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어 성어사전)
 
(사용자 18명의 중간 판 49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안녕하세요, 중국어문화학과 위키입니다!'''
+
{{#css:
 +
#firstHeading, #contentSub { display: none; }
 +
}}
 +
<!-- 머릿글 -->
 +
<div id="mp_header" class="mp_outer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 0 0.5em; overflow: hidden; padding: 0.5em; font-size: small;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0.8em;">
 +
{| width="100%"
 +
| <div style="float: left; width: 0em; height: 0em; margin:0em 0em  0em -2.5em; vertical-align:center; overflow:visiable ;">[[파일:위키로고배경.png|120px|링크=]]</div>
 +
<div style="float: left; margin-left:115px"><div style="font-size:1.4em; font-weight: bold">중국학 위키백과 SinoWiki</div>
 +
중국학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br>
 +
{{지역년}}년 {{지역월1}}월 {{지역일}}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특수기능:통계|'''{{NUMBEROFARTICLES}}''']]개가 실려 있으며 최근  [[특수:활동적인사용자|<span style="color: #246ad3;">'''{{NUMBEROFACTIVEUSERS}}'''</span>]]명의 기여자가 있습니다.</div>{{-}}
 +
|
 +
|}
 +
</div><!-- /머릿글 -->
  
이곳은 '''중국문화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실험 공간입니다
+
<!-- 링크 모음 -->
 +
<div class="plainlinks" style="text-align: center; color: #71c9f0">
 +
[[위키 소개]] '''/'''
 +
[[디지털 프론티어 첫걸음|위키 입문]] '''/'''
 +
[[위키 문법|위키 사용법]] '''/'''
 +
[[편집 규정]] '''/'''
 +
[[위키백과에 바란다]] '''/'''
 +
<!-- /링크 모음 -->
 +
</div>
 +
<!-- 본문 가운데 -->
 +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100%; height: 100%;">
  
'''欲穷千里目 更上一层楼'''
+
<!-- 알찬 글-->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알찬 글]]</div><div id="mp-itn"></div>
 +
[[파일:태산각석.jpg|200픽셀|왼쪽|링크=각석]]
 +
진각석(秦刻石)은 중국의 오래된 비문(碑文)이다. [[진시황]]은 서기 221년 육국을 통일한 후, 수차례 각지로 순시를 나갔다. 군신들은 황제의 공덕을 칭송하며 만대에 그 업적을 남기고자 돌에 글자를 새겼으니 이를 진칠각석(秦七刻石)이라 했다. <br>
 +
진 2세도 기원전 209년에 순시를 나갔는데, 기존의 각석 옆에 자신의 조서를 덧새기도록 하였다. 진 2대의 조서의 전문은 79자이며 글씨체는 칠각석과 같았다. 그것들은 모두 진의 [[이사]]가 육국을 통일한 후 보편적으로 유통한 진의 문자인 [[소전]]체로 쓰여져 전서가 후대에 전수되게 하였다. 진각석은 후대의 문학작품과 비지문(碑志文)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br>
 +
'''[[각석|자세히 읽기...]]'''
 +
</div>
  
==중국문화 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
+
<!-- 오늘의 한자-->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 찾아보기|오늘의 한자]] </div><div id="mp-itn"></div>
 +
[[파일:觀.png|400픽셀|오른쪽|링크=觀]]
 +
[[갑골문]]과 [[금문]]의 [[觀]]자는 앞을 응시하는 두 눈과 눈썹을 강조한 큰 수리부엉이의 모습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부엉이가 동그랗게 눈을 뜨고 바라보는 것처럼(串) 사물이나 대상을 뚫어지게 응시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고문자 가운데 見자 대신 [[囧]](빛날 경)자로 구성된 것도 있는데, 이는 벽에 뚫린 창문으로 밝게 비치는 달처럼 뚫어지게 쳐다보다는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br>
  
중국문화 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란?
+
'''[[觀|자세히 읽기...]]'''
  
