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7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width="100%"  
 
{| width="100%"  
 
| <div style="float: left; width: 0em; height: 0em; margin:0em 0em  0em -2.5em; vertical-align:center; overflow:visiable ;">[[파일:위키로고배경.png|120px|링크=]]</div>
 
| <div style="float: left; width: 0em; height: 0em; margin:0em 0em  0em -2.5em; vertical-align:center; overflow:visiable ;">[[파일:위키로고배경.png|120px|링크=]]</div>
<div style="float: left; margin-left:115px"><div style="font-size:1.4em; font-weight: bold">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div>
+
<div style="float: left; margin-left:115px"><div style="font-size:1.4em; font-weight: bold">중국학 위키백과 SinoWiki</div>
이곳은 [[중국어문화학과 위키프로젝트|'''중국언어문화 전문 위키백과''']]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br>
+
중국학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br>
{{지역년}}년 {{지역월1}}월 {{지역일}}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특수기능:통계|'''{{NUMBEROFARTICLES}}''']]개가 실려 있습니다.</div>{{-}}
+
{{지역년}}년 {{지역월1}}월 {{지역일}}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특수기능:통계|'''{{NUMBEROFARTICLES}}''']]개가 실려 있으며 최근  [[특수:활동적인사용자|<span style="color: #246ad3;">'''{{NUMBEROFACTIVEUSERS}}'''</span>]]명의 기여자가 있습니다.</div>{{-}}
 
|
 
|
 
|}
 
|}
15번째 줄: 15번째 줄:
 
<!-- 링크 모음 -->
 
<!-- 링크 모음 -->
 
<div class="plainlinks" style="text-align: center; color: #71c9f0">
 
<div class="plainlinks" style="text-align: center; color: #71c9f0">
[[중국어문화학과 위키프로젝트|위키 소개]] '''/'''
+
[[위키 소개]] '''/'''
 
[[디지털 프론티어 첫걸음|위키 입문]] '''/'''
 
[[디지털 프론티어 첫걸음|위키 입문]] '''/'''
 
[[위키 문법|위키 사용법]] '''/'''
 
[[위키 문법|위키 사용법]] '''/'''
22번째 줄: 22번째 줄:
 
<!-- /링크 모음 -->
 
<!-- /링크 모음 -->
 
</div>
 
</div>
 +
<!-- 본문 가운데 -->
 +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100%; height: 100%;">
  
<!-- 본문 왼쪽 -->
+
<!-- 알찬 글-->
<div id="mp_contentsL" style="float: left; width: 60%; height: 100%;">
 
<!-- 오늘의 알찬 글-->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div><div id="mp-itn"></div>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오늘의 알찬 글|알찬 글]]</div><div id="mp-itn"></div>
[[파일:낭서각석.jpg|100픽셀|왼쪽|링크=각석]]
+
[[파일:태산각석.jpg|200픽셀|왼쪽|링크=각석]]
진각석(秦刻石)은 [[진시황]]을 위한 공덕시를 새긴 비문(碑文)이다. [[진시황]]은 서기 221년 육국을 통일한 후, 수차례 각지로 순시를 나갔는데 군신들이  그를 칭송하며 그 공덕을 기렸고 그것을 돌에 새겨 후대에 남겼다. 진각석은 모두 일곱개가 있는데 이를 진칠각석(秦七刻石)이라 했다. 진각석은 모두 [[진]]의 [[이사]](李斯)가 육국을 통일한 후 보편적으로 유통한 진의 문자인 전서로 쓰여졌는데,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전서는 대부분 진각석의 것들이다. 또한 진각석은 후대의 문학작품과 비지문 碑志文에 모두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
진각석(秦刻石)은 중국의 오래된 비문(碑文)이다. [[진시황]]은 서기 221년 육국을 통일한 후, 수차례 각지로 순시를 나갔다. 군신들은 황제의 공덕을 칭송하며 만대에 업적을 남기고자 돌에 글자를 새겼으니 이를 진칠각석(秦七刻石)이라 했다. <br>
<br>
+
진 2세도 기원전 209년에 순시를 나갔는데, 기존의 각석 옆에 자신의 조서를 덧새기도록 하였다. 진 2대의 조서의 전문은 79자이며 글씨체는 칠각석과 같았다. 그것들은 모두 진의 [[이사]]가 육국을 통일한 후 보편적으로 유통한 진의 문자인 [[소전]]체로 쓰여져 전서가 후대에 전수되게 하였다. 진각석은 후대의 문학작품과 비지문(碑志文)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br>
 
