가리키고, 또한 특별히 황혼을 지칭한다. 밤에는 달이 있으니, 그래서...)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00 (차이 | 역사) . . (+1,862) . . 새글 明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明자는 두 종류의 서법을 가진다. 하나는 해와 달 두 글자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시...)
- 2016년 9월 6일 (화) 21:00 (차이 | 역사) . . (+2,933) . . 새글 月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하늘위에 달은 둥글기도 하고 모자라기도 하고, 그러나 둥글 때가 적고 모자랄 때가 많다. 이러한...)
- 2016년 9월 6일 (화) 20:58 (차이 | 역사) . . (+1,885) . . 새글 參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최초에 参은 별자리의 명칭이고, 28자리 중 하나이다. 금문의 参자는 사람 정수리 위에 세 개...)
- 2016년 9월 6일 (화) 20:57 (차이 | 역사) . . (+1,500) . . 새글 星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星은 일반적으로 밤하늘의 빛나는 별과 천체를 가리킨다. 갑골문의 星자는 밤하늘의 대단히 많은...)
- 2016년 9월 6일 (화) 20:57 (차이 | 역사) . . (+1,728) . . 새글 晶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晶자는 밤하늘의 들쑥날쑥하여 분포된 세 개의 작은 별들과 같다. 별들의 형태는 어...)
- 2016년 9월 6일 (화) 20:54 (차이 | 역사) . . (+2,444) . . 새글 春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春자는 회의자이면서 동시에 형성자이다. 갑골문의 春자는 하나의 ‘日’과 세 개의 ‘木’과 ‘...)
- 2016년 9월 6일 (화) 20:53 (차이 | 역사) . . (+1,953) . . 새글 莫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자의 莫자는 하나의 ‘日’과 네 개의 ‘木’(또는 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태양(日)이...)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52 (차이 | 역사) . . (+1,639) . . 새글 朝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朝는 본래 회의자다. 금문 朝자는 오른편에 한 하류의 형태를 모방하고, 왼편 위아래는 풀과 나...)
- 2016년 9월 6일 (화) 20:52 (차이 | 역사) . . (+1,701) . . 새글 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暴은 ‘曝’의 본래 글자이다. 소전의 暴자는 日을 따르고 出을 따르고 을 따르고 米를 따르...)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51 (차이 | 역사) . . (+2,243) . . 새글 昃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昃은 본래 회의자다. 갑골문의 昃자에서 왼쪽의 日은 태양을 나타내고, 오른쪽은 비스듬한 사...)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50 (차이 | 역사) . . (+1,895) . . 새글 暈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설문> : 暈은 해와 달의 기운이다. 갑골문에는 ‘’으로 쓰였다. 갑골문의 晕은 회의자이...)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50 (차이 | 역사) . . (+2,276) . . 새글 旦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旦은 본래 형성자다. 갑골문, 금문의 旦자의 윗부분은 日, 아래쪽의 네모난 틀 또는 둥근 점은...)
- 2016년 9월 6일 (화) 20:48 (차이 | 역사) . . (+2,401) . . 새글 日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태양과 달은 우리들이 가장 자주 보는 천문 경관이다. 달은 어떤 때는 둥글고 어떤 때는 완전치...)
- 2016년 9월 6일 (화) 20:45 (차이 | 역사) . . (+16) . . 秦
- 2016년 9월 6일 (화) 20:45 (차이 | 역사) . . (+2,222) . . 秦
- 2016년 9월 6일 (화) 20:43 (차이 | 역사) . . (+1,867) . . 새글 香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香자는, 하이레그(디자인의 한 종류) 형의 그릇 속에 가득담은 음식물 형상이고, 또한...)
- 2016년 9월 6일 (화) 20:42 (차이 | 역사) . . (+2,199) . . 새글 米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米가 가리키는 것은 껍질과 껍데기를 벗겨낸 곡물로, 쌀, 기장 등이 있다. 갑골문의 米자는, 흩어...)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42 (차이 | 역사) . . (+3) . . 叔
- 2016년 9월 6일 (화) 20:42 (차이 | 역사) . . (+2,516) . . 새글 叔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설문> : 叔은 ‘줍다’를 따른다. ‘그러나 고대 자형 변화가 심해서, 뜻풀이는 비교적 복잡...)