===[[디지털 프론티어(数码信息先锋队)]]===
+
</div>
===[[한자어원문화사전]]===
 
====[[한자어원문화사전 개요]]====
 
  
====[[한자어원문화사전 찾아보기]]====
+
<!-- 중국어 지식백과-->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 중국어 지식백과</div><div id="mp-itn"></div>
  
===[[중국문화 용어사전]]===
+
[[파일:다운로드.jpg|150픽셀|왼쪽|링크=거란문자]]
 +
거란어(契丹語)는 10~12세기에 걸쳐서, 현재의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에 세운 요나라(遼=거란제국, 재위916-1125)에서 거란 민족이 사용된 언어다. 또 [[거란문자]](契丹文字)는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재위916-926)가 중국 문화에 대응하여 자국어 및 자국 고유 문자에 대한 민족적 자각에 바탕을 두어 기원후 920년에 만들어 공표한 문자이다.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서로 다른 문자 체계가 알려져 있다. 이 중 거란소자는 태조의 동생 야율질라(耶律迭剌)가 위구르의 사자에게 그 언어와 문자를 배웠고, 그에 따라 다스렸다는 기술이 『요사(遼史)』에서 볼 수 있으며, 거란대소자는 요대를 통해 사용되었고, 금대(金代, 1115-1234)까지 사용된 후 사문자가 되었다.
 +
<br/>
 +
'''[[거란문자|자세히 읽기...]]'''
 +
</div>
  
 +
<!-- 중국의 인물-->
 +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
[[파일:허신상.PNG|120px|오른쪽|링크=허신]]
 +
'''[[허신]](許愼)'''은 『[[설문해자]]』를 집필한 [[후한]] 시대의 학자이다. 허신의 이름은 신愼이며 자字는 숙중叔重인데, 같은 ‘공손하게 삼감’이라는 의미를 지닌 중重을 자字로 한 것이다. 또한, 신愼과 중重 사이에는 ‘신중’이라는 어휘가 있어 글자 사이에 밀접성이 있기도 하다.  <br>
 +
허신은 여남 소릉의 사람이다. 여남은 군의 이름인데, 기록에 따르면 여남군에는 37개의 성(집락)이 속하여 있었다. 소릉은 그 성 가운데 하나를 말한다. 현재의 허난성 옌청현, 카이펑에서 남남서로 약 1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br>
 +
'''[[허신|자세히 읽기...]]'''
 +
</div>
  
===[[중국역사 인명사전]]===
+
<!-- 중국문화 지식 포털 -->
 +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중국문화 지식 포털]]</div>
  
 +
최근 [[수업 자료실|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의 수업]] 을 통해 생산된 지식 항목들.  <br>
 +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2),
 +
[[석고문]](石鼓文), 
 +
[[화이론]](華夷論),
 +
[[토법고로]](土法高爐),
 +
[[이체자]](異體字),
 +
[[거란문자]](契丹文字),
 +
[[고힐강]](顧頡剛),
 +
[[공표비]](孔彪碑),
 +
[[하]](夏)(2)
 +
[[명조체]](明朝體)(2)
 +
[[서계]](書契)
 +
[[각석]](刻石)(2)
 +
[[조충문]](鳥蟲文), [[옥편]](玉篇) , [[형성자]](形聲字) ,[[명조체]](明朝體), [[단옥재]](段玉裁) , [[왕국유]](王國維) , [[암각화]](岩刻畵) , [[주음부호]](注音符號) , [[서하문자]](西夏文字) , [[대우정]](大盂鼎) , [[사모무방정]](司母戊方鼎) , [[리궤]](利簋) , [[하존]](何尊) , [[시라가와 시즈카]](白川靜) , [[쯔놈]](𡨸喃) , [[나진옥]](羅振玉) , [[왕의영]](王懿榮) , [[죽간]](竹簡), [[금문]](金文)(2), [[방상씨]](放相氏), , [[동파문자]](東巴文字) , [[회의자]](會意字)  , [[혼돈]](混沌) ,[[난정서]](蘭亭序) , [[호궤]](胡簋) , [[삼서설]](三書說) , [[곽점초간]](郭店楚簡), [[회남자]](淮南子) , [[노벽]](魯壁)
 +
</div>
  
===[[중국인문지리 사전]]===
+
<!-- 위키백과 참여하기 -->
 +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위키백과 참여하기</div>
  
 +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br>
 +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span class="plainlinks">[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8%B8%EB%9D%BC%EC%9E%A1%EC%9D%B4 위키피디아 길라잡이]</span>'''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br>   
  