'''[[각석|자세히 읽기...]]'''
 
'''[[각석|자세히 읽기...]]'''
 
 
</div>
 
</div>
  
 
<!-- 오늘의 한자-->
 
<!-- 오늘의 한자-->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오늘의 한자]]</div><div id="mp-itn"></div>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한자어원문화사전 찾아보기|오늘의 한자]] </div><div id="mp-itn"></div>
[[파일:가운데 중.png|400픽셀|왼쪽|링크=]]
+
[[파일:.png|400픽셀|오른쪽|링크=]]
고대 중국에서 깃발은 '유(斿)'로 알려진 여러 개의 띠로 구성되었다. 띠가 많은 것도 있고 적은 것도 있었는데, 왕의 깃발은 무려 12개나 되는 띠로 구성되었다. 갑골문과 금문에 나타난 ‘중()’자는 여러 띠를 지닌 깃발처럼 보이고, 한 개의 나무 조각이 장대의 중간에 묶여져서 장대를 튼튼하게 했는데 이 나무 조각을 ‘중(中)’이라고 했다. 장대 가운데 위치하여 상유와 하유를 가운데서 분리하여, ‘중()’은 ‘가운데’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다시 ‘안에’,‘속에’라는 뜻으로도 파생되었다. 일반적인 사람의 처세의 태도 가운데, 어느 극단의 입장을 고수하지 않는 것을 ‘중(中)’이라 한다. 중행(中行), 중용(中庸) 등이 그 예이다.
+
[[갑골문]]과 [[금문]]의 [[觀]]자는 앞을 응시하는 두 눈과 눈썹을 강조한 큰 수리부엉이의 모습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부엉이가 동그랗게 눈을 뜨고 바라보는 것처럼() 사물이나 대상을 뚫어지게 응시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고문자 가운데 見자 대신 [[囧]](빛날 경)자로 구성된 것도 있는데, 이는 벽에 뚫린 창문으로 밝게 비치는 달처럼 뚫어지게 쳐다보다는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br>
<br />
+
 
 +
'''[[觀|자세히 읽기...]]'''
  
'''[[中|자세히 읽기...]]'''
 
 
</div>
 
</div>
  
<!-- 중국의 역사-->
+
<!-- 중국어 지식백과-->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역사|중국의 역사]] </div><div id="mp-itn"></div>  
+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 중국어 지식백과</div><div id="mp-itn"></div>
[[파일:야초.jpg|100픽셀|왼쪽|링크=야초]]
+
 
