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6년 9월 10일 (토) 12:54 (차이 | 역사) . . (-5) . . 한자어원문화사전 찾아보기
- 2016년 9월 10일 (토) 12:53 (차이 | 역사) . . (+5,571) . . 한자어원문화사전 찾아보기
- 2016년 9월 9일 (금) 21:37 (차이 | 역사) . . (+847) . . 한자어원문화사전 찾아보기
- 2016년 9월 6일 (화) 22:14 (차이 | 역사) . . (+2,063) . . 새글 囿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囿는 본래 회의자이다. 갑골문과 석고문의 형체로부터 보면, 囿자는 주위에 빙 둘러싼 담이 있...)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14 (차이 | 역사) . . (+1,632) . . 새글 野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야(野)는 교외를 의미한다. 주대에는 왕성으로부터 백리 밖의 지역을 지칭했다. ≪설문≫에서도 "...)
- 2016년 9월 6일 (화) 22:13 (차이 | 역사) . . (+2,844) . . 새글 里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里자는 회의자이다. 里자는 밭과 흙의 뜻을 따르는데, 田이 수전을 가리킨다면, 土는 밭을 가리킨...)
- 2016년 9월 6일 (화) 22:12 (차이 | 역사) . . (+2,095) . . 새글 疆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금문의 疆자는 두 개의 연결된 전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어떤 것은 가운데에 경계선이...)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12 (차이 | 역사) . . (+2,836) . . 새글 封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금문의 封자는 흙더미 위에 나무를 심는 모습 또는 손을 사용하여 흙을 북돋아 주고 나...)
- 2016년 9월 6일 (화) 22:11 (차이 | 역사) . . (+2,286) . . 새글 行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금문의 行자는 두 개의 가로 세로로 교차하는 큰 길을 형상화한 것이다. ≪설문≫에서...)
- 2016년 9월 6일 (화) 22:11 (차이 | 역사) . . (+2,475) . . 새글 周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周자는 전지를 형상화한 것으로, 중간의 네 개의 점은 밭에 빽빽하게 심은 농작물을 대...)
- 2016년 9월 6일 (화) 22:10 (차이 | 역사) . . (+2,681) . . 새글 田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田자의 형체는 옛날과 지금의 변화가 크지 않다. 논둑이 가로 세로로 나있는 전지의 형상을 상형...)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9 (차이 | 역사) . . (+1,571) . . 새글 段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의 段자는 손으로 송곳을 잡고 암석 아래에서 돌조각을 두드리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9 (차이 | 역사) . . (+1,359) . . 새글 斫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斫자는 돌과 도끼의 뜻을 따르는 회의자이다. 갑골문의 斫자는 사람의 손이 도끼를 잡고 암석...)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8 (차이 | 역사) . . (+2,314) . . 새글 磊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磊는 세 개의 石자로 만들어진 것으로, 매우 많은 돌조각이 누적된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다....)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8 (차이 | 역사) . . (+2,575) . . 새글 石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자 石자는 절벽 아래의 돌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그것의 본래 뜻은 곧 절벽의 돌, 바위...)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7 (차이 | 역사) . . (+2,137) . . 새글 嵩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嵩자는 山(산)과 高(높다)는 뜻을 따르고, 회의자이다. 그것의 본래 뜻은 높은 산을 가리키는데,...)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6 (차이 | 역사) . . (+1,215) . . 새글 島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島가 가리키는 것은 바다 가운데서 물에 의해 둘러 싸여지고, 면적이 대륙과 비교해서 작은 육지,...)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6 (차이 | 역사) . . (+1,492) . . 새글 山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소위 山은 육지에서 튀어나와 우뚝 솟은 부분을 가리킨다. ≪설문≫에서는 "돌이 있고 높다"라고...)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5 (차이 | 역사) . . (+3,542) . . 새글 陽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자 陽자는 阜(언덕)의 뜻과 易의 소리를 따르며, 형성자이다. 陽의 본래 뜻은 산의 남쪽, 물...)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4 (차이 | 역사) . . (+3,612) . . 새글 阜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阜는 토산, 구릉을 가리킨다. 阜가 가장 처음에 상고시대 인류의 혈거를 가리켰고, 동굴의 벽에...)