===[[중국어 어법사전]]===
+
'''<span class="plainlinks">[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8%B8%EB%9D%BC%EC%9E%A1%EC%9D%B4 위키백과 길라잡이]</span>''':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br/>
 +
[[위키 문법|'''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br/>
 +
[[중국어문화학과 위키:틀|'''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br/>
 +
[[위키 실습 페이지|'''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div>
  
===[[爱屋及乌]]===
+
<!-- /본문 가운데 -->
爱屋及乌 집을 사랑함이 까마귀에게까지 미친다.
+
</div>
 +
<!-- /본문 -->
  
어떤 사람을 좋아하기에 그의 집 지붕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관심을 갖다.  어떤 사람을 좋아하기에 그와 관계된 사람이나 사물에게까지도 관심을 쏟다. → 아내가 사랑스러우면 처갓집 말뚝에다 절을 한다.
+
<!-- 바닥글 -->
 +
<div id="mp_footer" style="clear: both; height: 100%; overflow: auto; font-size: small;">
  
【词义】这则成语的意思是指因为喜爱那所房屋,所以就连屋顶上的乌鸦也一同喜爱。 이 성어의 의미는 그 집의 모든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옥상 위의 까마귀조차 함께 좋아하는 것을 가리킨다.
+
<div id="mp_sisterProjects" class="mp_outer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
[[파일:중국어문화학과십년사.png|250픽셀|링크=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用法】用来比喻因为喜欢某个人,从而连带地喜欢与他有关的人或物。  어떤 사람을 좋아하기 때문에 부가적으로 그와 관련된 사람이나 사물을 좋아함을 비유하는 데 쓰인다.
+
[[파일:중국학센터.png|200픽셀|링크=https://sinology.org]]
 
+
</div>
【出处】这则成语出自《尚书大传》:“爱人者,兼其屋上之乌;不爱人者,及其胥余”。이 성어는 <상서대전>의 “사랑하는 것은 그 옥상의 까마귀까지 겸하며, 사랑하지 않는 것은 담벼락 모퉁이에 미친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
<!-- /바닥글 -->
 
 
【典故】商朝末年,纣王穷奢极欲,残暴无道,西方诸侯国的首领姬昌决心推翻商朝的暴政,并积极扩军备战,但很可惜的是,在发兵之前姬昌就逝世了。姬昌死后,他的儿子姬发继位,即周武王。
 
상(商)나라 말기 주왕(纣王)의 사치가 극에 달하고 흉악무도하였다. 서방제후국의 지도자였던 희창은 상나라의 폭정을 전복시키기로 결심하고 또 적극적으로 군비를 확충하여 전쟁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파병전에 희창(姬昌)은 서거하였다. 희창 사후에 그의 아들인 희발(姬发)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니 곧 주(周)나라 무왕(武王)이다.
 
周武王联合诸侯,并借助军师姜尚(即姜太公)及自己弟弟的辅佐,出兵政打纣王。 双方交战于牧野,结果商军大败, 纣王自焚,商朝灭亡。 纣王死后,周武王仍感到天下没有安定,便召见姜尚,问道:“进了殷都,该怎处置商朝的人众呢?”姜尚说:“我听说过,如果喜欢某个人,就会连他屋上的乌鸦也一同喜爱;如果讨厌这个人,就连他家的墙壁篱笆也感到厌恶。我的意思是:对于敌人,我们要赶尽杀绝,一个也不能留。不知大王意下如何?”
 
주 무왕은 제후들과 연합하고 군사 강상(姜尚=강태공姜太公)의 협조 및 자기 동생의 보좌를 받으며 출병하여 주왕을 쳤다. 양측은 목야(牧野)에서 서로 싸웠고, 결국 상군은 대패하였으며 주왕은 자살하고 상나라는 멸망했다. 주왕 사후에 주나라 무왕은 여전히 천하에 안정이 없다고 느꼈고 곧 강태공을 불러 물었다. “은도(殷都)에 들어왔는데 어떻게 상나라 사람들을 처리해야 하겠는가?” 강태공이 말하길, “제가 듣기로 어떤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의 까마귀까지 함께 좋아하고, 그 사람을 미워하면 그 집 울타리까지 싫다고 느낀다고 합니다. 제 의미는 적을 모조리 없애 한 명도 남길 수 없다는 것입니다. 대왕의 의견은 어떠신지 모르겠습니다.”
 