[[노신]]은 그의 문학세계가 갖는 시대적 특성과 동시대인에게서 볼 수 없는 예술적 독창성으로 인해 그의 일생 어느 시기를 떼어놓고 보아도 그 문학적 의미가 각별하고 풍부하다. 시, 소설, 잡문, 평론, 서한, 일기, 번역 등 노신이 남긴 문자업적 가운데서 《야초野草》는 산문시라는 장르적 특성과 그 안에서 운용하고 있는 문체의 다양성, 그 다양성 속에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시대정신과 결합한 작가의식의 불변성, 그리고 그러한 내용을 그것과 표현해내고 있는 모던한 예술기법과의 탁월한 통일로 노신문학의 집약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br>《야초》는 노신정신사에서 가장 큰 폭의 방황과 시련을 겪은 시기이면서 동시에 가장 왕성한 창작을 한 시기이기도 한 1924년에서 1926년 사이에 저술되었다. 《야초》는 세상에 나오면서 세인들의 관심과 평가를 계속하여 받아왔는데 이에 대한 연구의 역사와 그 성격을 살피는 일은 노신연구의 역사와 그 성격의 변화를 살피는 일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
[[파일:다운로드.jpg|150픽셀|왼쪽|링크=거란문자]]
<br>
+
거란어(契丹語)는 10~12세기에 걸쳐서, 현재의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에 세운 요나라(遼=거란제국, 재위916-1125)에서 거란 민족이 사용된 언어다. 또 [[거란문자]](契丹文字)는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재위916-926)가 중국 문화에 대응하여 자국어 및 자국 고유 문자에 대한 민족적 자각에 바탕을 두어 기원후 920년에 만들어 공표한 문자이다.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서로 다른 문자 체계가 알려져 있다. 이 중 거란소자는 태조의 동생 야율질라(耶律迭剌)가 위구르의 사자에게 그 언어와 문자를 배웠고, 그에 따라 다스렸다는 기술이 『요사(遼史)』에서 볼 수 있으며, 거란대소자는 요대를 통해 사용되었고, 금대(金代, 1115-1234)까지 사용된 후 사문자가 되었다.  
'''[[야초|자세히 읽기...]]'''
+
<br/>
 +
'''[[거란문자|자세히 읽기...]]'''
 
</div>
 
</div>
  
57번째 줄: 57번째 줄: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5em 0 0;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인물|중국의 인물]]</div><div id="mp-itn"></div>  
[[파일:마오.PNG|100픽셀|왼쪽]]
+
[[파일:허신상.PNG|120px|오른쪽|링크=허신]]
1893년 12월 26일 호남성의 농촌에서 농부의 아들로 출생. 1921년에는 중국 공산당 창당에 참여했고, 1934년 10월부터 1935년 10월까지 368일간의 [[대장정]]을 겪고 그 이후 중국 공산당을 이끌었다. 항일전쟁과 국공내전을 거쳐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설이라는 업적을 남겼다. 건국 이후 초기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위해 중국 나름의 토지개혁 등을 시행하였고, 1953년부터는 아예 소련식 사회주의 모델을 추수하여 제1차 5개년 계획을 실시했다. 1956~1958년 무렵 제1차 5개년 계획의 성과를 두고 벌어진 노선 대립 및 당시의 국제적 관계 상의 이유(중소 분쟁)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말미암아, 1958년부터 1960년까지 약 3년간은 소련식 모델이 아니라 중국 독자적으로 [[대약진운동]]을 일으켰고, 1966년 [[문화대혁명]]의 촉발 시기에는 대중의 문화대혁명에 대한 열기를 부추기고 입김을 불어넣기도 했다.<br>
+
'''[[허신]](許愼)'''은 『[[설문해자]]』를 집필한 [[후한]] 시대의 학자이다. 허신의 이름은 신愼이며 자字는 숙중叔重인데, 같은 ‘공손하게 삼감’이라는 의미를 지닌 중重을 자字로 한 것이다. 또한, 신愼과 중重 사이에는 ‘신중’이라는 어휘가 있어 글자 사이에 밀접성이 있기도 하다.  <br>
'''[[모택동|자세히 읽기...]]
+
허신은 여남 소릉의 사람이다. 여남은 군의 이름인데, 기록에 따르면 여남군에는 37개의 성(집락)이 속하여 있었다. 소릉은 그 성 가운데 하나를 말한다. 현재의 허난성 옌청현, 카이펑에서 남남서로 약 1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br>
'''
+
'''[[허신|자세히 읽기...]]'''
</div>
 
 
 
 
 