- 2016년 9월 6일 (화) 20:41 (차이 | 역사) . . (+2,296) . . 새글 黍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黍는 곡물 이름이고, 서미(기장 쌀)를 가리키고, 점성이 있는 것으로 식용으로 하거나 술을 빚...)
- 2016년 9월 6일 (화) 20:40 (차이 | 역사) . . (+2,363) . . 새글 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년(年)의 본래의미는 농작물의 수확이었다. 오곡이 익음을 일컬어 년(年)이라 한다. ‘人壽年豊’...)
- 2016년 9월 6일 (화) 20:39 (차이 | 역사) . . (-1) . . 兼
- 2016년 9월 6일 (화) 20:39 (차이 | 역사) . . (+1,432) . . 새글 兼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옛날의 겸(兼)은 한 손이 두 포기의 벼를 잡고 있는 모습이다. 본래의미는 ‘잡고 있다’, ‘합...)
- 2016년 9월 6일 (화) 20:38 (차이 | 역사) . . (+1,580) . . 새글 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에서의 병(秉)은 한 손으로 곡물의 줄기를 쥐고 있는 형상으로, ‘잡고 있다’, ‘손에 들...)
- 2016년 9월 6일 (화) 20:37 (차이 | 역사) . . (+2,242) . . 새글 齊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제(齊)는 이삭이 패인 보리가 가지런히 늘어놓아진 형상이다. 제(齊)의 본래의미...)
- 2016년 9월 6일 (화) 20:37 (차이 | 역사) . . (+1,028) . . 새글 穆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의 목(穆)은 한 알의 무르익은 곡식의 이삭이 풍성하게 여물어 아래로 숙여진 모습과 같...)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36 (차이 | 역사) . . (+1,434) . . 새글 粟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속(粟)은 옥수수대와 같은 모양이다. 줄기의 잎이 잇닿아 있는 부분은 커다란 옥수수 알...)
- 2016년 9월 6일 (화) 20:36 (차이 | 역사) . . (+2,073) . . 새글 來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來) 뿌리와 잎, 줄기를 모두 갖춘 모종의 형상과 같다 그 본래의미는 밀을 뜻하는 것이...)
- 2016년 9월 6일 (화) 20:35 (차이 | 역사) . . (+3,418) . . 새글 禾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중국의 상나라, 주나라는 이미 전면적인 농업위주의 시대에 들어서 있었던 사회였다. 갑골문과...)
- 2016년 9월 6일 (화) 20:34 (차이 | 역사) . . (-1) . . 瓜
- 2016년 9월 6일 (화) 20:34 (차이 | 역사) . . (+1,379) . . 새글 瓜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과(瓜)는 덩굴식물의 과실을 의미하는데, 금문의 과(瓜)는 넝쿨이 갈라진 곳에 하나의 과실이...)
- 2016년 9월 6일 (화) 20:34 (차이 | 역사) . . (+1,087) . . 새글 韮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구(韮)는 부추이다. 초본식물이고 잎이 가늘고 길며, 보편적인 야채이다. 소전의 韮자는 양변에...)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33 (차이 | 역사) . . (+841) . . 새글 苗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묘(苗)는 회의자이다. 소전의 묘자는 밭에서 풀이 자라난 형상인데 그 본래 뜻은 (농)작물로, 그중...)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32 (차이 | 역사) . . (+1,265) . . 새글 芻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과 금문의 추(芻)는 한 손이 두포기의 초목을 쥐고 있는 형상으로, 손으로 풀을 잡아당김을...)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31 (차이 | 역사) . . (-1) . . 卉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31 (차이 | 역사) . . (+1,021) . . 새글 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훼(毁)는 각종 풀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는 화훼, 진귀한 화초 등 관상용의 풀을 가리키는 경우...)
- 2016년 9월 6일 (화) 20:30 (차이 | 역사) . . (+1,650) . . 새글 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초(草)는 초목과 식물의 총칭이다. 옛 문자에서 초(草)는 회의자로, 한데 함께 자라고 있는 두 개...)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0:30 (차이 | 역사) . . (+2,068) . . 새글 生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생(生)은 지면위에 막 자라난 어린 모종의 모습이며, 기본적인 의미는 식물의 생장,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