周武王却不同意这么做。这时召公说;“我曾听说,有罪者,必杀;无罪者,可以让他们活下来。我认为应当杀掉所有有罪的人,大王你看怎么看?” 周武王也不同意。这是周公说:“我认为君王不应偏爱自己的旧友和亲属,要用仁政来感化天下所有的人。”周武王听后,欣然同意,并按照周公所说的去做,刚刚统一的西周果然很快就摆脱了混乱的局面,安定了下来。   
 
주 무왕은 이렇게 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 때 소공이 말하길, “저는 일찍이 죄가 있는 자는 반드시 죽어야 하며, 죄가 없는 자는 살게 해도 좋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죄가 있는 모든 자들은 응당 죽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왕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주 무왕은 또 동의하지 않았다. 이에 주공이 말하길, “저는 군왕께서 자신의 오랜 벗과 친족을 편애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인정으로 천하의 모든 사람을 감화시켜야 합니다.” 주 무공이 들은 후 선뜻 승낙했고 또 주공이 말한 바에 따라 행하였다. 막 통일된 서주는 과연 빠르게 혼란의 국면을 벗어났고 안정을 찾아갔다.
 
 
 
【例句】
 
 
 
1)他爱西班牙到了爱屋及乌的地步,只要你讲西班牙语,你就可以成为他的朋友。그가 스페인을 사랑하는 것은 지붕 위의 까마귀까지 사랑하는 정도에 이른다. 네가 스페인어에 대해 말하기만 하면 너는 곧 그의 친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我不敢说我是个标准男人,但我关心你、尊重你、照顾你,自问无微不至,甚至懂得爱屋及乌 ,也喜欢你的朋友。나는 감히 내가 표준이 되는 남자라고 말할 수 없다. 다만 나는 너에게 관심이 있고, 너를 존중하고, 너를 보살피며 스스로 생각해도 세심하게 신경을 쓴다. 심지어 지붕 위의 까마귀까지 사랑하는 것이 이해되고 너의 친구마저 좋아한다.
 
 
 
3) 如果我们大家确实热爱知识,改变了对知识的态度, 爱屋及乌 ,对知识分子的看法和态度大概也是会随着改变的。만약 우리 모두가 정말로 열렬하게 지식을 사랑한다면 지식에 대한 태도는 바뀔 것이고, 지붕 위의 까마귀를 사랑하듯 지식인에 대한 생각과 태도도 아마 따라 변할 것이다.
 
 
 
4) 永正低声说:“即使那是你的孩子,我也能爱屋及乌。”영은 낮은 목소리로 “비록 그 아이는 너의 아이지만 나도 지붕 위의 까마귀를 사랑하듯 할 수 있어.”라고 말했다.
 
 
 
5) 爱书的人喜欢逛书店,爱屋及乌对书店老板也有好感。책을 사랑하는 사람은 서점을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며, 지붕 위의 까마귀를 사랑하듯 서점 주인에게도 좋은 감정을 가진다.
 
 
 
===[[중국어 관용어 사전]]===
 
 
 
===[[중국어 비유사전]]===
 
 
 
==중국어문화학과 학과 홈페이지==
 
 
 
===사람들===
 
#[[학과 교수]]
 
#[[학과사무실]]
 
#[[학생]]
 
 
 
===자료실===
 
#[[영상자료]]
 
#[[문서자료]]
 
 
 
===수업방===
 
#[[중국언어문화콘텐츠실습]]
 
#[[문화로 읽는 중국문자]]
 
 
 
===학과 활동===
 
#[[답사]]
 
#[[학술제]]
 
 
 
===동문===
 
#[[졸업생들]]
 
 
 
== 시작하기 ==
 
 
 
* [//www.mediawiki.org/wiki/Special:MyLanguage/Manual:Configuration_settings 설정하기 목록]
 
* [//www.mediawiki.org/wiki/Special:MyLanguage/Manual:FAQ 미디어위키 FAQ]
 
* [https://lists.wikimedia.org/mailman/listinfo/mediawiki-announce 미디어위키 릴리스 메일링 리스트]
 
* [//www.mediawiki.org/wiki/Special:MyLanguage/Localisation#Translation_resources 내 언어로 미디어위키 지역화]
 
[//meta.wikimedia.org/wiki/Help:Contents 이곳]에서 위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2024년 9월 6일 (금) 15:02 기준 최신판

위키로고배경.png
중국학 위키백과 SinoWiki

중국학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1월 22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2,112개가 실려 있으며 최근 10명의 기여자가 있습니다.
태산각석.jpg