<!-- /본문 왼쪽 -->
 
 
</div>
 
</div>
  
<!-- 본문 오른쪽 -->
 
<div id="mp_contentsR" style="width: 40%; height: 100%; float: right;">
 
 
<!-- 중국문화 지식 포털 -->
 
<!-- 중국문화 지식 포털 -->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중국문화 지식 포털]]</div>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중국문화 지식 포털]]</div>
[[파일:한자어원문화사전로고.png|왼쪽|300픽셀|링크=한자어원문화사전]]
 
[[한자어원문화사전]]은 중국어문화학과 3학년 [[문화로읽는중국문자]] 수업을 통해 만들어진 한자의 어원과 문화에 대한 종합사전이다.
 
 
[[파일:중국역사사전로고.png|왼쪽|300픽셀|링크=중국의 역사]]
 
[[중국의 역사]]는 중국어문화학과 [[중국문화사1]]과 [[중국문화사2]] 수업을 통해 만들어진 중국의 역사 관련 종합 지식백과사전이다. 
 
  
[[파일:중국인물사전로고1.png|왼쪽|300픽셀|링크=중국 인물사전]]
+
최근 [[수업 자료실|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의 수업]] 을 통해 생산된 지식 항목들. <br>
[[중국 인물사전]]은 중국어문화학과의 다양한 [[수업 자료실|전공 교과목]]을 통해 만들어진 중국인물 관련 종합사전이다.
+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2),
 
+
[[석고문]](石鼓文), 
이밖에도 수업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중국문화 사전]]은 '''[[중국문화 사전|여기]]'''에서 볼 수 있다.
+
[[화이론]](華夷論),
 +
[[토법고로]](土法高爐),
 +
[[이체자]](異體字),
 +
[[거란문자]](契丹文字),
 +
[[고힐강]](顧頡剛),
 +
[[공표비]](孔彪碑),
 +
[[하]](夏)(2)
 +
[[명조체]](明朝體)(2)
 +
[[서계]](書契)
 +
[[각석]](刻石)(2)
 +
[[조충문]](鳥蟲文), [[옥편]](玉篇) , [[형성자]](形聲字) ,[[명조체]](明朝體), [[단옥재]](段玉裁) , [[왕국유]](王國維) , [[암각화]](岩刻畵) , [[주음부호]](注音符號) , [[서하문자]](西夏文字) , [[대우정]](大盂鼎) , [[사모무방정]](司母戊方鼎) , [[리궤]](利簋) , [[하존]](何尊) , [[시라가와 시즈카]](白川靜) , [[쯔놈]](𡨸喃) , [[나진옥]](羅振玉) , [[왕의영]](王懿榮) , [[죽간]](竹簡), [[금문]](金文)(2), [[방상씨]](放相氏), , [[동파문자]](東巴文字) , [[회의자]](會意字)  , [[혼돈]](混沌) ,[[난정서]](蘭亭序) , [[호궤]](胡簋) , [[삼서설]](三書說) , [[곽점초간]](郭店楚簡), [[회남자]](淮南子) , [[노벽]](魯壁)
 
</div>
 
</div>
  
96번째 줄: 95번째 줄:
 
[[위키 실습 페이지|'''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div>
 
[[위키 실습 페이지|'''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div>
  
<!-- 수업 자료실 -->
+
<!-- /본문 가운데 -->
<div id="mp_participation" class="mp_contents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overflow: auto; background-color: #eef6ff;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수업 자료실]]</div><big>'''[[수업 자료실|중국어문화학과 수업 자료실]]</big>''': 중국어문화학과에서 개설된 과목 가운데 수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과 자료들이 위키문법을 기반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수업자료실 <br>
 
 
 
'''2017년 1학기 수업자료실'''
 
*[[중국문화사1 2017년 1학기 강의|중국문화사1]]
 
 
 
2016년 2학기 수업자료실<br>
 
*[[문화로읽는중국문자 2016년 2학기 강의|문화로읽는중국문자]]
 