- 2016년 9월 6일 (화) 22:03 (차이 | 역사) . . (+2,917) . . 새글 堯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문자 堯자는 사람의 위에 있는 흙의 뜻을 따르는데, 아래 부분은 무릎을 꿇은 사람의 모습...)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3 (차이 | 역사) . . (+2,805) . . 새글 丘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丘자의 조형과 山자는 매우 비슷한데, 차이점은 오직 山은 세 개의 봉우리가 있지만, 丘...)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2 (차이 | 역사) . . (+2,808) . . 새글 土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土자는 지면에 불쑥 튀어나온 하나의 작은 흙더미를 형상화 한 것이다. 갑골문에서 하나...)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1 (차이 | 역사) . . (+2,688) . . 새글 小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小는 하나의 비교적 추상적인 개념이다. 갑골문과 금문의 小자는 산산 조각난 미세한 작은 점...)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0 (차이 | 역사) . . (+1,677) . . 새글 沙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沙가 가리키는 것은 흙과 돌의 미세한 미립자이다. 沙는 水와 少의 의미를 따르는데 여기서 小...)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2:00 (차이 | 역사) . . (+2,787) . . 새글 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浴자는 한 사람이 큰 쟁반 안쪽에 서있고, 주위의 물방울이 사방으로 튀는 것으로, 사람...)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9 (차이 | 역사) . . (+1,415) . . 새글 沒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의 没자는 물과 돌아간다는 뜻을 따르고, 물의 흐름이 소용돌이치는 형상이다. 소전에는...)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8 (차이 | 역사) . . (+3,433) . . 새글 昔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昔의 본뜻은 앞, 이전, 과거, 과거의 매우 오래된 시간이라는 뜻을 따르고, 今의 뜻과 상대된다....)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7 (차이 | 역사) . . (+865) . . 새글 淼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淼’자는 물 수(水)가 세 개로 구성되어 있는 글자이다. ‘水’자 3개가 중복되어 사용되...)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7 (차이 | 역사) . . (+1,392) . . 새글 淵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淵’자는 ‘깊은 못’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淵’자의 淵’자의 오른쪽 부분은 샘을 뜻하는...)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6 (차이 | 역사) . . (+1,171) . . 새글 回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回’자의 고대 글자는 깊은 물이 선회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回’자는 물이 일정한...)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6 (차이 | 역사) . . (-6) . . 州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6 (차이 | 역사) . . (+2,135) . . 새글 州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물이 흘러내려오면서 모래나 토사 등도 같이 따라 내려와 하류에서 쌓이게 된다. 이것이 모...)
- 2016년 9월 6일 (화) 21:55 (차이 | 역사) . . (+1,601) . . 새글 流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流’자는 ‘흐르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이 글자의 옛날 형태를 보면 이 글자가 매우 흥...)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5 (차이 | 역사) . . (+1,108) . . 새글 衍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衍'자는 물(水)과 다닐 행(行)이 합쳐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글자 형태를 통해 ‘衍’자의...)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4 (차이 | 역사) . . (+1,545) . . 새글 派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派'자는 물의 갈래를 의미하는 글자이다. '갈라져 흐르는' 물의 모습을 나타내는 '派'자는 갑골...)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4 (차이 | 역사) . . (+2,115) . . 새글 川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내 천'川'자는 물이 흘러가는 모양을 그린 글자이다. 갑골문의 형태를 보면 측면에 위치한 두 개...)
- 2016년 9월 6일 (화) 21:53 (차이 | 역사) . . (+1,009) . . 새글 谷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이 글자는 ‘골짜기, 계곡’이라는 뜻의 곡(谷)자이며, 물이 골짜기 입구(口)를 향하여 흘러가는...)
- 2016년 9월 6일 (화) 21:53 (차이 | 역사) . . (+2,607) . . 새글 原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샘'을 의미하는 천(泉)자는 땅 속에서 솟아나는 물의 모양이다. '原'자는 厂(바위·언덕)+泉(샘)...)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2 (차이 | 역사) . . (+1,563) . . 새글 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샘’을 의미하는 천(泉)자는 땅 속에서 솟아나는 물의 모양이다. 바깥쪽의 ‘冂’모양은 동굴...)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1 (차이 | 역사) . . (+1,588) . . 새글 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수(水)자는 물이 흘러가는 모양을 형상한 글자로, 맑고 투명한 무색의 물을 가리킨다....)
- 2016년 9월 6일 (화) 21:51 (차이 | 역사) . . (+2,606) . . 새글 需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需'자는 어떤 사람이 비를 만나 어디로 가지 못하고 기다리는 모습을 나타낸다. '需'자...)
- 2016년 9월 6일 (화) 21:50 (차이 | 역사) . . (+1,518) . . 새글 零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零’자는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갑골문에서 아래의 큰...)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50 (차이 | 역사) . . (+1,605) . . 새글 雨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雨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의 형상이다. 글자 위에 있는 ‘一’은 구름의...)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49 (차이 | 역사) . . (+1,715) . . 새글 雲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갑골문 '云'자는 감기고 말려 있는 뭉게구름을 본 뜬 글자이다. 하늘에 둥실 둥실 떠 있는 뭉...)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46 (차이 | 역사) . . (-1) . . 雷
- 2016년 9월 6일 (화) 21:45 (차이 | 역사) . . (+2,712) . . 雷
- 2016년 9월 6일 (화) 21:44 (차이 | 역사) . . (+2,160) . . 새글 電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본래 번개가 번쩍번쩍 치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는 ‘申’(신)이다. ‘申’의 처음 뜻은 ‘번...)
- 2016년 9월 6일 (화) 21:42 (차이 | 역사) . . (+1,641) . . 새글 心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심(心)의 본래의미는 심장으로, 고문자의 심(心)은 심장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심장은 인체...) (최신)
- 2016년 9월 6일 (화) 21:41 (차이 | 역사) . . (+1,752) . . 새글 思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인들은 심장이 인간의 사유기관이라고 잘못 인식하여 사상이나 생각, 감정 등의 글자에...) (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