진각석(秦刻石)은 중국의 오래된 비문(碑文)이다. 진시황은 서기 221년 육국을 통일한 후, 수차례 각지로 순시를 나갔다. 군신들은 황제의 공덕을 칭송하며 만대에 그 업적을 남기고자 돌에 글자를 새겼으니 이를 진칠각석(秦七刻石)이라 했다.
진 2세도 기원전 209년에 순시를 나갔는데, 기존의 각석 옆에 자신의 조서를 덧새기도록 하였다. 진 2대의 조서의 전문은 79자이며 글씨체는 칠각석과 같았다. 그것들은 모두 진의 이사가 육국을 통일한 후 보편적으로 유통한 진의 문자인 소전체로 쓰여져 전서가 후대에 전수되게 하였다. 진각석은 후대의 문학작품과 비지문(碑志文)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자세히 읽기...

觀.png

갑골문금문자는 앞을 응시하는 두 눈과 눈썹을 강조한 큰 수리부엉이의 모습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부엉이가 동그랗게 눈을 뜨고 바라보는 것처럼(串) 사물이나 대상을 뚫어지게 응시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고문자 가운데 見자 대신 (빛날 경)자로 구성된 것도 있는데, 이는 벽에 뚫린 창문으로 밝게 비치는 달처럼 뚫어지게 쳐다보다는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자세히 읽기...

중국어 지식백과
다운로드.jpg

거란어(契丹語)는 10~12세기에 걸쳐서, 현재의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에 세운 요나라(遼=거란제국, 재위916-1125)에서 거란 민족이 사용된 언어다. 또 거란문자(契丹文字)는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재위916-926)가 중국 문화에 대응하여 자국어 및 자국 고유 문자에 대한 민족적 자각에 바탕을 두어 기원후 920년에 만들어 공표한 문자이다.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서로 다른 문자 체계가 알려져 있다. 이 중 거란소자는 태조의 동생 야율질라(耶律迭剌)가 위구르의 사자에게 그 언어와 문자를 배웠고, 그에 따라 다스렸다는 기술이 『요사(遼史)』에서 볼 수 있으며, 거란대소자는 요대를 통해 사용되었고, 금대(金代, 1115-1234)까지 사용된 후 사문자가 되었다.
자세히 읽기...

허신상.PNG

허신(許愼)은 『설문해자』를 집필한 후한 시대의 학자이다. 허신의 이름은 신愼이며 자字는 숙중叔重인데, 같은 ‘공손하게 삼감’이라는 의미를 지닌 중重을 자字로 한 것이다. 또한, 신愼과 중重 사이에는 ‘신중’이라는 어휘가 있어 글자 사이에 밀접성이 있기도 하다.
허신은 여남 소릉의 사람이다. 여남은 군의 이름인데, 기록에 따르면 여남군에는 37개의 성(집락)이 속하여 있었다. 소릉은 그 성 가운데 하나를 말한다. 현재의 허난성 옌청현, 카이펑에서 남남서로 약 1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자세히 읽기...

최근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의 수업 을 통해 생산된 지식 항목들.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2), 석고문(石鼓文), 화이론(華夷論), 토법고로(土法高爐), 이체자(異體字), 거란문자(契丹文字), 고힐강(顧頡剛), 공표비(孔彪碑), (夏)(2) 명조체(明朝體)(2) 서계(書契) 각석(刻石)(2) 조충문(鳥蟲文), 옥편(玉篇) , 형성자(形聲字) ,명조체(明朝體), 단옥재(段玉裁) , 왕국유(王國維) , 암각화(岩刻畵) , 주음부호(注音符號) , 서하문자(西夏文字) , 대우정(大盂鼎) , 사모무방정(司母戊方鼎) , 리궤(利簋) , 하존(何尊) , 시라가와 시즈카(白川靜) , 쯔놈(𡨸喃) , 나진옥(羅振玉) , 왕의영(王懿榮) , 죽간(竹簡), 금문(金文)(2), 방상씨(放相氏), , 동파문자(東巴文字) , 회의자(會意字) , 혼돈(混沌) ,난정서(蘭亭序) , 호궤(胡簋) , 삼서설(三書說) , 곽점초간(郭店楚簡), 회남자(淮南子) , 노벽(魯壁)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