*[[중국명문감상 2016년 2학기 강의|중국명문감상]]
 
*[[중국언어문화콘텐츠실습 2016년 2학기 강의|중국언어문화콘텐츠실습]]
 
*[[인물로보는근현대중국사회 2016년 2학기 강의|인물로보는근현대중국사회]]
 
 
 
</div>
 
 
 
 
 
 
 
 
 
<!-- /본문 오른쪽 -->
 
 
</div>
 
</div>
 +
<!-- /본문 -->
  
<!-- /본문 -->
 
 
<!-- 바닥글 -->
 
<!-- 바닥글 -->
 
<div id="mp_footer" style="clear: both; height: 100%; overflow: auto; font-size: small;">
 
<div id="mp_footer" style="clear: both; height: 100%; overflow: auto; font-size: small;">
<!--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커뮤니티 -->
+
 
 
<div id="mp_sisterProjects" class="mp_outer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id="mp_sisterProjects" class="mp_outerbox" style="border:1px solid #a7d7f9; margin: 0.5em 0 0.5em; vertical-align:top; padding: 1em; -moz-border-radius: 0.8em; -webkit-border-radius: 0.8em; border-radius: 0.8em;">
<div style="background-color: #bbddff; margin-bottom: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div style="float: left; margin: -8px 8px -8px 0px;"></div>[[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커뮤니티]]</div>
+
[[파일:중국어문화학과십년사.png|250픽셀|링크=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파일:중문과 커뮤니티.png|300픽셀|왼쪽|링크=http://chineseagora.uos.ac.kr/]]<br/>
+
[[파일:중국학센터.png|200픽셀|링크=https://sinology.or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big>'''학과 소개</big>''']]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에 대한 거의 모든 것 <br/>
 
 
 
*[[사람들|<big>'''사람들</big>''']]  중국어문화학과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  <br/>
 
 
 
*[[학과 활동|<big>'''학과 활동</big>''']]  {{색|red|[[답사|학술 답사]]  [[학술제]]  [[C-Camp]]  [[C-Café]]  [[교환학생]]  [[소모임|학과 소모임]]}}<br/>
 
 
 
*[[교환학생|<big>'''교환학생 정보</big>''']]  교환학생에 대한 거의 모든 정보 <br/>
 
 
 
*[[학생회 |<big>'''중국어문화학과 학생회</big>''']]  중국어문화학과 학생회 활동을 위한 열린 공간 <br/>
 
 
</div>
 
</div>
 
+
<!-- /바닥글 -->
 
 
</div><!-- /바닥글 -->
 

2024년 9월 6일 (금) 15:02 기준 최신판

위키로고배경.png
중국학 위키백과 SinoWiki

중국학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1월 23일 현재 우리 위키백과에는 문서 2,112개가 실려 있으며 최근 10명의 기여자가 있습니다.
태산각석.jpg

진각석(秦刻石)은 중국의 오래된 비문(碑文)이다. 진시황은 서기 221년 육국을 통일한 후, 수차례 각지로 순시를 나갔다. 군신들은 황제의 공덕을 칭송하며 만대에 그 업적을 남기고자 돌에 글자를 새겼으니 이를 진칠각석(秦七刻石)이라 했다.
진 2세도 기원전 209년에 순시를 나갔는데, 기존의 각석 옆에 자신의 조서를 덧새기도록 하였다. 진 2대의 조서의 전문은 79자이며 글씨체는 칠각석과 같았다. 그것들은 모두 진의 이사가 육국을 통일한 후 보편적으로 유통한 진의 문자인 소전체로 쓰여져 전서가 후대에 전수되게 하였다. 진각석은 후대의 문학작품과 비지문(碑志文)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자세히 읽기...

觀.png

갑골문금문자는 앞을 응시하는 두 눈과 눈썹을 강조한 큰 수리부엉이의 모습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부엉이가 동그랗게 눈을 뜨고 바라보는 것처럼(串) 사물이나 대상을 뚫어지게 응시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고문자 가운데 見자 대신 (빛날 경)자로 구성된 것도 있는데, 이는 벽에 뚫린 창문으로 밝게 비치는 달처럼 뚫어지게 쳐다보다는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자세히 읽기...

중국어 지식백과
다운로드.jpg

거란어(契丹語)는 10~12세기에 걸쳐서, 현재의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에 세운 요나라(遼=거란제국, 재위916-1125)에서 거란 민족이 사용된 언어다. 또 거란문자(契丹文字)는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재위916-926)가 중국 문화에 대응하여 자국어 및 자국 고유 문자에 대한 민족적 자각에 바탕을 두어 기원후 920년에 만들어 공표한 문자이다.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서로 다른 문자 체계가 알려져 있다. 이 중 거란소자는 태조의 동생 야율질라(耶律迭剌)가 위구르의 사자에게 그 언어와 문자를 배웠고, 그에 따라 다스렸다는 기술이 『요사(遼史)』에서 볼 수 있으며, 거란대소자는 요대를 통해 사용되었고, 금대(金代, 1115-1234)까지 사용된 후 사문자가 되었다.
자세히 읽기...

허신상.PNG

허신(許愼)은 『설문해자』를 집필한 후한 시대의 학자이다. 허신의 이름은 신愼이며 자字는 숙중叔重인데, 같은 ‘공손하게 삼감’이라는 의미를 지닌 중重을 자字로 한 것이다. 또한, 신愼과 중重 사이에는 ‘신중’이라는 어휘가 있어 글자 사이에 밀접성이 있기도 하다.
허신은 여남 소릉의 사람이다. 여남은 군의 이름인데, 기록에 따르면 여남군에는 37개의 성(집락)이 속하여 있었다. 소릉은 그 성 가운데 하나를 말한다. 현재의 허난성 옌청현, 카이펑에서 남남서로 약 1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자세히 읽기...

최근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의 수업 을 통해 생산된 지식 항목들.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2), 석고문(石鼓文), 화이론(華夷論), 토법고로(土法高爐), 이체자(異體字), 거란문자(契丹文字), 고힐강(顧頡剛), 공표비(孔彪碑), (夏)(2) 명조체(明朝體)(2) 서계(書契) 각석(刻石)(2) 조충문(鳥蟲文), 옥편(玉篇) , 형성자(形聲字) ,명조체(明朝體), 단옥재(段玉裁) , 왕국유(王國維) , 암각화(岩刻畵) , 주음부호(注音符號) , 서하문자(西夏文字) , 대우정(大盂鼎) , 사모무방정(司母戊方鼎) , 리궤(利簋) , 하존(何尊) , 시라가와 시즈카(白川靜) , 쯔놈(𡨸喃) , 나진옥(羅振玉) , 왕의영(王懿榮) , 죽간(竹簡), 금문(金文)(2), 방상씨(放相氏), , 동파문자(東巴文字) , 회의자(會意字) , 혼돈(混沌) ,난정서(蘭亭序) , 호궤(胡簋) , 삼서설(三書說) , 곽점초간(郭店楚簡), 회남자(淮南子) , 노벽(魯壁)

위키백과 참여하기

위키가 처음이신가요? 우리 중국어문화학과 위키백과는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엔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키피디아의 사용법과 거의 유사합니다.
위키백과에 참여하고 싶지만 사용법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우선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피디아 길라잡이에 들어가 보세요. 위키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사용법까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 길라잡이: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위키백과 편집 가이드
위키 문법 배우기: 위키 초보자를 위한 자세한 위키문법 안내
위키 틀 목록: 위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틀 목록 및 사용법

연습장에서 위키문법 연습: 위키 문서 작성 전 여기서 먼저 훈련을 해보자